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인항공기의 국토모니터링분야 적용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UAV for Korean Land Monitoring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2 no.1, 2014년, pp.29 - 38  

김덕인 (Geostory Corporation) ,  송영선 (Dept. of Aerial Geoinformatics, Inha Technical College) ,  김기홍 (Dept. of Civil Engineering,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김창우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무인항공기는 운용비용이 저렴하고 데이터를 신속하게 취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재해지역의 분석, 지도제작 등과 같은 국토모니터링 분야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기의 국토모니터링분야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지도제작과 관련된 법 제도를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수시갱신용 지도제작 및 재난 재해분야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무인항공기 영상을 취득 후 자료처리를 수행하고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자료처리결과 GPS/INS자료만을 이용했을 경우 약 10m, 지상기준점을 이용했을 경우 10cm의 오차를 보였으며, 따라서 국토모니터링분야에 무인항공기를 효과적으로 활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AV(Unmanned Aerial vehicle) could be effectively applied in a field of land monitoring for analyzing disaster area and mapping, because it can quickly acquire image data at low costs. For this reason, we reviewed the legal system related to mapping, and proposed suggestions for improving in legal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기에서 취득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평면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 데이터의 처리 결과를 바탕으로 재해지역 및 수시갱신에 활용하기 위한 무인항공기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무인항공기를 이용하여 자연재해 및 수시갱신분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정확도뿐만 아니라 시간적인 측면도 고려되어야 하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기를 이용하여 영상을 취득하고 무 기준점 자료처리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는 Table8와 같다. Table 8의 자료처리 공정에서 카메라 캘리브레이션의 단계는 검증이 완료된 상태라면 데이터를 취득할 때마다 수행할 필요는 없으므로 소요시간을 생략할 수 있다.
  • 무인항공기를 이용하여 재난·재해, 수시갱신과 같은 지도제작용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먼저 관련 법제도를 검토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항공법 외에 관련 법 및 규정들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활용도가 높은 무인항공기 항공촬영기술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국토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이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기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수원시 영통구 지역에 대해 무인항공기 촬영을 수행하고 촬영 후 처리에 걸리는 시간 및 정확도를 분석하여 무인항공기의 공간정보 활용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지역 촬영에 사용한 무인항공기는 스웨덴 고정익 SmartOne장비이고, 사용한 카메라는 Canon S95모델이다.
  • 향후 무인항공기가 국내의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되고 많은 기여를 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연구를 통하여 제도화되고 관련 법규와 작업규정이 제작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기에서 취득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평면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 데이터의 처리 결과를 바탕으로 재해지역 및 수시갱신에 활용하기 위한 무인항공기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인 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란 무엇인가? 무인 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는 사람이 탑승하지 않는 항공기를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항공법상에서는 “사람이 탑승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무인동력비행장치의 경우 연료의 중량을 제외한 자체중량이 150킬로그램 이하인 무인항공기 또는 무인회전익비행장치, 무인비행선의 경우 연료의 중량을 제외한 자체 중량이 180킬로그램 이하이고, 길이가 20미터 인하인 무인비행선”으로 규정되어 있다.
무인항공기의 장점은? 무인항공기는 운용비용이 저렴하고 데이터를 신속하게 취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재해지역의 분석, 지도제작 등과 같은 국토모니터링 분야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기의 국토모니터링분야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지도제작과 관련된 법 제도를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항공법상 무인 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의 규정은? 무인 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는 사람이 탑승하지 않는 항공기를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항공법상에서는 “사람이 탑승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무인동력비행장치의 경우 연료의 중량을 제외한 자체중량이 150킬로그램 이하인 무인항공기 또는 무인회전익비행장치, 무인비행선의 경우 연료의 중량을 제외한 자체 중량이 180킬로그램 이하이고, 길이가 20미터 인하인 무인비행선”으로 규정되어 있다. 무인 항공기는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고, 운용이 용이하기 때문에 과거 주로 정찰, 표적을 위한 군사용으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농업분야, 어업분야, 기상관측분야, 통신분야, 엔터테인먼트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2011), Countermeasures against Natural Disasters Act (in Korean) 

