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입원노인 환자를 위한 급성혼돈 간호중재 프로그램 효과
Effects of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reducing acute confusion in hospitalized older adult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6 no.1, 2014년, pp.89 - 97  

황혜정 (선린병원) ,  신영희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During hospitalization, confusion occurs in 15~20% of older adults and persists in 5~10% of them.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effects of a five-day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designed to reduce confusion in hospitalized older adults. Subjects were inpatients over the age of 60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입원은 모든 노인 환자들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경험이라는 전제하에 급성혼돈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입원 노인 환자들에게 적용해 봄으로써 급성혼돈 발생의 예방 또는 빈도 감소가 가능한지를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일 종합병원 외과 병동에 입원한 60세 이상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급성혼돈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후 급성혼돈발생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입원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급성혼돈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급성혼돈 발생률, 급성혼돈 지속기간,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시계열 설계를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 에너지-생리적 지지를 위하여 수분-전해질 균형 유지, 영양상태, 체온, 혈당을 정상 수준으로 유지하고, 통증, 피로감, 불편감을 최소화하도록 담당 간호사가 수시로 모니터 하며, 감염이 있거나 생리적 지표가 정상에서 벗어났을 경우, 간호중재를 제공하거나 담당 의사에게 보고하여 즉각적인 치료를 제공하였다. 급성혼돈이 발생하였을 경우, 의사, 간호사, 보호자가 함께 집중적으로 급성혼돈 기간이 끝날 때까지 관리를 제공하였다.
  • 환자가 입원한지 6시간이내에 가족의 이해와 지지를 얻기 위하여 가족과 환자에게 노화와 급성혼돈 예방에 대한 교육을 하고, 환경의 변화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상황에 대해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였다. 가족이 환자 곁에 머물면서 환자에게 지남력을 일깨우기 위하여 환자의 취미나 직업, 또는 가정사와 자녀들 이야기와 같은 환자가 익숙하고 관심을 가지는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도록 하였으며, 가족에게 퇴원 후 생활에 대해 교육하였다.
  • 입원 노인에게 흔히 관찰되는 급성혼돈 발생빈도를 감소시키거나 예방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Beresin (1988)의 급성혼돈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급성혼돈 발생율과 인지기능장애 개선을 관찰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급성혼돈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급성 혼돈 발생률이 낮을 것이다.
  • 가설 2. 급성혼돈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급성혼돈 발생 기간이 짧을 것이다.
  • 가설 3. 급성혼돈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은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인지기능이 더 나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급성혼돈 상태는 가족과 의료인에게 어떤 부담을 주는가? 그러나 급성혼돈을 간과하거나 적절한 시기에 치료하지 못하는 경우, 환자 회복에 상당한 차질을 일으키며, 가족과 의료인들에게 예상치 못한 부담을 주게 된다(Francis, Martin, & Kapoor, 1990; Inouye, 1998). 급성혼돈 상태는 노인 환자들의 낙상 위험을 높이고, 합병증과 이환율을 증가시키고, 재원기간 연장과 의료비를 증가시키며, 결국 병원에서 장기요양 시설로 이송되는 경우가 많아진다(Marcantonio, Goldman, Orav, Cook, & Lee, 1998; Rizzo et al., 2001).
급성혼돈의 구체적인 증상에는 무엇이 있는가? 급성혼돈이란 환자가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쇠약한 상태에서 입원, 수술 등의 스트레스를 겪는 결과로 의식, 지각, 기억, 행동 등 여러 면에서 갑작스레 나타나는 일시적인 인지장애를 말하며, 증세는 악화와 호전을 반복한다(Balas, Rice, Chaperon, Smith,& Fuchs, 2012; Cole & McCusker, 2002). 구체적인 증상들로는 섬망, 환청, 환시 등의 지각 관련 증상이 있고, 지남력 상실, 기억력 상실, 언어장애 등이 있다 (Balas et al., 2012).
급성혼돈이란 무엇인가? 급성혼돈이란 환자가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쇠약한 상태에서 입원, 수술 등의 스트레스를 겪는 결과로 의식, 지각, 기억, 행동 등 여러 면에서 갑작스레 나타나는 일시적인 인지장애를 말하며, 증세는 악화와 호전을 반복한다(Balas, Rice, Chaperon, Smith,& Fuchs, 2012; Cole & McCusker, 2002). 구체적인 증상들로는 섬망, 환청, 환시 등의 지각 관련 증상이 있고, 지남력 상실, 기억력 상실, 언어장애 등이 있다 (Balas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las. M. C., Rice, M., Chaperon, C., Smith, H, & Fuchs, B. (2012). Management of delirium in critically ill older adults. Critical Care Nurse, 32(4). Retrieved May 3, 2013, from http://ccn.aacnjournals.org, http://dx.doi.org/10.4037/ccn2012480 

  2. Beresin, E. V. (1988). Delirium in the elderly.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Neurology, 1, 127-143. 

