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가(宗家)의 고조리서를 통해본 병과류 연구
A Study on the Recipe of Byung-Kwa-Ryu (Korean rice cake and cookie) in the Old Cookbooks of Jong-Ga (Head & Noble Family)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9 no.1, 2014년, pp.61 - 83  

권용석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최정숙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이진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iew Byung-Kwa-Ryu recipes in old cookbooks of the head & noble family (Jong-Ga). As for details and classification, we examined the materials and recipes of Byung-Kwa-Ryu. To accomplish this, old cookbooks of the head & noble family ("Soowoonjabbang", "Eumsikdimibang"...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종가음식이란 무엇인가? 또한, 궁중음식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발달된 한국음식으로 우리 음식문화의 정수로도 볼 수 있는데(한 & 정 2004), 궁중음식이 민가로 전래되어 발전된 것이 반가음식이다(황 등 2010). 그리고 이러한 반가음식에 지역적 향토성의 영향을 받아 현재까지 내려오고 있는 것이 종가음식이다. 종가음식은 우리나라와 같은 동아시아문화권인 중국, 일본과도 차별화되는 한국만의 독특한 식문화 자원이며, 종가의 경우 자손대대로 불천위 제례를 지내고 있어 제례음식이 발달했으며, 접빈객을 중시하는 관례가 있어 접빈객(손님맞이)음식이 발달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농촌진흥청 2011ab; 주 2011).
종가음식과 편찬된 시기의 음식 문화를 살펴 볼 수 있는 자료는 무엇인가? 종가음식은 우리나라와 같은 동아시아문화권인 중국, 일본과도 차별화되는 한국만의 독특한 식문화 자원이며, 종가의 경우 자손대대로 불천위 제례를 지내고 있어 제례음식이 발달했으며, 접빈객을 중시하는 관례가 있어 접빈객(손님맞이)음식이 발달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농촌진흥청 2011ab; 주 2011). 게다가 종가는 고조리서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종가의 고조리서는 종가의 내림음식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면서 동시에 편찬된 시기의 음식 문화를 살펴 볼 수 있는 역사적 가치를 지닌 식문화 자원이다. 종가의 조리서 중가장 오래된 조리서는 현재까지 발굴된 것 중에서 광산김씨 설월당 종가에서 전해 내려온「수운잡방」(김유, 1540년경) 이고, 그다음으로는 반가의 여성이 집필한 최초의 한글조리서인「음식디미방」(정부인 안동장씨, 1670년경)이다.
반가음식이란 무엇인가? 한국음식의 대표로 몇 해 전 드라마에도 소개되어 국내뿐 아니라 외국인들에게도 관심을 모았던 음식이 궁중음식이다(Kim 2010). 또한, 궁중음식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발달된 한국음식으로 우리 음식문화의 정수로도 볼 수 있는데(한 & 정 2004), 궁중음식이 민가로 전래되어 발전된 것이 반가음식이다(황 등 2010). 그리고 이러한 반가음식에 지역적 향토성의 영향을 받아 현재까지 내려오고 있는 것이 종가음식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2)

  1. 경북대학교출판부 편역. 2003. 음식디미방(정부인 안동장씨 원저, 1670년 경). 경북대학교 출판부. 대구 

  2. 경북여성정책개발원 편. 2012 종가의 깊은 맛 문밖을 나서다. (재)경북여성정책개발원. 경북 

  3.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2005. 종가의 제례와 음식 8: 안동권씨 충재 권벌 종가, 풍산류씨 서애 류성롱 종가. 김영사. 경기 

  4. 김명순, 박은경, 박종숙, 양영숙, 오경옥, 이말순, 이미자, 임경려, 임영희, 전정원, 정외숙, 조후종, 홍순조, 이춘자. 2007. 떡과 전통과자. 교문사. 경기 

