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계정행렬을 이용한 수자원분야 정책 효과 분석
The Economic Impact Analysis on the Water Industry with Social Accounting Matrix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7 no.2, 2014년, pp.95 - 106  

최한주 (K-water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수자원 정책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를 추정하기 위해 사회계정행렬을 적용한 연구이다. 수자원부문의 사회계정행렬 작성에는 "2009년 산업연관표"와 "2009년 국민계정", "2009년 가계소비실태조사" 등의 통계 자료 등이 활용되었다. 승수분석을 이용하여 수자원부문의 정책 효과를 추정한 결과, 1) 총산출 승수 효과는 5.300~7.741, 2) 부가가치 승수 효과는 0.685~1.158, 3) 가계소득 승수 효과는 0.511~0.984, 4)가계소득 재분배 승수 효과는 -0.096~0.247과 같았다. 본 연구결과는 수자원부문이 우리나라 경제 및 가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데 있어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nalyses the economic effects of the water industry on the Korean economy by using Social Accounting Matrix (SAM). The SAM is constructed based on the Input-Output table, National account and Family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for Korea in 2009. Through the SAM multiplier analysis, I 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최근 국제적 동향은 물산업의 범위를 물공급과 관련된 정비, 수력발전 등의 사업뿐만 아니라 하천 및 유역을 포함한 생태, 해수담수화, 대체수자원개발 등으로 확대하고 있다1). 따라서 본 연구는 수자원의 정책 파급 효과를 추정하기 위해 물산업의 범주를 상하수도 부문뿐만 아니라 하천정비, 수력 등으로 확장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수자원부문, 물산업이 국가 경제 측면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었다. 아울러 수자원 혹은 물산업 정책을 추진하는 정책전문가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라고 보여진다.
  • 본 연구는 수자원부문의 사회계정행렬을 작성하고 생산 활동과 함께 생산 요소 및 제도부문 등을 내생화하여 승수 분석을 통해 수자원 정책 변화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추정하고자 한다. 또한 제도부문 가운데 가계를 소득 10분위별로 분류하여 가계 소득에 미치는 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물 복지 측면에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가설 설정

  • 이들 제도부문의 개별 경제주체간 경상이전거래는 국민계정 제도부문별 소득계정의 ‘2차소득분배 계정’을 활용하였다. 가계는 노동력 공급, 자본 제공에 대한 대가로 근로소득과 이자를 수취하고 기업이나 정부로부터 이전소득과 국외로부터 국외경상이전 거래를 한다. 또한 가계의 지출부문은 생산된 상품을 구입하는 가계소비지출과 기업 및 해외 부문에 대한 이전지출, 가계저축으로 구성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후 변화로 인해 예상되는 문제점은? 기후 변화로 인해 물 부족 및 지역별· 계절별 분포의 불균형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민의 생존과 직결되는 물 이용의 필수 수단으로서 수자원 인프라 투자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수자원의 정책 파급 효과를 추정하기 위해 물산업의 범주를 상하수도 부문뿐만 아니라 하천정비, 수력 등으로 확장한 배경은 무엇인가? 환경부는 2007년 발표한 물산업육성계획에서 물산업을 “각종 용수 (생활, 공업)를 생산하여 공급하는 산업과 하수· 폐수를 이송 및 처리하는 산업서비스”로 정의하고, KEI(2010)는“물을 취수하여 정수 처리한 후 공급하고, 물 사용 이후 하· 폐수를 이송 처리하는데 관여하는 서비스업 일체를 포함하는 산업”으로 정의하여 상하수도 위주로 물산업을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국제적 동향은 물산업의 범위를 물공급과 관련된 정비, 수력발전 등의 사업뿐만 아니라 하천 및 유역을 포함한 생태, 해수담수화, 대체수자원개발 등으로 확대하고 있다1). 따라서 본 연구는 수자원의 정책 파급 효과를 추정하기 위해 물산업의 범주를 상하수도 부문뿐만 아니라 하천정비, 수력 등으로 확장해보고자 한다.
전 세계 물산업의 규모는 어떻게 예상되는가? 동시에 도시화, 산업화로 인해 물 수요가 증가하고 삶의 수준이 향상되면서 수자원 인프라에 대한 시설확충, 재정적 투자가 확대되고 있다. GWI(2011)은 전 세계 물산업의 규모는 2010년 4,800억 달러에서 연간 6.5% 성장하여 2025년에는 8,650억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ank of Korea. (2011). Input-Output Tables in 2009. 

