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지역 시간별 에어로솔 자료를 이용한 화학성분별 광학특성 및 직접 복사강제력의 시간 변화 분석
Temporal Variations in Optical Properties and Direct Radiative Forcing of Different Aerosol Chemical Components in Seoul using Hourly Aerosol Sampling 원문보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v.30 no.1, 2014년, pp.1 - 17  

송상근 (제주대학교 지구해양과학과) ,  손장호 (동의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mporal variations of optical properties of urban aerosol in Seoul were estimat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Aerosols and Clouds (OPAC) model, based on hourly aerosol sampling data in Seoul during the year of 2010. These optical properties were then used to calculate direct radiative forcing du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존의 에어로솔 자료보다 훨씬 고해상도인 시간별 에어로솔 자료를 이용하여 도시 에어로솔의 성분별 광학특성과 복사강제력의 시간별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것에 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여전히 지표에서 샘플링한 에어로솔은 대기 상층의 에어로솔을 정확하게 포함하지 못하기 때문에 향후 풍부하고 다양한 측정∙분석자료 (에어로솔 연직분포 등)를 확보한다면 보다 정확한 에어로솔 성분별 광학특성 및 복사효과를 산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에서는 2010년 서울 광진구 구의동에서 측정한 시간별 에어로솔 자료와 광학모델(OPAC)을 이용하여 도시 에어로솔의 화학성분별 광학특성(흡수, 산란, 소산계수, AOD 등)과 직접 복사강제력의 시간 변화(월별 및 일별 등)를 살펴보았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도시 에어로솔을 4가지 성분(water-soluble, insoluble, BC, sea-salt)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에어로솔 화학성분별 광학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먼저 연구기간동안(2010년) 관측된 각성분별 농도 특성을 살펴보았다(표 1). 전반적으로 계절에 상관없이 4가지 성분 중에서 water-soluble이 가장 높게 관측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insoluble, BC, sea-salt 순서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28~40 μm 사이)을 포함하며, 에어로솔의 광학특성은 입자형태가 구형이라는 가정하에 Mie 이론을 통해 계산된다. OPAC 모델은 에어로솔의 여러 성분들이 외부적으로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며, 이들 성분들의 기원을 기초로 하여 에어로솔 유형 (type: 도시, 사막, 대륙, 해양 에어로솔)을 결정하는 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각각의 에어로솔 성분 내에서는 서로 유사기원의 화학 조성물들(substances)이 내부적으로 혼합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Hess et al.
  • 또한 에어로솔 및 water clouds에 대해서는 61개 파장(0.25~40 μm 사이), ice clouds에 대해서는 67개 파장(0.28~40 μm 사이)을 포함하며, 에어로솔의 광학특성은 입자형태가 구형이라는 가정하에 Mie 이론을 통해 계산된다.
  • (1998)의 표 1c 참조). 또한 에어로솔의 질량 및 화학 조성의 연직분포는 경계층 고도(약 2 km) 내에서 일정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sea-salt 추정량은 선행 연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BC 성분은 상대습도의 증가에 따라 성장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위에서 설명한 4가지 에어로솔 성분에 대해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 2004). 한편 Cl의 농도는 Cl/Na 당량비(=0.80, r=0.32)가 1에 근사하여해염기원으로 가정하였다. 그러나 도시의 인위적 오염원(소각, 연소 등)은 Cl 농도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sea-salt 에어로솔 총 질량농도는 다소 과대평가 되었으리라 추정된다.