  2.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2012), Enforcement Ordinance of Countermeasures against Natural Disasters Act (in Korean) 

  3.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2012), Enforcement Regulations of Countermeasures against Natural Disasters Act (in Korean) 

  4.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2012), Guidelines for Natural Disaster Investigation and Recovery Plan (in Korean) 

  5.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06), Guidelines for Hazard Map Composition Standard (in Korean) 

  6.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12), Working Rules of Aerial Photogrammetry (in Korean) 

  7.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12), Working Rules of Image Map Production (in Korean) 

  8. Bae, S.G., Koo, H,G., and Hwang, K.S. (2010), Development for Monitoring System for Electircial Facilities using an Unmanned Helicopter, Conference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p. 282-2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Bendea, H., Cina, A., Piras, M., Marucco, G., and Mulassano, P. (2010), Posizionamento indoor con ricevitori a basso costo: quali prestazioni, 14a Conferenza nazionale ASITA, Brescia, Italy, pp. 1-5. 

  10. Cheon, J.H., Byeon, Y.S., Yeun, J.S., Song, W.J., Kim, J., and Kang, B.S. (2009), Development of Length-morphing Rotor Blade for Small UAV,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pp. 307-3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Cho, Y.J., Lee, Y.D., and Jung, B.S. (2007), The Estimation of Soil Erosion Factors of Cutting Slope using RC Helicopter Imag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0, No. 2, pp. 81-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Hong, S. B. (2010), The Camera Tracking of Real-Time Moving Object on UAV Using the Color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Flight Operation, Vol.18 No.2, pp. 16-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Jang, H.S. (2010), 3D Stereoscopic Terrain Extraction of Road Cut Failure Slope Using Unmanned Helicopter Photography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28, No. 5, pp. 485-4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Jang, S.W., Lee, S.K., and Yeoun, H.J. (2011), Detection of Marine Debris by using Unmanned Aerial Photograp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ol. 17, No. 4, pp. 307-3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Jung, S.H., Lim, H.M., and Lee, J.K. (2010), Acquisition of 3D Spatial Information using UAV Photogrammetric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28, No. 1, pp. 161-16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ang, T.W., Baek, G.Y., Lee, W.S., Lim, S.W., and Bang, H.C. (2010), Tracking of ground objects using image information for autonomous rotary unmanned aerial vehicl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38, No. 5, pp. 490-49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m, J.B., Kim, M.G., and Yun, H.C. (2011), Improvement of regulations for effective UAV operation in disaster dete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1, No. 3, pp. 509-5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J.H., Choi, K.A., and Lee, I.P. (2012), Calibration of a UAV Based Low Altitude Multi-sensor Photogrammetric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0, No. 1, pp. 31-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in, Z. (2008), UAV for Mapping-Low Alttitude photogrammetric survey, The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Vol. XXXVII, Part B1, Beijing, pp. 1183-1186. 

  20. Nagai, M. (2009), UAV-Borne 3-D Mapping System by Multisensor Integration,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Vol. 47, No. 3, pp. 701-708. 

  21. Rickard K., Thomas S., David T., Gianpaolo C., and Fredrik, G. (2008), Utilizing Model Structure for Efficient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for a UAV Application, Proceedings of the 2008 IEEE Aerospace Conference, Sweden, pp. 1-10. 

  22. Yoon, D.Y. and Kim, S.H. (2007), A Design of Fire Monitoring System Based On Unmaned Helicopter and Sensor Networ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Vol. 17, No. 2, pp. 173-178. 

  23. http://www.airforcetechnology.com (last date accessed: 7 February 2014) 

  24. http://www.uvonline.com (last date accessed: 7 February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