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 이미지어(語)의 연상 어휘 분석을 통한 디자인 발상차원에 관한 연구 -클래식, 아방가르드 이미지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mension of Design Idea through the Analysis of Words that Remind of Fashion Image Words -Focusing on Classic and Avant-garde Imaged Language-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4 no.3, 2020년, pp.413 - 426  

김윤경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searches the association between associative vocabulary and fashion image language in order to extract ideas tha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sign ideas. Classic - avant-garde imaged language were chosen as theme words and each 70 questionnaires per a final image word were used f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 패션 이미지어에 대한 핵심 키워드를 통해 이미지어를 대표하는 중심성 어휘와 의미의 다양성을 시각적으로 살펴보았다. 나아가 패션 이미지어에 대한 연상 어휘들 간의 관련성 정도를 분석하여 수렴적 규칙을 찾아보고 이러한 관계 속에서 보이는 특징들을발상차원으로 추출하여 아이디어 발상에 있어 좀 더 구체적이고 다양한 접근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텍스트 형태의 비정형 데이터를 통계적분석을 통해 어휘들 간의 연관성 정도와 특징을 살피고 이러한 사고의 연계성을 기반으로 발상에 필요한핵심 차원을 제시하여 실질적으로 적용해 볼 수 있는키워드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끝으로 데이터의 양적 증대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추가 결과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음으로 확대해석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패션 이미지어에 대해 연상되는 다양한어휘들에 대해 통계적 기법을 통해 의미 있는 관련성을 찾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 발상에 도움을 줄수 있는 몇 가지 핵심 차원을 추출하였다. 먼저, 패션이미지어에 대한 핵심 키워드를 살펴 중심성과 의미의정도를 시각적으로 살펴보았다.
  • 이에 본 연구는 패션 이미지어에 대한 연상 어휘간의 연관성을 살펴 아이디어 결합 과정에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는 발상차원을 추출하고자 한다. 먼저 패션 이미지어에 대한 핵심 키워드를 통해 이미지어를 대표하는 중심성 어휘와 의미의 다양성을 시각적으로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업시장에서 디자인싱킹에 대한 관심이 커진 배경은 무엇인가? 산업 분야에서 창의적인 사고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디자인적 사고를 일컫는 디자인싱킹(design thinking)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디자인 과정에서 디자이너가 활용하는 창의적인 전략인 디자인 싱킹은 전문적인 디자인 관행보다 문제를 숙고하고, 문제를 더 폭넓게 해결하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는 접근법으로 산업과 사회적 문제에 적용되어 왔다(“디자인 싱킹 [Design thinking]”, 2019).
마인드 맵이 주는 효과는 무엇인가? 연상 법칙의 일종인 마인드 맵은 다른 기법에 비해 누구나 간단히 실시할 수 있는 정리법이다. 주제어에 대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정리할 수 있고 목적에 맞는 아이디어 도출에 효과적이다. 아이디어를 받아들이는 새로운 시각이나 콘셉트 발견 등 다각적 활용이 큰 기법이다(Hirao, 2009/2011). 다원적인 사고 내용을 방사형으로 가지를 뻗어 핵심어나 이미지를 펼쳐 나가게 함으로써 확산적, 수평적 사고뿐만 아니라 논리적 사고도 기를 수 있다(Kang et al., 1996).
'디자인적 사고'는 무엇인가? 특정 사건이나 대상, 그리고 상황에 대해 사람들이 가진 개념의 지식 구조는 지식 표현의 한 형태로 구조화할 수 있다. 발산적 사고 과정에서 실현 가능성과 상관없이 다양한 가설의 해를 만든 다음, 수렴적 사고 과정을 거쳐 최선의 해결안을 도출하는 방법론이 디자인적 사고이다. 발산과 수렴의 사고 과정을 반복하며 이를 통해 현재 존재하는 상황과 자신의 경험 등 다양한 변수와 조건들을 추론하고 종합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한다(Ju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Fan, J.-L. (2014). A study on design of romantic avant-garde in the modern costu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am University, Gwangju. 

  2. Han, S.-H. (2006). Searching thesaurus construction with word association test: A pilot study.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0(3), 289-304. 

