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RAW 264.7 대식세포와 궤양성 대장염 마우스 모델에서의 들깨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Perilla frutescens Britton Seed in RAW 264.7 Macrophages and an Ulcerative Colitis Mouse Model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6 no.1, 2014년, pp.61 - 67  

이유나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송보람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주지형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생 들깨와 볶은 들깨의 염증매개물질 감소 효과를 RAW 264.7 대식 세포와 궤양성 대장염이 유도된 마우스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LPS 처리에 의해 활성화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들깨의 에탄올 추출물은 볶음 여부와는 관계없이 NO, IL-6, TNF-${\alpha}$와 같은 염증매개물질 수준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대조군 대비 45-85% 수준)가 있었다. 반면 DSS 처리에 의해 궤양성 대장염이 유도된 마우스 모델에서는, 볶은 들깨 식이(1%)만이 대장의 $PGE_2$, $LTB_4$와 같은 염증매개물질 수준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각각 대조군 대비 34%, 58% 수준)가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볶은 들깨는 in vitro 항염성 뿐 아니라 in vivo 항염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들깨의 볶음 과정에서 생성된 항염 기능 성분들을 분리 동정하는 연구와 볶은 들깨의 항염성과 관련된 기전에 관한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볶은 들깨가 대장염을 포함한 여러 염증관련 질병 예방에 유용한 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raw (P) and roasted (RP) Perilla frutescens Britton (perilla) seeds in RAW 264.7 macrophages and an ulcerative colitis mouse model. In lipopolysaccharide-treated RAW 264.7 cells, treatment with ethanol extract of P at the concentr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는 DSS에 의하여 궤양성 대장염이 유도된 마우스에서 P와 RP 함유 식이가 대장 염증매개물질의 수준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장 균질액에서 NO, IL-6와 함께 arachidonic acid의 주요 대사물질인 PGE2와 LTB4의 수준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생 들깨와 볶은 들깨의 염증매개물질 감소 효과를 RAW 264.7 대식 세포와 궤양성 대장염이 유도된 마우스를 이용하여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생 들깨와 볶은 들깨의 염증매개물질 감소 효과를 RAW 264.7 대식 세포와 궤양성 대장염이 유도된 마우스를 이용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얻어지는 결과는 향후 들깨의 항염성과 관련된 작용기전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대장 균질액의 단백질 함량은 bicinchoninc acid kit (Thermo Scientific, Waltham, MA, USA)을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Bio-Rad Laboratories)를 측정하는 과정을 거쳐 산출하였다. 이 값은 이후 대장 균질액에서 측정된 염증매개물질 수준을 표준화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들깨의 원산지는? 들깨(Perilla frutescens Britton)는 통화식물목 꿀풀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로, 중국 중남부와 인도 고지 지역 등이 그 원산지로 알려져 있는데(1,2) 우리나라에는 통일신라시대에 유입되었다고 추정되고 있다(3). 오늘날 들깨는 우리나라에서 뿐 아니라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종자 그대로의 형태나 종자를 착유하여 얻은 기름의 형태로 널리 소비되고 있다(1,2).
들깨의 총 지질 중 약 50-60%를 차지하는 것은? 즉 들깨는 한국인의 식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식품이라고 할 수 있다. 들깨의 지질 함량(약 38-44%)은 대체로 탄수화물(약 28-40%)이나 단백질(약 16-17%) 함량보다 높은데, 지질 중에서도 특히 ω-3계 불포화지방산인 α-linolenic acid (C18:3)가 총 지질의 약 50-60%를 차지하고 있다(5,6). 들깨에는 이밖에도 총 식이섬유(약 28 g/100 g), 칼슘(약 750 mg/100 g), γ-tocopherol (약 56 mg/100 g) 등의 함량이 높다(5,6).
들깨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기능 성분 중 α-Linolenic acid의 효능은? 들깨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기능 성분으로는 α-linolenic acid, rosmarinic acid, ursolic acid, oleanolic acid 등이 알려져 있다. α-Linolenic acid의 경우 혈압감소(16), 혈전개선(17), 동맥경화 예방(18), 대장종양 발생억제(19) 효과 등이 보고된 바 있으며, rosmarinic acid의 경우 항산화(20), 항염(21,22), 간독성 감소(23), 항 돌연변이(24), 항균(25), 항바이러스(21), 항알러지(26) 효과 등이 보고된 바 있다. 또한 triterpenoid에 속하는 ursolic acid와 oleanolic acid의 경우에는 항산화(27), 항염증(27), 종양성장 억제(28), 혈관신생성 억제(29) 등의 기능성이 보고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Lee CB. Coloured Flora of Korea. 1st ed. Hyang Mun Sa, Seoul, Korea. p. 140 (2003) 

