$\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휘를 통한 패션 디자인 발상 전개 과정의 특성 연구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Fashion Design Thinking through the Lexicon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4 no.2, 2014년, pp.113 - 125  

김윤경 (부산대학교 의류학과.노인생활환경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reative thinking requires an ability to draw ideas on the given topic in a given time period with concentration. For this, the development process of design concept on the topic was collected through experiments and interviews targeting 10 fashion education experts and 10 clothing majors. After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디자인 발상 전개 과정이 디자이너 개인의 의식 또는 무의식적인 행위일지라도 거기에는 어떤 특징적 패턴이 존재한다고 예측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실험지와 1:1면담 내용을 토대로 결과를 분석하고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어휘를 통한 디자인 발상 전개 과정을 분석하고 그 특징을 추출하는데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그림 1>37)의 디자인 전개 과정을 참고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어휘를 통한 패션 디자인 발상 전개 과정의 특성을 살펴 창의적인 디자인 발상을 위한 여러 가지 방법과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의 실질적인 디자인 감각과 전문성을 키우는데 그 목적이 있다. 순간적이거나 번뜩이는 아이디어는 물론 개개인의 아이디어를 발상하고 전개하는 노력의 과정 속에는 일련의 공통 분모가 있을 것이라 가정하고 제시된 주제어에 대한 디자인 발상 전개 과정을 살펴보는 실증적 연구를 통해 그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디자인 실습 교육에 필요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제언하였다.

가설 설정

  • 57) 결합된 개념의 해석은 그 범주가 다양하다. 단어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속성을 이끌어 내어 해석하거나58) 결합 개념 사이의 주제적 관계로서 해석59)이 가능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자인 행위의 특징은?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 패션의 주기는 점점 짧아지고 있으며 차별화 다양화를 요구하는 소비자의 감성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어 창의성을 기반으로 한 다양성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디자인 행위는 그 자체가 불명확한 문제로서 처음부터 완벽하게 기술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라서는 주관적인 해석을 요구하고 위계적인 구성을 갖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디자인은 결코 무의식적, 맹목적 행위가 아니라 그 자체가 과정이며 이러한 과정에 의해 이미지와 아이디어가 가시적으로 실체화되는 것이 디자인의 궁극적인 본질이 된다.
21세기가 필요로 하는 인재는? 21세기는 자신의 업무영역에 대한 깊은 전문지식을 갖추면서도 다른 영역이나 교양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갖춘 ‘전문화되면서도 다재다능한 인재(Specialized Generalist)’를 필요로 한다.1) 과거 인재가 자신의 전공을 살려 독자적인 판단으로 주어진 임무를 달성하였다면 미래는 종합적 사고와 높은 판단능력, 타 전공과의 소통을 잘할 수 있는 통합적인 접근의 ‘네트워크형 인재’를 원하는 것이다.
디자인 전개에 필요한 대표 주제어를 선정하기 위해 예비조사를 실시한 배경은 무엇인가? 장기적인 측면에서 창의적인 발상은 어떤 아이디어를 미리 정해놓고 그 아이디어에 맞는 주제를 찾아 아이디어를 끼워 맞추는 경우보다 어떤 주제가 주어지던 일정한 시간 안에 수준이 있는 아이디어를 꺼낼 수 있는 노하우가 요구된다.35) 이러한 관점에서 디자인 전개에 필요한 대표 주제어를 선정하기 위해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3)

  1. "'창의성 교육' 없으면 세계경쟁서 도태된다" (2007. 1. 1), 조선일보, p. 16. 

  2. "소유의 시대서 공유의 시대로…이젠 모든 걸 오픈하라" (2012. 8. 25), 조선일보, p. 45. 

  3. 김선영 (2009), 창의성 개발을 위한 디자인교육 콘텐츠-융합집중형 디자인 교육과 디자이너의 창의성-, 서울: 집문당, pp. 38-132. 

  4. 김광규 (2005), 창의력이 모든 것을 이긴다, 서울: 길벗, pp. 14-373. 

