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Cold hypersensitivity has been regarded to be associated with digestive function. This study is aim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digestive function and coldness of hands. Methods: We made a research of 80 women who is in ${\bigcirc}{\bigcirc}$ University. The patie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소화기능에 대한 평가도구로 소화불량증 특이적 삶의 질 평가 도구(Nepean dyspepsia index-Korean version, 이하 NDI-K)를 사용하여 소화정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冷症의 중요 원인 중에 하나로 여겨지는 消化機能障碍와 여성의 냉한 정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冷症이란? 冷症은 일반적으로 冷症을 느끼지 않을 만한 온도에서 신체 및 신체의 어느 특정한 부위에 冷感을 심하게 느끼는 곤란한 상태를 말한다12). 冷症은 특히 여성에게서 많이 나타나며 서구인보다는 동양인에게서 더 많이 나타나는데 특히 기후변화가 뚜렷한 우리나라에서 手足冷症은 흔히 접할 수 있는 건강상의 문제 이다.
冷症의 원인은? 冷症의 원인으로는 胃腸障碍로 인한 體力의 低下, 新陳代謝障碍, 血液의 不足 즉 貧血에서 오는 것, 低血壓, 自律神經의 異狀에 의한 毛細血管의 收縮, 骨盤內의 鬱血, 體內水分의 偏在 등으로 본다11).
냉증에 대한 치료의 평가에 대한 연구가 미미하여 이를 객관화하고 계량화하기 위한 노력은? 냉증과 소화불량과 관련하여 국내 임상 연구에서는 유의한 상관성이 있음이 밝혀졌으나3) 아직까지 냉증에 대한 치료의 평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냉증의 진단 및 평가는 환자의 주관적인 호소에 의존하게 되는데, 이를 객관화 하고 계량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초체온측정법, 적외선 체열진단기(Digital Infrared Thermographic Imaging, 이하 DITI)를 이용하고 있다. DITI를 이용하여 腹部 온도를 측정하여 치료경과를 객관화하였으며2021), 소화불량 환자2223) 및 중증도 이상의 위염이 있는 환자24)에서 中脘穴의 체열온도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中脘-膻中의 온도차에서도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木下外. 현대의 한방치료. 서울:한성출판사. 1989:145-7, 153-4, 1223-5. 

  2. 이수림, 이경섭, 송병기. 부인 냉증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6;9(1):55-80. 

  3. 최석영 등. 젊은 여성의 冷症과 건강지표들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1;24(4):62-70. 

  4. 박영태. 소화불량증의 정의 및 진단적 접근. 서울:진기획. 2006:13-29. 

  5. Talley NJ, et al. Functional gastroduodenal disorders. Gut. 1999; 45(Suppl II):37-42. 

  6. 허충 등. 한국인의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의 증상관찰, 아형분류 및 이에 대한 시사프리드의 효과.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지. 1998;4(1):1-12. 

  7. 이광재.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치료 가이드라인. 대한소화기기능성질환.운동학회지. 2005;11(3):25-9. 

  8. 최명규. 기능성 위장질환에서 삶의 질. 대한소화기학회 춘계학술대회. 2002;spr:55-65. 

  9. 전국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수. 비계내과학. 서울:도서출판동우. 2000:51-62, 65-74, 83-8, 154-9. 

  10. 朴炳昆. 增補漢方臨床四十年. 서울:文光文化社. 1981:486-7. 

  11. 大塚敬節. 漢方治療의 實際. 서울:杏林出版社. 1985:510-3. 

  12. 장준복, 이경섭, 송병기. 女性 冷症의 說問을 痛한 失態分析. 대한한의학회지. 1995;16(1):21-35. 

  13. 蕭薰. 女科經綸. 臺北:文源書局. 1971:203. 

  14. ?廷賢. 壽世保元. 臺北:宏業書局有限公司. 1615:249-52. 

  15. 丹波元堅. 雜病廣要. 서울:成輔社. 1986:49-54. 

  16. 陳自明. 校注婦人良方大全. 臺北:文光圖書. 1989:23-5. 

  17. 武之望. 濟陰綱目. 서울:大星出版社. 1998:45. 

  18. 程國彭. 醫學心悟. 臺北:旋風出版社. 1979:162-4. 

  19. 박양춘 등. 68명의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 대한 한의학적 변증분석.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8:29(3);574-81. 

  20. 김은경 등. 적외선 체열검사(DITI)로 복부냉증의 진단과 치료 경과를 평가한 단일 임상례. 대한한방체열의학회지. 2009;7(1):55-65. 

  21. 윤성우, 하지연, 이경섭. 적외선 체열촬영을 이용한 배변습관과 하복 및 수족 냉증의 관련성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2):130-7. 

  22. 윤성우 등. 위장병 환자에서 적외선 체열진단기의 활용.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1;22(4):567-71. 

  23. HJ Park, et al. Digital infrared thermographic imaging in patients with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J Korean Med Sci. 1998;13:291-4. 

  24. 윤성우, 이경섭. D.I.T.I.를 이용한 위장병 환자의 상복부 온도 관찰. 대한한방체열의학회지. 2002;1:7-12. 

  25. 정승환 등. 기능성 소화불량증에 대한 적외선 체열검사(DITI)의 임상 지표적 의의 연구. 대한한방체열의학회지. 2008;6(1):56-62. 

  26. 김경혜 등. 적외선 체열촬영을 이용한 복부구법이 복부 및 수장의 온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체열의학회지. 2006;5(1):37-45. 

  27. 김동환, 김용석, 이경섭. DITI를 이용한 수족 냉증 진단의 표준화.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2):129-34. 

  28. Watson HR, et al. Seasonal variation of Raynaud's phenomenon secondary to systemic sclerosis. J Rheumatol. 1999;26(8):1734-7. 

  29. Talley NJ, et al. Development of a new dyspepsia impact scale: the Nepean Dyspepsia Index. Aliment Pharmacol Ther. 1999;13(2):225-35. 

  30. Talley NJ, Verlinden M, Jones M. Validity of a new quality of life scale for functional dyspepsia: a United States multicenter trial of the Nepean Dyspepsia Index. Am J Gastroenterol. 1999;94(9):2390-7. 

  31. Talley NJ, Verlinden M, Jones M. Quality of life in functional dyspepsia: responsiveness of the nepean dyspepsia index and development of a new 10-item short form. Aliment Pharmacol Ther. 2001;15(2):207-16. 

  32. 박숙영, 문구, 문석재. 脾胃와 七情에 관한 文獻的 考察(東西醫學의 比較). 대한한의학회지. 1976;13(1):140-51. 

  33. 전우현 등.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의 한방치료 후 삶의 질 변화에 대한 임상적 평가.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1;22(3):361-6. 

  34. 강산건 등. 기능성소화불량증 환자의 분노, 감정표현 불능정과 우울. 가정의학회지. 2002;23(7):881-7. 

  35. Talley NJ, Piper DW. Major life event stress and dyspepsia of unknown cause: a case control study. Gut. 1986;27: 127-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