  3. Hirao, K. (2011). Thinking method on architecture (S.-H. Lee & H. Choi, Trans.). Seoul: Kimoondang. (Original work published 2009) 

  4. Jung, S.-h., Yoon, J.-y., & Yoo, H.-o. (2018). The research based on design thinking theory using knowledge structure ideation toolkit.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62, 273-288. 

  5. Kang, H.-K., Kim, N.-I., & Ha, J.-W. (1996). The use of mindmapping for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5(2), 293-303. 

  6. Kim, C. W. (2014). Editology. Paju: Book21. 

  7. Kim, Y.-B., & Choi, G. R. (2011). Idea generation for design. Seoul: Thwon. 

  8. Kim, Y. K. (2014).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fashion design thinking through the lexic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64(2), 113-125. doi:10.7233/jksc.2014.64.2.113 

  9. Kim, Y. K. (2017). Study on classification of associated words of fashion image words through analogical transfer - Focused on the image words of feminine, mannish, classic and avantgard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7(5), 1-16. doi:10.7233/jksc.2017.67.5.001 

  10. Kolko, J. (2010). Abductive thinking and sensemaking: The drivers of design synthesis. Design Issues, 26(1), 15-28. doi:10.1162/desi.2010.26.1.15 

  11. Lee, K., Park, S., & Kwon, M. (2009). Classic image classification by clothing design ele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1), 160-171. doi:10.5850/JKSCT.2009.33.1.160 

  12. Lee, S. H. (2010). A study on the aesthetic quality of romantic avantgarde style - with a focus on British fashion design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u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13. Lee, W.-S. (201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igh-heeled shoes design applied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of romantic avant-garde and 3D printer : Focused on UK fashion designers sho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14. Lim, G. J. (2011). The influence on a creative thinking education by the visual expression using an association-Focusing on design education of special branch high schoo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15. Park, Y. J. (2014). The study of ‘Classical Music’ as reflected in bigdata: The concepts, musicians, and opinions.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19, 127-144. 

  16. Sang, Y.-J., Yoo, J.-M., Park, M., & Lee, I. (2015). A study on classic fashion image and sensible vocabularies - Focusing on women of baby boom and Y generations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7(3), 85-98. 

  17. Seo, D. (2010). The characteristics of verbal and visual media transferring the emotion to space design. Journal of Digital Design, 10(2), 379-388. doi:10.17280/jdd.2010.10.2.038038 

  18. Shin, H., & Yum, M. (2017). The avant-gard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Rei Kawakubo's Collection - A focus on Rei Kawakubo/Comme des Garcons: Art of the in-between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5(6), 787-803. doi:10.29049/rjcc.2017.25.6.787 

  19. Woo, H.-R. (1999). Creative design thinking with analogy of verbal/visual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32, 14-15. 

  20. Yim, E.-H. (2007). Aesthetics of Japanese avant-garde fashion -Focusing on planarization of the bod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1), 50-65. 

  21. 고전파 음악 [Classical music]. (2019, July 4). NAVER 지식백과 - 시사상식사전 [NAVER knowledge encyclopedia - Essential knowledge dictionary]. Retrieved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5970&cid43667&categoryId43667 

  22. 꼼데가르송 [Comme des Garcons]. (2019, June 10). Wikipedia. Retrieved from https://ko.wikipedia.org/wiki/%EA%BC%BC%EB%8D%B0%EA%B0%80%EB%A5%B4%EC%86%A1 

  23. 디자인 싱킹 [Design thinking]. (2019, August 9). Wikipedia. Retrieved from https://ko.wikipedia.org/wiki/%EB%94%94%EC%9E%90%EC%9D%B8_%EC%8B%B1%ED%82%B9 

  24. 은유 [Metaphor]. (1995, June 29). NANER 지식백과 - 교육학용어사전 [NANER knowledge encyclopedia - Educational terminology dictionary]. Retrieved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11749&cid42126&categoryId42126 

  25. 이미지 [Image]. (n.d.). Daum 국어사전 [Daum Korean dictionary]. Retrieved from http://dic.daum.net/word/view.do?wordidkkw000204656 

  26. 클래식 [Classic]. (2019, May 24). Wikipedia. Retrieved from https://ko.wikipedia.org/wiki/%ED%81%B4%EB%9E%98%EC%8B%9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