  5. 농촌진흥청. 2008. 한국의 전통향토음식 1-10권. 교문사. 서울 

  6. 농촌진흥청. 2010. 내림에서 나눔으로, 종가와 종가음식. 농촌진흥청. 수원 

  7. 농촌진흥청. 2011a. 섬김의 미학. 농촌진흥청. 수원 

  8. 농촌진흥청. 2011b. 종가음식 이야기, 인테러뱅 제12호. 농촌진흥청. 수원 

  9. 농촌진흥청 편역. 2011. 영접도감의궤. 농촌진흥청. 수원 

  10. 대전역사박물관 편역. 2012. 조선 사대부가의 상차림, 주식시의 (연안이씨 부인 등 원저, 1800년대 말).우음제방(찬자미상, 1800년대 말). 대전역사박물관. 대전 

  11. 백두현 편역. 2006. 음식디미방 주해(정부인 안동장씨 원저, 1670년경). 글누림. 서울 

  12. 사단법인 교남문화 편역. 2012. 의성 김씨 내앞 종가의 내림 술법온주법. 안동시. 경북 

  13. 서보월. 1999. 온주법의 말자음군 표기. 안동어문학 제4집, 안동어문학회. 안동 

  14. 수운잡방 음식연구원 편역. 2011. 수운잡방(김유 원저, 1540년경). (사)수운잡방 음식연구원. 경북 

  15. 안귀남. 2009. 제례음식.혼례음식.향토음식. 글누림. 서울 

  16. 옛음식연구회 편역. 2001. (다시 보고 배우는)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이용기 원저. 1924). (사)궁중음식연구원. 서울 

  17. 윤서석. 1985. 食生活管理. 수학사. 서울 

  18. 윤서석. 1991. 한국의 음식용어. 民音社. 서울 

  19. 윤서석. 1993. 한국식품사연구. 신광출판사. 서울 

  20. 윤숙경 편역. 1998. 수운잡방(김유 원저, 1540년 경).주찬(찬자미상, 1855년 이전). 신광출판사. 서울 

  21. 윤숙자 편역. 2006. 수운잡방(김유 원저, 1540년 경). 질시루. 서울 

  22. 이성우. 1999a. 한국 요리 문화사. 교문사. 서울 

  23. 이세동. 2011. 충효당 높은 마루, 안동 서애 류성룡 종가. 예문서원. 서울 

  24. 이숙인, 김미영, 김종덕, 주영하, 정혜경. 2012. 선비의 멋 규방의 맛. 글항아리. 경기 

  25. 이연자. 2004. (천년의 전통과 맥을 이어가는)명문 종가 이야기. 컬쳐라인. 경기 

  26. 이효지. 1998. 한국의 음식문화. 신광출판사. 서울 

  27. 이효지. 1999b. 전통떡류의 과학적 고찰과 산업화 과제.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9년도 춘계 연합학술대회 논문초록집.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8. 이효지 등 편역. 2007. 임원십육지(서유구 원저. 1827). (주)교문사. 파주 

  29. 이효지 등 편역. 2010. 부인필지(빙허각이씨 원저. 1915). (주)교문사. 경기 

  30. 정양완 편역. 1975. 규합총서(빙허각이씨 원저. 1815). 보진재. 서울 

  31. 이연자. 2004. (천년의 전통과 맥을 이어가는)명문 종가 이야기. 컬쳐라인. 경기 

  32. 장지현. 2008. 한국전래 조과류 제조사 연구. 수학사. 서울 

  33. 정길자, 박영미, 장소영, 조은희, 이종민. 2010. 한국의 전통병과. 교문사. 서울 

  34. 정순자. 1973. 우리나라 병과류에 대한 소고. 단국대학교 論文集, 서울 

  35. 정혜경. 2009. 천년한식 견문록. 생각의 나무. 서울 

  36. 주영하. 2011. 문화적 관점에서 바라본 종가음식의 가치, 2011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지역 사회생활과학회. 수원 

  37. 최순자. 2008. (떡 디자인의 名人 최순자 선생의) 보기좋은 떡 먹기좋은 떡. BnCworld. 서울 

  38. 한국문화재보호재단 편. 2000. 한국음식대관, 제3권, 떡.과정. 음청. 한림출판사: 서울. 