  • OPAC 모델에서는 일부 성분 (water-soluble, sea-salt)에서만 이러한 현상을 고려한다. 한편 에어로솔 입경과 상대습도 사이의 관계는 단일함수(single function)로 가정하고 있어 같은 상대습도에서 건조 입자와 습한 입자는 서로 다른 입자크기를 가진다는 현상(hysteresis effect)을 고려하지 못한다. 또한 에어로솔 및 water clouds에 대해서는 61개 파장(0.
  • OPAC 모델은 에어로솔의 여러 성분들이 외부적으로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며, 이들 성분들의 기원을 기초로 하여 에어로솔 유형 (type: 도시, 사막, 대륙, 해양 에어로솔)을 결정하는 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각각의 에어로솔 성분 내에서는 서로 유사기원의 화학 조성물들(substances)이 내부적으로 혼합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Hess et al., 1998). 여기서 외부혼합은 서로 다른 성분의 입자사이에는 물리적 혹은 화학적 상호작용이 없음을 의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어로솔 입자가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대기 중 에어로솔은 온실기체에 의한 지구온난화와 달리 일반적으로 냉각화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직∙간접적으로 지구열수지를 교란시켜 기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어로솔 입자는 직접적으로 태양복사를 산란하고 지구 표면의 적외선을 흡수하기도 하고(Charlson et al., 1992), 구름의 알베도 증가(Twomey 효과 혹은 1차 간접효과)나 구름의 수명 변화(Albrecht 효과 혹은 2차 간접효과)등에 의한 간접효과를 통해 지구 대기의 복사 평형에 영향을 준다 (Rosenfeld, 2000; Albrecht, 1989; Twomey, 1974). 또한 에어로솔 성분 중에서 수용성에어로솔 (water-souble aerosol)은 음의 복사강제력 (RF: radiative forcing)을 야기시켜 지구 냉각화의 원인이 되는 반면, 화석연료의 불완전 연소나 소각 등에 의해 발생하는 검댕(Soot 혹은 BC (black carbon))은 태양복사를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온난화 효과를 일으킨다(IPCC, 2007).
수용성에어로솔의 특징은 무엇인가? , 1992), 구름의 알베도 증가(Twomey 효과 혹은 1차 간접효과)나 구름의 수명 변화(Albrecht 효과 혹은 2차 간접효과)등에 의한 간접효과를 통해 지구 대기의 복사 평형에 영향을 준다 (Rosenfeld, 2000; Albrecht, 1989; Twomey, 1974). 또한 에어로솔 성분 중에서 수용성에어로솔 (water-souble aerosol)은 음의 복사강제력 (RF: radiative forcing)을 야기시켜 지구 냉각화의 원인이 되는 반면, 화석연료의 불완전 연소나 소각 등에 의해 발생하는 검댕(Soot 혹은 BC (black carbon))은 태양복사를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온난화 효과를 일으킨다(IPCC, 2007). 특히 BC는 눈과 얼음에 침적될 때 알베도를 감소시키고 대기의 열을 흡수하여 지구온난화에 영향을 준다.
검댕이 지구온난화에 영향을 주는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또한 에어로솔 성분 중에서 수용성에어로솔 (water-souble aerosol)은 음의 복사강제력 (RF: radiative forcing)을 야기시켜 지구 냉각화의 원인이 되는 반면, 화석연료의 불완전 연소나 소각 등에 의해 발생하는 검댕(Soot 혹은 BC (black carbon))은 태양복사를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온난화 효과를 일으킨다(IPCC, 2007). 특히 BC는 눈과 얼음에 침적될 때 알베도를 감소시키고 대기의 열을 흡수하여 지구온난화에 영향을 준다. 이외에도, 황사와 같은 에어로솔은 단파복사(태양복사)를 산란시켜 냉각화, 장파복사(지구복사)를 흡수하여 온난화 역할을 하기도 한다(IPCC,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lbrecht, B.A. (1989) Aerosols, cloud microphysics, and fractional cloudiness, Science, 245, 1227-1230. 