  2. Kim TJ. Korean Resources Plants.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er, Seoul, Korea. p. 60 (1996) 

  3. Park JH, Yang CB. Studies on the removal of phytate from korean perilla (perilla ocimoides, L.) protein.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343-349 (1990) 

  4. MHW. Korea health statistic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Seoul, Korea. pp. 345-348 (2010) 

  5. Shin HS, Kim SW. Lipid composition of perilla seed. J. Am. Oil Chem. Soc. 71: 619-622 (1994) 

  6.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Food composition Table. 8th ed.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p. 100 (2011) 

  7. Park DS, Lee KI, Park KY. Quantitative analysis of dietary fibers from perilla frutescens seeds and antimutagenic effect of its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900-905 (2001) 

  8. Lee HA, Han JS. Anti-inflammatory effect of perilla frutescens (L.) Britton var. frutescens extract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Prev. Nutr. Food Sci. 17: 109-115 (2012) 

  9. Kim KH. Antioxidative effect of various solvent extracts from roasted perilla oil. Woosong Review 8: 1-11 (2003) 

  10. Okuno M, Kajiwara K, Imai S, Kobayashi T, Honma N, Maki T, Suruga K, Goda T, Takase S, Muto Y, Moriwaki H. Perilla oil prevents the excessive growth of visceral adipose tissue in rats by down-regulating adipocyte differentiation. J. Nutr. 127: 1752-1757 (1997) 

  11. Narisawa T, Takahashi M, Kotanagi H, Kusaka H, Yamazaki Y, Koyama H, Fukaura Y, Nishizawa Y, Kotsugai M, Isoda Y, Hirano J, Noritoshi N. Inhibitory effect of dietary perilla oil rich in the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 ${\alpha}$ -linolenic acid on colon carcinogenesis in rats. Jpn. J. Cancer Res. 82: 1089-1096 (1991) 

  12. Yoon SK, Kim JH, Kim ZU. Studies on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from defatted perilla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160-164 (1993) 

  13. Cho HS, Ahn MS. Antioxidative effect of phenolic acids in defatted perilla flour on soybean oil. Korean J. Food Cookery Sci. 15: 55-60 (1999) 

  14. Um MY, Choi WH, An JY, Kim SR, Ha TY. Effect of defatted sesame and perilla methanol extracts on cognitive func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in SAMP8 m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637-642 (2004) 

  15. Rhie SG, Park YJ. Effect of the addition of defatted perilla on lipid metabolism in rats. J. Korean Soc. Food. Nutr. 20: 72-77 (1991) 

  16. Paschos GK, Magkos F, Panagiotakos DB, Votteas V, Zampelas A.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flaxseed oil lowers blood pressure in dyslipidaemic patients. Eur. J. Clin. Nutr. 61: 1201-1206 (2007) 

  17. Holy EW, Forestier M, Richter EK, Akhmedov A, Leiber F, Camici GG, Mocharla P, LUscher TF, Beer JH, Tanner FC. Dietary ${\alpha}$ -linolenic acid inhibits arterial thrombus formation, tissue factor expression, and platelet activation. Arterioscler. Thromb. Vasc. Biol. 31: 1772-1780 (2011) 

