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신경망 이론과 수리학적 홍수추적에 의한 홍수예측에 관한 연구
Flood Forecasting Study using Neural Network Theory and Hydraulic Routing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7 no.2, 2014년, pp.207 - 221  

지홍기 (영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설시스템공학과) ,  추연문 (영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설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에 들어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단시간에 집중되는 국지성 호우와 돌발성 호우로 인하여 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국지적 집중호우와 돌발홍수의 특성을 연구하고 이를 데이터 마이닝 기법에 의한 홍수예측에 관한 연구를 적용하여 낙동강 유역의 국지적 집중호우와 돌발홍수에 대처할 수 있는 홍수예측모형을 구축하였다. Data Mining 기법인 신경망 이론과 하도의 수리학적 홍수추적을 사용한 모형을 구축하여 1989년 7월에서 1999년 9월 사이의 홍수사상을 대상으로 낙동 지점과 일선교 지점에서의 관측수위와 경사면적법의 홍수위를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유역을 3가지 Case로 구분하여 각 지점에 따른 홍수량, 수위에 의한 수리학적 홍수추적 모형을 구성과 간단한 입력자료만으로 홍수예측이 가능한 인공지능 기반의 신경망 모형을 이용하여 수위곡선을 비교분석하였으며, 실측 수위와 모형에 의해 예측 수위를 비교평가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due to global warming, climate change has affected short time concentrated local rain and unexpected heavy rain which is increasingly causing life and property damage. Therefore, this paper studies the characteristic of localized heavy rain and flash flood in Nakdong basin study area by a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데이터 마이닝 기법에 의한 홍수예측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예측시스템을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홍수예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고수위에서의 정확한 예측이다.
  • 본 논문은 하천에서의 주요 지점의 수위변화 및 수위예측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리학적 모형을 구축하여 극한홍수량의 홍수사상을 사용하였다. 또한 대상유역을 3가지 Case로 Fig.
  • 본 연구에서 낙동 수위표에서 왜관 수위표 사이의 낙동강 구간에 대하여 데이터 마이닝 기법과 수리학적 홍수추적에 의한 홍수예측에 관해서 분석한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국지적 집중호우와 돌발홍수의 특성을 연구하고 이를 데이터 마이닝 기법에 의한 홍수예측에 관한 연구를 적용하여 낙동강 유역의 국지적 집중호우와 돌발홍수에 대처할 수 있는 홍수예측모형을 구축하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처음 신경망 이론에 대한 연구는 언제 시작되었는가?? 한편 신경망 이론은 MuCulloch와 Pitts가 1943년 인간의 두뇌를 모델로 하여 단순한 논리 연산이 가능한 연구에서 시작되었다. MuCulloch와 Pitts의 연구가 뉴런에 대하여 단순히 논리구현에 그쳤던 반면에 Hebb (1949)는 최초의 신경망 학습 방법을 제안했으며, 1957년 Rosenblatt가 인식자(Perceptron)란 최초의 신경망 모형을 발표하면서 입력층과 출력층을 가진 신경망에 대한 여러 연구가 시작되었다.
Lapedes and Farber의 신경망 이론의 특징은 무엇인가? 외국의 경우 1980년대 중반에 이르러 PDP(Parallel Distributed Processing) 모임에 의해 다층 인식자를 학습시킬 수 있는 역전파 학습 알고리즘이 발표되었고, Lapedes and Farber (1987)은 시계열자료를 다층인식자에 적용하여 오차 역전파 알고리즘에 의해 학습시킨 것으로 관측치에 대한 적합도 및 예측치가 기존의 계량적 방법보다 우수하다고 한 신경망 이론을 처음 도입하였다. 신경망의 수문학적 예측에 이용한 연구는 1990년 이후부터 진행되기 시작했으며 French et al.
홍수위 예측기법 수행 시 필요한 하천의 유출량 파악이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하천을 포함한 유역의 정확한 강우-유출특성의 파악이 필요하다. 그러나 강우-유출특성 또한 유역 내 강우의 시공간적 분포가 다르며 수많은 변수들과 비선형적이고 여러 변동성을 포함하므로, 강우로부터 하천의 유출량의 정확한 해석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최근 인공지능 분야에서 신호처리, 패턴인식, 지능제어 등의 수단으로 이용되는 신경망 학습이라는 최적화 과정을 통해 입력과 출력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시스템을 비선형적으로 구성하여 활용할 수 있어 수자원 분야에서 다방면으로 적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S.S., and Kim, S.W. (1997). "A Stochastic Nonlinear Analysis of Daily Runoff Discharg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 Journal of Korean Society Agricultural Engineers, Vol. 39, No. 6, pp. 54-66. 

