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운잡방」과 「음식디미방」에 나타난 조리법 비교
Comparative Study of Cooking Methods in 「Suwoonjabbang」 vs. 「Eumsikdimibang」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0 no.1, 2015년, pp.41 - 53  

정혜경 (호서대학교 생명보건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윤경수 (호서대학교 생명보건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김미혜 (호서대학교 생명보건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oking methods used in the Joseon Dynasty using cooking books. We chose "Suwoonjabbang" (1500's) and "Eumsikdimibang" (1610)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oking methods from these two recipe books were categorized into staples, side dishes, rice cakes, Korean tra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운잡방과 음식디미방의 집필연대 차이는 어떠한가? 이 두 고조리서가 집필된 조선 중기의 음식문화의 특징은 유교를 국교로 하면서 지금과 같은 한식의 발달이 이루어진 시기로 규정한다. 집필연대는 「수운잡방(需雲雜方)」이 1540년경으로 「음식디미방」이 1670년경으로 거의 1세기 이상의 차이를 두고 썼으며, 「수운잡방(需雲雜方)」이 김유라는 남성 사대부가 한문으로 기록한 고조리서라면, 「음식디미방」은 사대부가의 여성이 한글로 쓴 책이라는 점에서도 비교 대상이다. 이 두 고조리서에 나타난 조리법을 주식류, 부식류, 떡과 한과류, 주류, 발효식품류, 조미료류 및 저장조리법으로 나누어서 비교 고찰하여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리법의 표현에 있어 수운잡방, 음식디미방 두 책의 차이는 무엇인가? 둘째, 남자 사대부가가 기록한 「수운잡방(需雲雜方)」은 조리법의 표현이 간결하며, 발효음식조리법이 많이 나오고 맛에 지나치게 빠지는 것을 경계하고 있는 반면「음식디미방」은 조리법이 상당히 상세하면서도 비교적 정확하고 다양한 조리법으로 작성된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음식디미방」과 「수운잡방」의 상반된 문화적 차이는 무엇인가? 그런데 이 두 조리서는 100년의 시차를 두고 집필되었다는 점과 안동이라는 동일지역의 산물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비교문화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상반된 입장을 가지고 있다. 첫째는 저자가 남성과 여성이라는 점으로「수운잡방(需雲雜方)」의 저자는 유식한 남성 사대부였으며, 「음식디미방」은 존경 받는 정경부인으로 특히 72세라는 고령의 나이에 이 책을 저술하였다. 둘째는, 두 책의 저자들이 모두 한문에 능통하였지만「수운잡방(需雲雜方)」은 한문으로, 「음식디미방」은 한글로 썼다는 점이다. 셋째는 남성유학자인 김유가 직접 요리를 하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에「수운잡방(需雲雜方)」은 조선시대 유학자들 문자생활의 일부로서 직접 체험하지 않은 요리법을 써 놓은 것이며 반면 「음식디미방」은 한 여성이 평생을 걸쳐 실천하였던 자신의 조리법을 직접 저술한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oi YS. 2013. Health functional benefits of Korean cuisines and their foodstuffs covered in Korean Traditional Food Eumsikdimibang. Master's degree thesis, Daegu Haany University, Korea, pp 14-18 

  2. Chung HK. 2013. A Literature Review of Cooking Method in Jusiksiui compared with Eumsikdimibang and Gyuhapchongseo. J. Korean Soc. Food Cult., 28(3):234-245 

  3. Chung RW, Cho SH, Choi YJ, Kim EM, Won SI, Cha GH, Kim HS, Lee HG. 2007. An investigation of side-dishes found in Korean literatures before the 17th century. Korean J. Food Cook. Sci., 23(5):731-748 

  4. Claflin KW. 2013. Representations of Food Production and Consumption: Cookbooks as Historical Sources. in The handbook of Food Research. Broomsbury, London, pp 109-130 

  5. Jang GH (張桂香). Eumsikdimibang (음식디미방). In: Bak DH editor. 2006. Glnurim Co., Seoul, Korea, pp 1-487 

  6. Jang JH. 1989a. Study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history. Suhaksa, Seoul, Korea, pp 12-15 

  7. Jang JH. 1989b. Study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history. Suhaksa, Seoul, Korea, pp 233-247 

  8. Jeon SE (全循義). Sangayorok (山家綠). I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editor. 200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9. Jeon SE (全循義). Sikyochanyo (食療纂要). In: Kim JD editor. 2006. Yesmin Co., Kyounggido, Korea, pp 157 

  10. Joo YH. 2012. Royal cuisine and record of the Choseon Dynasty period.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service of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Daejeon, Korea pp 78-85 

  11. Jo JS. 1994. Historical review of Kimchi. J. East Asian Soc Diet. Life, 4(2):93-108 

  12. Kim HS. 2004.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nging pattern of fish and shellfish uses in Eum-sik-di-mi-bangand Gyuhapchong-seoin sight of the development of fishing technlology. J. Korean Soc. Food Cult., 19(3):273-284 

  13. Kim MH, You MN, Choi BY, An HS. 2003. The study of the uses of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Kyuhap-Chongseo. Korean J. Home Manag., 20(1):113-127 

  14. Kim US, Han MJ. 2009. Original Articles: The Changes of Side Dishes in Eumsikdimibang, Gyuhapchongseo, Chosunmusangsinsikyorijebub according to the Current of the Time. J. Korean Soc. Food Cult., 24(4):375 

  15. Kim Y (金綏). Suwoonjabbang (需雲雜方). In: Yoon SK editor. 1998. Sinkwang publication Co., Seoul, Korea, pp 155 

  16. Lee HJ. 1981. A study on the chap. Food and wine in Gwuhab ch'ongsur. College of Education Hanyang University, 1(1):85-103 

  17. Lee HJ. 2004. Korean food culture. Sinkwang publication, Seoul, Korea, pp 26 

  18. Lee HJ, Jo SH, Chung NW, Kim HS, Yoo YR, Choi YJ, Kim EM, Bak SE, Won SI, Kim SY, Cha KH, Bak HN. 2004. Si Ei Jun Seo. Sinkwang publication, Seoul, Korea, pp 180 

  19. Lee SI. 2012. Confucian hermits' poetic adventure and communication in the 16th century: focusing on the cultural politics of Suwoon-Jabbang. J. East. stud., 80:267-298 

  20. Lee SI, Kim MY, Kim JD, Joo YH, Chung HK. 2012. Grace of classical scholar, taste of women's quaters. Glhangari, Seoul, Korea, pp 343-420 

  21. Lee SW. 1985. Cultural history of Korean food. Kyumoonsa, Seoul, pp 19-133 

  22. Lee YK, Chun HJ, Lee HG. 1992. A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Tojangguk in Korea. J. Korean Soc. Food Cult., 7(1):81-90 

  23. Park OJ. 2000. The Literary Study on Pinghugak's (憑虛閣) Kyuhapchonseo. Soc. Korean Class. Woman Lit., 1(1):271-304 

  24. Pinghugak Lee (憑虛閣 李氏). Kyuhapchonseo (閨閤叢書). In: Jung YW editor. 1992. Bojinjea Co., Kyounggido, Korea, pp 87 

  25. Yoon SS, Cho HJ. 1993a. commentary food cooking method the Joseon Dynasty. J. Korean Soc. Food Cult., 8(1):79-84 

  26. Yu JL (柳重臨). Jungbo Salrim Kyungjae (增補山林經濟). I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editor. 200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27. Woo MO. 2012. The Cosmetic Culture Described in Korea Literature in the Late Choson Period. Doctoral degree thesis. Dong-A University, Korea, pp 1-1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