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들깨(Perilla frutescens) 새싹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 효과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Perilla frutescen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6 no.1, 2014년, pp.87 - 93  

정승일 (전주생물소재연구소) ,  김현수 (전주대학교 보건관리학과) ,  전인화 (전주대학교 보건관리학과) ,  강현주 (전주대학교 보건관리학과) ,  목지예 (전주대학교 보건관리학과) ,  천춘진 (영농조합법인 애농) ,  유현희 (군산대 식품영양학과) ,  장선일 (전주대학교 보건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들깨 새싹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증 및 항부종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들깨 새싹 추출물은 DPPH와 ABTS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들깨 새싹 추출물은 활성화된 설치류 유래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와 인간 유래 HMC-1 세포의 TNF-${\alpha}$와 IL-$1{\beta}$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더욱이 마우스의 귀와 발 부종을 억제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들깨 새싹 추출물은 항산화제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염증과 항부종에 효과적인 물질이라는 것을 제시해주었다. 이와 관련된 들깨 새싹 추출물의 기능성에 대해서는 앞으로 분자생화학적 수준에서 더 연구해야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n ethanol extract from Perilla frutescens sprouts (PFSE) as an antioxidant, and its effects on edema and inflammation in RAW 264.7 cells and HMC-1 cells. The antioxidant activities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of PFSE were similar to those of butylated hydroxy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7 세포와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 와 calcium ionophore A23187로 동시에 자극한 인간유래 비만세포(mast cells)주인 HMC-1 세포에서 TNF-α와 IL-1β의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더불어 마우스 부종에 대한 PFSE의 억제 효과를 조사하여 매우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본 연구는 들깨 새싹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증 및 항부종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들깨 새싹 추출물은 DPPH와 ABTS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들깨는 무엇인가? 들깨(Perilla frutescens)는 우리나라에서 오래전부터 재배해온 작물로 꿀풀과(Laviatae)에 속하는 일 년생 초본이다. 들깨는 종자용과 엽채용으로 나뉘는데 종자는 들깨유, 차, 죽, 제과 등에 사용되며 엽채는 신선채소, 절임, 통조림 등에 이용되고 있다 (13,14).
종자용 들깨는 어디에 사용되는가? 들깨(Perilla frutescens)는 우리나라에서 오래전부터 재배해온 작물로 꿀풀과(Laviatae)에 속하는 일 년생 초본이다. 들깨는 종자용과 엽채용으로 나뉘는데 종자는 들깨유, 차, 죽, 제과 등에 사용되며 엽채는 신선채소, 절임, 통조림 등에 이용되고 있다 (13,14). 지금까지 들깨를 이용한 연구로는 항산화나 항염증에 대한 연구(15,16)가 주로 이루어져 왔으나 들깨 새싹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산화 효과와 항염증 그리고 부종 억제에 대해 연구한 결과는 없는 실정이다.
들깨 새싹은 재배과정에서 어떤 것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건강을 위협할 요소가 줄어드는가? 특히 들깨 새싹은 세포벽이 얇아 함유된 영양소의 배출이 용이하여 인체 흡수가 빠른 장점이 있다. 또한 재배과정에서 비료 및 농약을 피할 수 있어 건강을 위협할 요소가 줄어든다(17-19). 들깨 새싹은 일반 성숙 채소 보다 종자가 발아되면서 아미 노산, 지방산, 탄수화물 등 영양성분의 변화와 함께 비타민, 무기질 그리고 폴리페놀 등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의 함량이 종자 및 성숙기에 비해 높아 생리활성 물질이 증대되는 것으로 알려져 건강 기능성 생리활성물질의 함량이 높아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인정받고 있다(17,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Tanaka H, Dinenno FA, Monahan KD, Clevenger CM, DeSouza CA, Seals DR. Aging, habitual exercise, and dynamic arterial compliance. Circulation 102: 1270-1275 (2000) 

  2. Wiseman H. Dietary influences on membrane function: impotent in protection against oxidative damage and disease. J. Nutr. Biochem. 7: 2-15 (1996) 

  3. Bouayed J, Bohn T. Exogenous antioxidants - Double-edged swords in cellular redox state: Health beneficial effects at physiologic doses versus deleterious effects at high doses. Oxid. Med. Cell. Longev. 3: 228-237 (2010) 

  4. Kawashima S. The possible role of lipoperoxide in aging. Nagoya J. Med. Sci. 32: 303-326 (1969) 

  5. Decker EA, Crum AD, Calvert JT. Differences in the antioxidant mechanism of carmosine in the prescence of copper and iron. J. Agr. Food Chem. 40: 756-759 (1992) 

  6. Kang HJ, Mok JY, Cho JK, Jeon IH, Kim HS, Park JM, Jeong SI, Shim JS, Jang SI. Protective effects of leaf and flower extracts from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on oxidative damage in normal human erythrocytes and plasma. Korean J. Pharmacogn. 43: 66-71 (2012) 