  18. Djousse L, Pankow JS, Eckfeldt JH, Folsom AR, Hopkins PN, Province MA, Ellison RC. Relation between dietary linolenic acid and coronary artery disease in the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family heart study. Am. J. Clin. Nutr. 74: 612-619 (2001) 

  19. Song JH, Park HS, Seo ES, Kim DY. Effect of different dietary fats on colon tumor incidence and in vivo cell proliferation in colonic mucosa of MNU-treated rats. Korean J. Nutr. 27: 552-562 (1994) 

  20. Frankel EN, Huang SW, Aeschbach R, Prior E. Antioxidant activity of a rosemary extract and its constituents, carnosic acid, carnosol, and rosmarinic acid, in bulk oil and oil-in-water emulsion. J. Agr. Food Chem. 44: 131-135 (1996) 

  21. Swarup V, Ghosh J, Ghosh S, Saxena A, Basu A. Antivir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osmarinic acid in an experimental murine model of japanese encephalitis. Antimicrob. Agents. Ch. 51: 3367-3370 (2007) 

  22. Osakabe N, Yasuda A, Natsume M, Yoshikawa T. Rosmarinic acid inhibits epidermal inflammatory responses: anticarcinogenic effect of perilla frutescens extract in the murine two-stage skin model. Carcinogenesis 25: 549-557 (2004) 

  23. Osakabe N, Yasuda A, Natsume M, Sanbongi C, Kato Y, Osawa T, Yoshikawa T. Rosmarinic acid, a major polyphenolic component of perilla frutescens reduces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liver injury in d-galactosamine (d-GalN)-sensitized mice. Free Radical Bio. Med. 33: 798-806 (2002) 

  24. Furtado MA, de Almeida LC, Furtado RA, Cunha WR, Tavares DC. Antimutagenicity of rosmarinic acid in Swiss mice evaluated by the micronucleus assay. Mutat. Res.-Gen. Tox. En. 657: 150-154 (2008) 

  25. Chakraborty D, Mandal SM, Chakraborty J, Bhattacharyaa PK, Bandyopadhyay A, Mitra A, Gupta K. Antimicrobial activity of leaf extract of basilicum polystachyon (L) moench. Indian J. Exp. Biol. 45: 744-748 (2007) 

  26. Takano H, Osakabe N, Sanbongi C, Yanagisawa R, Inoue KI, Yasuda A, Natsume M, Baba S, Ichiishi EI, Yoshikawa T. Extract of perilla frutescens enriched for rosmarinic acid, a polyphenolic phytochemical, inhibits seasonal allergic rhinoconjunctivitis in humans. Exp. Biol. Med. 229: 247-254 (2004) 

  27. Tsai SJ, Yin MC.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protection of oleanolic acid and ursolic acid in PC12 cells. J. Food Sci. 73: 174-178 (2008) 

  28. Hsu HY, Yang JJ, Lin CC. Effects of oleanolic acid and ursolic acid on inhibiting tumor growth and enhancing the recovery of hematopoietic system postirradiation in mice. Cancer Lett. 111: 7-13 (1997) 

  29. Sohn KH, Lee HY, Chung HY, Young HS, Yi SY, Kim KW. Anti-angiogenic activity of triterpene acids. Cancer Lett. 94: 213-218 (1995) 

  30. Medzhitov R. Origin and physiological roles of inflammation. Nature 454: 428-435 (2008) 

  31. Coussens LM, Werb Z. Inflammation and cancer. Nature 420: 860-867 (2002) 

  32. Libby P. Inflamma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mechanisms. Am. J. Clin. Nutr. 83: 456S-460S (2006) 

  33. Gismera CS, Aladren BS. Inflammatory bowel diseases: a disease (s) of modern times? Is incidence still increasing?. World J. Gastroenterol. 14: 5491-5498 (2008) 