  2. Amein, M. (1966). "Streamflow Routing on Computer by Characteristics."Water Resource. Res., Vol. 2, No. 1, pp. 123-130. 

  3. Amein, M., and Fang, C.S. (1970). "Implicit Flood Routing in Natural Channels." Journal of. Hydraul. Div. Amer. Soc. Civil Eng., 96 (HY12), pp. 2481-2500. 

  4. Barkau, R.L. (1993). UNET One-Dimensional Unsteady Flow Through a Full Network of Open Channels User's Manual, U.S. Army Corps of Engineers, Davis. 

  5. Choi, B.H., Ko, J.S., and Ann, I.J. (1995). "An Implicit Numerical Model of the Han Riv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ean Engineering, Vol. 7, No. 4, pp. 346-354. 

  6. Cooley, R.L., and Moin, S.A. (1976). "Finite Element Solution of Saint-Venant Equations." Journal of Hydrology Div., ASCE, Vol. 102, No. HYDR. Div., ASCE, Vol. 102, No. HY6, pp. 759-775. 

  7. Cunge, J.A., Holly, F.M., and Verwey, A. (1980). Practical Aspects of Computational River Hydraulics, Pittman. 

  8. Fread, D.L., and Lewis, J.M. (1998). The NWS FLDWAV Model Quick Users Guide, NOAA, Silver Spring. 

  9. French, M.N., Krajewski, W.F., and Cuykendal, R.R. (1992). "Rainfall Forecasting in Space & Time Using a Neural Network." Journal of Hydrology, Vol. 137, Issues 1-4, pp. 1-31. 

  10. Garrett, J.H., Ghaboussi, J., Xu, X., and Ranjuthan, S. (1992). Neural Networks and Their Application to Civil Engineering, Allen, R.H. (Eds.), Expert systems in civil engineering-knowledge representation. 

  11. Hwang, E.J., and Jun, K.S. (1997). "Unsteady Flow Model for the Main Reach of the Han River : Calibra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0, No. 5, pp. 459-559. 

  12. Kang, K.W., Park, C.Y., and Kim, J.H. (1992). "Nonlinear Prediction of Streamflow by Applying Pattern Recognition Metho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25, No. 3, pp. 105-113. 

  13. Kim, D.G., Kim, W., and Kim, S. (2001). "Applying UNET model for flow Analysis of the Lower Han River."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KWRA, pp. 673-678. 

  14. Kim, S.H., and Kim, W. (2002). "Establishment of Hydraulic Model for flow Analysis of the Lower Han River."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5, No. 5, pp. 485-500. 

  15. Kim, W., and Kim, C.W. (1999).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n River FlowConsidering the Effect of Singok Submerged Weir and Tidal Motions,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KWRA. 

  16. Kim, W., and Woo, H.S. (1996). "Analysis of Flood Flow Characteristics of the Han River using 1-Dimensional St. Venant Equation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29, No. 1, pp. 163-179. 

  17. Lapedes, A.S., and Farber, R. (1987). Non-Linear Signal Processing using Neural Networks : Prediction and System Modeling,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report, LA-UR-87-2662. 

  18. Lee, J.H. (2011). Flood Forecasting Techniques for Intelligent U-River System Operation,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Yeungnam University Master Thesis 

  19. Minns, A.W., and Hall, M.J. (1996). "Artificial Neural Networks as Rainfall-Runoff Models." Journal of Hydrology, Vol. 41, pp. 399-417. 

  20. MLIT. (2009). Nakdong River Master Plan. 

  21. Oh, N.S. (1996). Comparative Study on Rainfall Prediction by Neural Network and Kalman Filter,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Seoul University Ph.D. Thesis. 

  22. Schaffranek, R.W. (1987). FlowModel for Open Channel Reach of Network : U.S. Geological Survey Professional Paper 1384,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Washington. 

  23. WMO. (1975). Intercomparison of Conceptual Models Used in Operational Hydrological Forecasting, WMO Operational Hydrology. 

  24. Yeo, W.K. (2011). Development of Web-Based Flood Disaster Prevention System; Development of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Using Internet GIS at Medium and Small River,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Yeungnam University Ph.D. Thesi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