  5. De Bono, E. (2007), 여섯색깔 생각의 모자, 송광한, 양성진 역, 서울: 한울, pp. 11-227. 

  6. Garchik, M. (1999), 창의적 시각 발상법, 정경선 역, 서울: 예경, pp. 3-88. 

  7. 박지원 외 (2003), 창조적 아이디어 발상 및 전개, 서울: 학문사, pp. 11-288. 

  8. Fernndez-Armesto, F. (2004), 세계를 바꾼 아이디어, 안정희 역, 서울: 사이언스북스, pp. 10-391. 

  9. 이광훈 외 (2010), 패션디자인의 발상 기법, 서울: 시그마프레스, pp. 167-205. 

  10. 박혜원 외 (2006), 현대패션디자인, 서울: 교문사, pp. 72-128. 

  11. 이경희, 이은령 (2011), 패션디자인 플러스 발상, 서울: 교문사, pp. 2-61. 

  12. 임규정 (2010), 연상을 통한 창의적 발상 디자인교육 방법 연구: 전문계고 디자인교과를 중심으로, 디지털 디자인학연구, 28(4), pp. 483-492. 

  13. 박용원 (2002), 광고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스프링법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15(1), pp. 153-161. 

  14. 송석현 (2009), 건축 디자인 언어의 적용 및 사고 분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41. 

  15. 서동연 (2010), 공간 디자인에 대한 감성연상 매개로써 언어와 시각이미지 특성, 디지털디자인학연구, 26(10) 2호, pp. 379-388. 

  16. 자료검색일 2013. 10. 7,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11554&cid282&categoryId282 

  17. 자료검색일 2013. 10. 7,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2820&cid200000000&categoryId2000000 

  18. 자료검색일 2013. 10. 7, http://terms.naver.com/search.nhn?query%EC%9D%80%EC%9C%A0 

  19. 우흥룡 (1999), 언어/시각정보의 유추에 의한 창조적 디자인 사고, 한국디자인학회: 1999년도 추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14-15. 

  20. 조현재, 이현주 (2011), 발산적 사고를 통한 아이디어 발상의 디자인 프로세스, 디지털디자인학연구, 29, pp. 141-152. 

  21. Broadbent, G. (1984), 건축디자인방법론, 이광로 역, 서울: 기문당, p. 58. 

  22. 임규정 (2011), 연상을 활용한 시각적 표현이 창의적 발상교육에 미치는 영향: 특성화고등학교 디자인교육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56. 

  23. 송석현 (2009), 건축 디자인 언어의 적용 및 사고 분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39-40. 

  24. 박경애, 이찬 (2006), 유추적 사고의 전개과정에 의한 디자인 의미 개발에 관한 연구-아파트 평형별 실내디자인 프로토타입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5(5), pp. 77-84. 

  25. 최은희, 최윤아 (2007), 유추적 사고에 의한 디자인 문제해결의 유형-연상된 단어와 스케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6(2), pp. 63-70. 

  26. 최은희 (2010),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유추의 활용방법 (1)-상업공간 디자인 과제를 중심으로 한 실험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9(4), pp. 31-38. 

  27. 최은희 (2010),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유추의 활용방법 (2)-주거공간 디자인 과제를 중심으로 한 실험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9(6), pp. 38-46. 

  28. 정인희 (2013), 패션 상품 아이템 개발을 위한 창의적 발상법의 활용-벨벳 상품의 사례-, 한국의류학회지, 37(2), pp. 213-223. 

  29. 이지현, 노윤선 (2012), 알렉산더 맥퀸 작품에 나타난 맥시멀리즘, 복식, 62(6), pp. 165-181. 

  30. 오윤정, 김지영 (2011), 지아니베르사체의 패션디자인 발상 연구, 복식, 61(8), pp. 18-31. 

  31. 김지영 (2010), 빅터 앤 롤프의 디자인 발상과 작품 특성, 복식, 60(10), pp. 47-64. 

  32. 박신미 (2012), 현대패션에 나타난 건축 공간을 활용한 이미지 구축현상 고찰-아르마니 그룹 프라다, 콤므 데가르송을 중심으로-, 복식, 62(7), pp. 150-169. 

  33. 백정현, 배수정 (2012),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문화.예술 활용에 관한 연구-PRADA를 중심으로-, 패션비즈니스, 16(5), pp. 146-163. 