  39. 한복려, 정길자. 2004. 조선왕조 궁중음식. (사)궁중음식연구원. 서울 

  40. 한복려, 정길자, 한복진. 2000. 쉽게 맛있게 아름답게 만드는 한과. (사)궁중음식연구원. 서울 

  41. 한복려, 한복선, 한복진 편역. 1999. (다시보고 배우는) 음식디미방(정부인 안동장씨 원저. 1670년경). (사)궁중음식연구원. 서울 

  42. 한복려, 한복선, 한복진 편역. 2010. (다시보고 배우는) 음식디미방(정부인 안동장씨 원저. 1670년경). (사)궁중음식연구원. 서울 

  43. 한복진, 한복려, 황혜성. 1999.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우리 음식 백가지. 현암사. 서울 

  44. 허경진. 2003, 사대부 소대헌 호연재 부부의 한평생. 푸른역사. 서울 

  45. 황혜성. 1976. 한국요리백과사전. 삼중당. 서울 

  46. 황혜성 편역. 1980. 閨是議方: 음식디미방(정부인 안동장씨 원저. 1670년경). 韓國印書出版社. 서울 

  47. 황혜성, 한복려, 한복진, 정라나. 2010. 3대가 쓴 한국의 전통음식. 교문사. 경기 

  48. Cha GH. 2012. Food Culture of the late Chosun dynasty in "Jusiksiui (酒食是儀)". Korean J. Dietary Culture. 27(6):553-587 

  49. Cha GH, Lee HG. 1992. Texture Characteristics of Seoktanbyung as Affected by Ingredi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8(2):65-71 

  50. Cha JA. 2012. Content Analysis on the Curricula for the Culinary Art & Science Department of 4-year Universities in Korea. Tourism Research. 36(3):310-340 

  51. Cho SH, Chung RW, Choi YJ, Kim EM, Won SI, Cha GH, Kim HS, Lee HG. 2008. An Investigation on "Kwa-Jung": Traditional Korean Confectionary Items, Found in Korean Literatures Prior to the 17th Century. Korean J. Food Cookery Sci, 24(3):312-324 

  52. Cho SH, Lee HG. 1987. The Bibliographical Study on Development of Yackwa. Korean J. Dietary Culture, 2(1):33-43 

  53. Han BR, Kim GY. 2012. Bibliographical Considerations of Cooking Recorded in the 18th Century Document "Japji". Korean J. Food Culture, 27(3):304-315 

  54. Chung HK. 2013. A Literature Review of Cooking Method in "Jusiksiui" compared with"Eumsikdimibang" and "Gyuhapchongseo". Korean J. Food Culture, 28(3):234-245 

  55. Chung HK, Woo NRY. 2005. A Bibliographical Study of Traditional Fruit Preserve. Korean J. Food Culture. 20(3):384-390 

  56. Kang JH. 2013. A Literature Review on Recipes in Connection with Japgwabyung - Focus on Recipe Data Published in Korea from the Joseon Dynasty to the Modern Era -. Korean J. Food Culture, 28(5):450-462 

  57. Kim EM, Yu AR. 2013. A Literature Review on the Culinary Characteristics of Zubangmoon. Korean J. Food Cookery SCI., 28(6):675-693 

  58. Kim JA. 2010. An analysis of successful factors of drama "jewel in the palace" in Japan. Chung-ang University, Master Thesis 

  59. Kim GY, Lee SW. 1988. Analytical Study on the Cooking in "On Zu Bub". Korean J. Food Culture, 3(2):143-151 

  60. Kwon YS, Kim Y, Kim YS, Choe JS, Lee JY. 2012. An Exploratory Study on Kwa-Jung-ryu of Head Families. Korean J. Food Culture, 27(5):588-597 