  7. Cho W, Nam JW, Kang HJ, Windono T, Seo EK, Lee KT. Zedoarondiol isolated from the rhizoma of Curcuma heyneana is involved in the inhibition of iNOS, COX-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via the downregulation of NF- $_{\kappa}B$ pathway in LPS-stimulated murine macrophages. Int. Immunopharmacol. 9: 1049-1057 (2009) 

  8. Kumar V, Abbas AK, Fausto N, Aster JC. Robbins and cotran pathologic basis of disease. 7th ed. W. B Saunders, Philadelphia, PA, USA. pp. 47-86. (2006) 

  9. Kindt TJ, Goldsby RA, Osborne BA, Kuby J. Innate Immunity. 6th ed. W.H. Freeman, New York, USA. pp. 52-73 (2007) 

  10. Allen EV. Lymphedema of the extremities: Classification, etiology and differential diagnosis: A study of three hundred cases. Arch. Intern. Med. 54: 606-624 (1934) 

  11. Harris SR, Hugi MR, Olivotto IA, Levine M.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care and treatment of breast cancer: 11. Lymphedema. Can. Med. Assoc. J. 64: 191-199 (2001) 

  12. Bignotto L, Rocha J, Sepodes B, Eduardo-Figueira M, Pinto R, Chaud M, de Carvalho J, Moreno H Jr, Mota-Filipe H. Anti-inflammatory effect of lycopene on carrageenan-induced paw oedema and hepatic ischaemia-reperfusion in the rat. Brit. J. Nutr. 102: 126-33 (2009) 

  13. Hong ST, Son SY, Rho CW, Lee KH, Jueng JH, Park JS. Variations of protein and oil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Korea perilla(Perilla ocymoides L.) collections. Korean J. Intl. Agri. 15: 329-335 (2003) 

  14. Choung MG. Comparison of major characteristics between seed perilla and vegetable perilla. Korean J. Crop Sci. 50(S): 171-174 (2005) 

  15. Namiki M. The chemistry and physiological functions of sesame. Food Rev. Int. 11: 281-329 (1995) 

  16. Kang MH, Min KS, Ryu SN, Bang JK, Lee BH. Effect of defatted sesame flour on oxidative stress induced by ethanol-feeding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907-911 (1999) 

  17. Khalil AW, Zeb A, Mahmmod F, Tariq S, Khattak AB, Shah H. Comparison of sprout quality characteristics of desi and kabuli type chickpea cultivars (Cicer arietinum L.). LWT-Food Sci. Technol. 40: 937-945 (2007) 

  18. El-Adawy TA.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nutritional factors of chickpeas (Cicer arietinum L.) undergoing different cooking methods and germination. Plant Food Hum. Nutr. 57: 83-97 (2002) 

  19. Peroni DG, Bonomo B, Casarotto S, Boner AL, Piacentini GL. How changes in nutrition have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allergic diseases in childhood. Ital. J. Pediatr. 38: 22-28 (2012) 

  20.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58) 

  21. Re R, Pelli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 Med. 26: 1231-1237 (1999) 

  22. Kim EC, Ahn SY, Hong ES, Li GH, Kim EK, Row KH. Extraction of whitening agents from natural plants and whitening effect. J. Korean Ind. Eng. Chem. 16: 348-353 (2005) 

  23. Zhang Z, Luo P, Li J, Yi T, Wang J, An J, Zhang H. Comparison of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ree medicinal plants known as emeiduoluomii in Tibetan folk medicine. Yakugaku Zasshi 128: 805-810 (2008) 

  24. Nakae S, Suto H, Kakurai M, Sedgwick JD, Tsai M, Galli SJ. Mast cells enhance T cell activation: importance of mast cellderived TNF. P. Natl. Acad. Sci. USA 102: 6467-6472 (2005) 

  25. Galli SJ. New concepts about the mast cell. New Eng. J. Med. 328: 257-265 (1993) 

  26. Mekori YA, Metcalfe DD. Mast cells in innate immunity. Immunol. Rev. 173: 131-140 (2000) 

  27. Hosoda M, Yamaya M, Suzuki T, Yamada N, Kamanaka M, Sekizawa K, Butterfield JH, Watanabe T, Nishimura H, Sasaki H. Effects of rhinovirus infection on histamine and cytokine production by cell lines from human mast cells and basophils. J. Immunol. 169: 1482-1491 (2002) 

  28. Takai T, Ikeda S. Barrier dysfunction caused by environmental proteases in the pathogenesis of allergic diseases. Allergol. Int. 60: 25-35 (2011) 

  29. Wang D, Wang S, Chen X, Xu X, Zhu J, Nie L, Long X. Antitussive, expector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four alkaloids isolated from Bulbus of Fritillaria wabuensis. J. Ethnopharmacol. 139: 189-193 (2012) 

  30. Gilligan JP, Lovato SJ, Erion MD, Jeng AY. Modulation of carrageenan-induced hind paw edema by substance P. Inflammation 18: 285-292 (1994) 

  31. Miwa K, Kambara H, Kawai C. Effect of aspirinin large doses on attacks of variant angina. Am. Heart J. 105: 351-355(19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