  34. 박용원 (2002), 광고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스프링법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15(1), p. 155. 

  35. 조현재, 이현주 (2011), 발산적 사고를 통한 아이디어 발상의 디자인 프로세스, 디지털디자인학연구, 29, p. 148. 

  36. 김윤경, 박혜원 (2010), 아이디어 발상 유형화를 통한 창의적 패션 디자인 전개 프로세스 연구, 복식, 60(9), p. 102. 

  37. 송석현 (2009), 건축 디자인 언어의 적용 및 사고 분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111. 

  38. Gentner, D. (1983), Structure mapping: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nalogy, Cognitive Science, 7, pp. 155-170. 

  39. Halford, G. S. (1993), Children's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mental model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p. 1-31. 

  40. 문정화, 변순화 (2003), 창의성이 보인다 성공이 보인다-44가지 창의적 문제 해결 기법-, 서울: 창지사, pp. 33-35. 

  41. 임규정 (2011), 연상을 활용한 시각적 표현이 창의적 발상교육에 미치는 영향: 특성화고등학교 디자인교육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38. 

  42. "'有'에서 '새로운 有'를 만들어 내는 것이 창조성이다" (2008. 1. 10), 조선일보, p. 63. 

  43. Broadbent, G. (1984), 건축디자인방법론, 이광로 역, 서울: 기문당, pp. 425-426. 

  44. Mason, J. (1989), Mathematical abstraction as the result of a delicate shift of attention,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9(2), pp. 2-8. 

  45. Broadbent, G. (1984), 건축디자인방법론, 이광로 역, 서울: 기문당, p. 426. 

  46.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5), Defying the crowd: Cultivating creativity in a culture of conformity, New York: The Free Press. pp. 151-164. 

  47. 최은희 (2011), 창의성 증진을 위한 언어적.시각적 유추의 효과검증-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 실험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0(2), pp. 30-38. 

  48. 송석현 (2009), 건축 디자인 언어의 적용 및 사고 분석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112. 

  49. 자료검색일 2013. 10. 1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30368&cid272&categoryId272 

  50. 김선영 (2009), 창의성 개발을 위한 디자인교육 콘텐츠-융합집중형 디자인 교육과 디자이너의 창의성-, 서울: 집문당, pp. 97-98. 

  51. 자료검색일 2013. 10. 11,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36805&cid209&categoryId209 

  52. 연세대학교언어정보연구원 편 (2010), 연세초등국어사전, 서울: 두산동아, p. 517. 

  53. 문정화, 변순화 (2003), 창의성이 보인다 성공이 보인다-44가지 창의적 문제 해결 기법-, 서울: 창지사, pp. 117-127. 

  54. Ward, T. B. (2001), Creative cognition conceptual combination, and the creative writing of Stephen R. Donaldson, American Psychologist, 56(4), pp. 350-354. 

  55. Costello, F. J., & Keane, M. T. (2000), Efficient creativity: Constraintguided conceptual combination, Cognitive Science, 24(2), pp. 299-349. 

  56. Gagne, C. L. & Shoben, E. J. (1997), Influence of the matic relations on the comprehension of modifiernoun combin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23(10), pp. 71-87. 

  57. 김철민 (2001), 광고아이디어 발상과정에 대한 체계적 접근 모형: 개인수준의 아이디어 발상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 광고, 2, pp. 69-85. 

  58. Thiel, P. (1977), Visual Awareness and Design, Washington: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p. 5. 

  59. 홍정표, 정수경 (2008), 창의적 디자인의 디자인 구성 요소와 심미성요소 분석, 감성과학, 11(3), pp. 387-397. 

  60. 임규정 (2011), 연상을 활용한 시각적 표현이 창의적 발상교육에 미치는 영향: 특성화고등학교 디자인교육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50-51. 

  61. Kosslyn, S. M. (1980), Image and Mind.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pp. 287-346. 

  62. Kosslyn, S. M. (1981), The Medium and the Message in Mental Imagery: A Theory, Psychological Review, 88(1), pp. 46-66. 

  63. 문정화, 변순화 (2003), 창의성이 보인다 성공이 보인다-44가지 창의적 문제 해결 기법-, 서울: 창지사, pp. 24-2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