  3. Cole M. G. & McCusker J. J. (2002). Treatment of delirium in older medical inpatients: a challenge for geriatric specialis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0(12), 2101-2103. 

  4. Cole, M. G., Primeau, F. J., Bailey, R. F., Bonnycastle, M. J., masciarelli, F., Engelsmann, et al. (1994). Systematic intervention for elderly inpatients with delirium: a randomized trial.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51(7), 965-970. 

  5. Elie, M., Rousseau, F., Cole, M., Primeau, F., McCusker, J., & Bellayance, F. (2000). Prevalence and detection of delirium in elderly emergency department patients.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63(8), 977-981. 

  6. Ely, E. W., Siegel, M. D., & Iouye, S. K. (2001). Delirium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 under-recognized syndrome of organ dysfunction. Seminars in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22(2), 115-126. 

  7. Engelberger, S., Zurcher, M., Schuld, J., Viehl, C. T., & Kettelhack, C. (2012). Postoperative course after emergency colorectal surgery for secondary peritonitis in the elderly is often complicated by delirium. International Surgery, 97(2), 129-134. http://dx.doi.org/10.9738/CC125.1 

  8. Folstein, M. F., Folstein, S. E., & McHugh, P. R. (1975). "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2(3), 189-198. 

  9. Francis, J., Martin, D., & Kapoor, W. N. (1990). A prospective study of delirium in hospitalized elderly. Journal of the American Medial Association, 263(8), 1097-1101. 

  10. Hwang, S. W., Kang, S. W., Kang, Y. G., Choi, S. G., Lee, J., Kim, M. J., et al. (2002). Risk factors of delirium in elderly inpatients.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3(1), 112-121. 

  11. Inouye, S. (1999). Delirium in hospitalized older patients. Clinical Geriatrics Medicine, 14(4), 744-764. 

  12. Inouye, S. K. (1998). Delirium in hospitalized older patients: Recognition and risk factor.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Neurology, 11(3), 157-158. 

  13. Inouye, S. K., Borgadus, S. T., Charpentier, P. A., Leo-Summers, L., Acapora, D., Holford, T. R., et al. (1999). A multicomponent interventions to prevent delirium in hospitalized older patient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40, 669-676. 

  14. Justic, M. (2000). Does "ICU psychosis" really exist? Critical Care Nurse, 20(3), 28-37. 

  15. Kim, H.Y., Park, M. S., & Lee, H. J. (2007). The effects of delirium prevention education on hospitalized elders at high risk for delirium.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9(1), 60-67. 

  16. Kwon, Y. C., & Park, J. H. (1989). A research for standardization of Korean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for elderly.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8(1), 125-131. 

  17. Lipowski, Z. J. (1992). Update on delirium. 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15(2), 335-346. 

  18. Marcantonio, E. R., Goldman, L., Orav, E. J., Cook, E. F., & Lee, T. H. (1998). The association of intraoperative factor with development of postoperative delirium. Th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05(5), 380-384. 

  19. McNicoll, L., Pisani, M. A., Zhang, Y., Ely, E. W., Siegel, M. D., & Inouye, S. K. (2003). Delirium in the intensive care unit: Occurrence and clinical course in older patien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1(5), 591-598. 

  20. Rizzo, J. A, Bogardus, S. T. Jr, Leo-Summers, L., Williams, C. S., Acampora, D., & Inouye, S. K. (2001). Multicomponent targeted intervention to prevent delirium in hospitalized older patients: What is the economic value? Medical Care, 39(7), 740-752. 

  21. Schuurmans, M. J., Donders, R. T.0, Shortridge-Bagget, L. M., Duursma, S. A. (2002). Delirium case finding: Pilot testing of a new screening scale for nurse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0(suppl A8), S3. 

  22. Schuurmans, M. J., Shortridge-Bagget, L. M., & Duursma, S. A. (2001). The Delirium Observation Screening Scale: A screening instrument for delirium. Research & theory for Nursing Practices, 17, 31-50. http://dx.doi.org/10.1891/rtnp.17.1.31.53169 

  23. Wanich, C. K., Sullivan-Max, E. M., Gottlieb, G. L., & Johnson, J. C. (1992). Functional status outcomes of a nursing intervention in hospitalized elderly. Image-Th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4(3), 201-207. 

  24. Yoo, M. Y. (2007). Related factor of delirium occurrence in the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