  34. Yang SK, Yun S, Kim JH, Park JY, Kim HY, Kim YH, Chang DK, Kim JS, Song IS, Park JB, Park ER, Kim KJ, Moon G, Yang SH. Epidemiology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 the songpa-kangdong district. Seoul, Korea, 1986-2005: A KASID study. Inflamm. Bowel Dis. 14: 542-549 (2008) 

  35. Cosnes J, Gower-Rousseau C, Seksik P, Cortot A. Epidemiology and natural history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s. Gastroenterology 140: 1785-1794 (2011) 

  36. Cabre E, Domenech E. Impact of environmental and dietary factors on the course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World J. Gastroenterol. 18: 3814-3822 (2012) 

  37. Green LC, Wagner DA, Glogowski J, Skipper PL, Wishnok JS, Tannenbaum SR. Analysis of nitrate, nitrite, and [ISN] nitrate in biological fluids. Anal. Biochem. 126: 131-138 (1982) 

  38. Willeaume V, Kruys V, Mijatovic T, Huez G. Tumor necrosis factor-alpha production induced by viruses and by lipopolysaccharides in macrophag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J. Inflamm. 46: 1-12 (1995) 

  39. Hur SY. Macrophage stimulating activity of perila extract in vitro and in vivo.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997) 

  40. Ee KY, Agboola S, Rehman A, Zhao J. In vitro antioxidant and bioactive properties of raw and roasted wattle (Acacia victoriae Bentham) seed extracts. Int. J. Food. Sci. Tech. 47: 2000-2008 (2012) 

  41. Dewanto V, Wu X, Liu RH.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 Food Chem. 50: 4959-4964 (2002) 

  42. Paur I, Balstad TR, Blomhoff R. Degree of roasting is the main determinant of the effects of coffee on NF- ${\kappa}B$ and EpRE. Free Radical Bio. Med. 48: 1218-1227 (2010) 

  43. Perrone D, Farah A, Donangelo CM. Influence of coffee roasting on the incorpor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to melanoidin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antioxidant activity of the brew. J. Agr. Food Chem. 60: 4265-4275 (2012) 

  44. Lee SW, Jeung MK, Park MH, Lee SY, Lee JH. Effects of roasting conditions of sesame seeds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pressed oil during thermal oxidation. Food Chem. 118: 681-685 (2010) 

  45. Kawada M, Arihiro A, Mizoguchi E. Insights from advances in research of chemically induced experimental models of human inflammatory bowel disease. World J. Gastroenterol. 13: 5581-5593 (2007) 

  46.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Food balance sheet.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Seoul, Korea. p. 11 (2011) 

  47. Newmark HL. Nutrient density: an important and useful tool for laboratory animal studies. Carcinogenesis 8: 871-873 (1987) 

  48. Amacher DE. A toxicologist's guide to biomarkers of hepatic response. Hum. Exp. Toxicol. 21: 253-262 (2002) 

  49. Joshi VD. Anatomy and physiology for nursing and healthcare. BI Publications Pvt Ltd., Janpath, New Delhi, India. pp. 216-219 (2006) 

  50. Herias MV, Koninkx JF, Vos JG, van Dijk JE. Probiotic effects of lactobacillus casei on DSS-induced ulcerative colitis in mice. Int. J. Food. Microbiol. 103: 143-155 (2005) 

  51. Cho EJ, Shin JS, Noh YS, Cho YW, Hong SJ, Park JH, Lee JY, Lee JY, Lee KT. Anti-inflammatory effects of methanol extract of patrinia scabiosaefolia in mice with ulcerative colitis. J. Ethnopharmacol. 136: 428-435 (2010) 

  52. Arafa HM, Hemeida RA, El-Bahrawy AI, Hamada FM. Prophylactic role of curcumin in dextran sulfate sodium (DSS)-induced ulcerative colitis murine model. Food Chem. Toxicol. 47: 1311-1317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