  61. Lee CH, Maeng YS. 1987. A Literature Review on Korean Ricecakes. Korean J. Dietary Culture, 2(2):117-132 

  62. Lee CJ, Kim GY, Park HW, Cho HJ, Kang IH. 1995. Studies in the Influence of Ground Pine Nuts on the Degree of the Taste and Texture of Seoktanbyung and in the Standardization of the Preparing Method of Seoktanbyung. Korean J. Dietary Culture, 10(3):139-146 

  63. Lee GC, Chung HM. 1999. A Literature Review on the Origin and the Characteristics of Dasik. Korean J. Dietary Culture, 14(4):395-403 

  64. Lee HG, Yoon SS. 1986a. An Analysis of Korean Desserts in the Royal Parties of Yi Dynasty. Korean J. Dietary Culture, 1(3):197-210 

  65. Lee HG, Yoon SS. 1986b. An Analysis of Korean Rice Cake in the Royal Parties of Yi Dynasty. Korean J. Dietary Culture, 1(4):321-333 

  66. Lee KE, Kim YG. 2008. The impacts on foodservice quality through a content analysis: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s between consumers and scholars. J. Foodservice Management, 11(4):7-30 

  67. Lee KJ, Cho MS. 2008. Content analysis of the New York Times on Korean restaurants from 1980 to 2005. J. Foodservice Management, 11(1):281-306 

  68. Mang HY, Lee HG. 1988. A Bibliographical Study of Dock (Korean Rice Cake). Korean J. Dietary Culture, 3(2):153-162 

  69. Oh IK. 2000. Content analysis: Applications to tourism research. J. Tourism Sci., 24(1):317-322 

  70. Oh SD. 2011. A Literature Review on the Types and Cooking Methods for Dasik during the Joseon Dynasty. Korean J. Food Culture, 26(1):39-52 

  71. Oh SD. 2012. A Literature Review of Dasik in the Joseon Dynasty Royal Palace. J. Food Culture, 27(3):316-323 

  72. Oh SD. 2013a. A Literature Review of the Type and Cooking Methods for Gwapyeon during the Joseon Dynasty - with a focus on Euigwe and old literature -. J. Food Culture, 28(1):1-11 

  73. Oh SD. 2013b. A Literature Review on the Type and Cooking Methods for Suksilkwa during the Joseon Dynasty, with a focus on Euigwe and old literature. J. Food Culture, 28(2):115-124 

  74. Oh SD, Lee GC. 2010a. A literature review on the types of joseon dynasty treok (Korean Rice Cake) according to its main ingredient. Korean J. Food Culture, 25(1):25-35 

  75. Oh SD, Lee GC. 2010b. A literature review on the types and cooking methods for joscon dynasty Tteok (Korean Rice Cake) according to its Sub-Ingredients. Korean J. Food Culture, 25(5):525-543 

  76. Son CC. 1966. Eumsikdimibang(飮食知味方). J. Asian Woman, 5:249-278 

  77. Won SI, Cho Sh, Chung RW, Choi YJ, Kim EM, Cha GH, Kim HS, Lee HG. 2008. A Literature Review on Tteoks, Korean Rice Cakes Prior to the 17th Century. Korean J. Food Cookery SCI., 24(4):419-430 

  78. Yoon SJ. 2002a.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ckwa Prepared by Different Amounts of Egg White. Korean J. Food and Cookery Sci., 18(1):81-86 

  79. Yoon SJ. 2002b.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ckwa Prepared with Egg. Korean J. Food and Cookery Sci., 18(6):613-618 

  80. Yoon SS, Lee HG, An MS. 1990. Comparative Study on the Rice Food Culture in the Rice Grown Area -Rice Cakes and Rice Cookies-. Korean J. Food Culture, 5(2):207-215 

  81. 문화컨텐츠닷컴. 2003.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 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 P_THE005&cp_codecp0309&index_idcp03090407& content_idcp030904070001&search_left_menu (검색: 2014. 1. 21.) 

  82. 한국일보. 2012. 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1303/ h2013032703314974990.htm (검색: 2013. 9. 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