  2. Bank of Korea. (2011). National Accounting in 2009. 

  3. Choi, H.J., and Park, D.H. (2010). "I-O Analysis for the Economic Impact of Water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Water and Wastewater, Vol. 24, No. 1, pp. 25-32. 

  4. Choi, J.H, Heo, E.N., and Shim, M.P. (2000). "The Economic Impacts of Water Supply Constraints During a Drought Using Input-Output Analysi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3, No. 5, pp. 647-658. 

  5. Chung-I Li, J. (2002). A 1998 Social Accounting Matrix (SAM) for Thailand', TMD Discussion Paper No 95, International Food Policy Research Institute, Washington D.C. 

  6. Gang, D.Y. (2011). "Increasing Polarization between Families and between Firms : Causes, Implications and Policy Options." Health and Welfare Forum, 178. 

  7. Global Water Intelligence. (2011). Global Water Market 2010. 

  8.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2013). Manual of Revenue-expenditure Budget in 2014. 

  9.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0). Policy for development ofWater industry: Response to Climate Change. 

  10. K-water. (2010). A Profit and Loss Statement in 2009. 

  11. Llop, M., and Manresa, A. (2004). "Income Distribution in a Regional Economy: A SAM Model." Journal of Policy Modeling, Vol. 26, No. 6. pp. 689-702. 

  12. McKinsey. (2009). Charting Our Water Future-Economic Frameworks to Inform Decision-making. 

  13. Ministry of Environment. (2010). Statistics of Sewerage in 2009. 

  14. Ministry of Environment. (2008). Study ofWater Industry Statistics for Special Classification System. 

  15.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2012). 2011 Software Industry Analysis Report. 

  16. Noh, Y.H., and Nam, S.H. (2006). Analysis of the Income Re-distribution Effects of the Social Expenditures, Bank of Korea. 

  17. Noh, Y.H., and Ok, S.S. (2010). "A Study of SAM Multiplier Analysis for Korean Cultural Industries." Journal of Korean Cultural Industries, Vol. 10, No. 1, pp. 81-100. 

  18. OECD. (2012). OECD Environmental Outlook to 2050 -The Consequences of Inaction. 

  19. Ok, S.S., and Noh, Y.H. (2008). A Study of SAM Multiplier Analysis for Korean Cultural Industries,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20. Ok, S.S., Ji, H.M., and Choi, J.I. (2004). Analysis of A Social Accounting Matrix for Cultural Industries,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21. Park, D.H., and Choi, H.J. (2006). "The Role of Utility Industry to the National Economy Using Input-Output Analysis." Proceedings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in 2006, pp. 663-668. 

  22. Park, D.H., and Choi, H.J. (2007). "The Economic Impacts of Water Supply Constraints During a Drought Using Intra-Regional Input Output." Proceedings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in 2007, pp. 481-486. 

  23. Pyatt G., and Thorbecke, E. (1976). Planning Techniques for a Better Future, International Labour, Geneva. 

  24. Pyatt, G., and Round, J. (1979). "Accounting and Fixed Price Multipliers in a Social Accounting Framework." Economic Journal, Vol. 89, No. 356, pp. 850-873. 

  25. Roland-Holst, D.W., and Sancho, F. (1992). "Relative Income Determination in the United States: A Social Accounting Perspective." Review of Income and Wealth, Vol. 38, No. 3, pp. 311-327. 

  26. Ryu, G.H. (2003). The Method for Estimating Socioeconomic Impacts of Tourism Industry in Korea,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27. Schneider, M.H., and Zenios, S.A. (1990). "A Comparative Study of Algorithms for Matrix Balancing." Operations Research, Vol. 38, No. 3, pp. 439-455. 

  28. Shin, D.C. (2000). On the Methods of CGE Modelling, Bank of Korea. 

  29. Statistical Research Institute. (2007). Study on introduction of Social Accounting Matrix(SAM). 

  30. Statistics Korea. (2010a). Family Budget Survey in 2009. 

  31. Statistics Korea. (2010b). Service Industry Survey in 2009. 

  32. Sung, M.H, Lee, J.M., and Lee, S.M. (2011). "The Effect of the Ground Water in Jeju Island. Using the Regional Input-Output Table." Journal of Rural Development, Vol. 34, No. 5, pp. 55-7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