  2. Bae, M.S. (2011) Seasonal estimation of organic mass to organic carbon (OM/OC ratio), Proceedings of 49th meeting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 Charlson, R.J., S.E. Schwartz, J.M. Hales, R.D. Cess, J.A. Coakley, Jr., J.E. Hansen, and D.J. Hofmann (1992) Climate forcing by anthropogenic aerosols, Science, 255, 423-430. 

  4. Chubarova, N.Y., M.A. Sviridenkow, A. Smirnov, and B.N. Holben (2011) Assessments of urban aerosol pollution in Moscow and its radiative effects, Atmospheric Measurement Techniques, 4, 367-378. 

  5. Chylek, P. and J. Wong (1995) Effect of absorbing aerosols on global radiative budget,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22, 929-931. 

  6. Heo, J.-B., P.K. Hopke, and S.-M. Yi (2009) Source apportionment of $PM_{2.5}$ in Seoul, Korea,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9, 4957-4971. 

  7. Hess, M., P. Koepke, and I. Schult (1998) Optical properties of aerosols and clouds: the software package OPAC,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79(5), 831-844. 

  8. Huebert, B.J., T. Bates, P.B. Russell, G. Shi, Y.J. Kim, K. Kawamura, G. Carmichael, and T. Nakajima (2003) An overview of ACE-Asia: Strategies for qua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sian aerosols and their climatic impact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8, D23, 8633, doi:10.1029/2003JD003550. 

  9. IPCC (2007) IPCC Fourth Assessment Report: Climate Change 2007-The Physical Science Ba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A 

  10. Kim, B.-G., Y.-J. Kim, and S.-H. Eun (2008) An analysis of aerosol optical properties around Korea using AERONET,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4(6), 629-6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J., B.-C. Choi, A. Jefferson, and K.-C. Moon (2003) Aerosol light scattering and absorption measured at Gosan, Korea in Spring of 2001, Journal of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39(2), 239-2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J., S.-C. Yoon, S.-W. Kim, F. Brechtel, A. Jefferson, E.G. Dutton, K.N. Bower, S. Cliff, and J.J. Schauer (2006) Chemical apportionment of shortwave direct aerosol radiative forcing at the Gosan super-site, Korea during ACE-Asia, Atmospheric Environment, 40, 6718-6729. 

  13. Kim, N.K., Y.P. Kim, and C.-H. Kang (2011) Long-term trend of aerosol composition and direct radiative forcing due to aerosols over Gosan: TSP, $PM_{10}$ , and $PM_{2.5}$ data between 1992 and 2008, Atmospheric Environment, 45, 6107-6115. 

  14. Lee, S., Y.S. Ghim, S.-W. Kim, and S.-C. Yoon (2008) Seasonal variations of chemical composition and optical properties of aerosols at Seoul and Gosa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4(4), 470-4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S., Y.S. Ghim, S.-W. Kim, and S.-C. Yoon (2009) Seasonal characteristics of chemically apportioned optical properties at Seoul and Gosan, Korea, Atmospheric Environment, 43, 1320-1328. 

  16. Moon, K.J., S.M. Park, J.S. Park, I.H. Song, S.K. Jang, J.C. Kim, and S.J. Lee (2011)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ource apportionment of $PM_{2.5}$ in Seoul metropolitan area in 2010,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7, 711-7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Nakajima, T., S.-C. Yoon, V. Ramanathan, G.-Y. Shi, T. Takemura, A. Higurashi, T. Takemura, K. Aoki, B.-J. Sohn, S.-W. Kim, H. Tsuruta, N. Sugimoto, A. Shimizu, H. Tanimoto, Y. Sawa, N.-H. Lin, C.-T. Lee, D. Goto, and N. Schutgens (2007) Overview of the atmospheric brown cloud east Asian regional experiment 2005 and a study of the aerosol direct radiative forcing in east Asi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2, D24S91, doi:10.1029/2007JD009009. 

  18. Park, S.S. and Y.J. Kim (2004) $PM_{2.5}$ particles and size-segregated ionic species measured during fall season in three urban sites in Korea, Atmospheric Environment, 38, 1459-1471. 

  19. Penner, J.E., R.E. Dickinson, and C.A. O'Neill (1992) Effects of aerosol from biomass burning on the global radiation budget, Science, 256, 1432-1434. 

  20. Pilson, M.E.Q. (1998). An Introduction to the Chemistry of the Sea. Prentice Hall, New Jersey. 431 pp. 

  21. Poschl, U. (2005) Atmospheric Aerosols: composition, transformation, climate and health effects,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44, 7520-7540. 

  22. Praveen, P.S., T. Ahmed, A. Kar, I.H. Rehman, and V. Ramanathan (2012) Link between local scale BC emissions in the Indo-Gangenic Plains and large scale atmospheric solar absorption,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12, 1173-1187. 

  23. Quinn, P.K., D.J. Coffman, T.S. Bates, E.J. Welton, D.S. Covert, T.L. Miller, J.E. Johnson, S. Maria, L. Russell, R. Arimoto, C.M. Carrico, M.J. Rood, and J. Anderson (2004) Aerosol optical properties measured on board the Ronald H. Brown during ACE-Asia as a function of aerosol chemical composition and source regi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9, D19S01, doi:10.1029/2003JD004010. 

  24. Ramachandran, S. and S. Kedia (2010) Black carbon aerosols over an urban region: Radiative forcing and climate impact,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5, D10202, doi:10.1029/2009JD013560. 

  25. Rosenfeld, D. (2000) Suppression of rain and snow by urban and industrial air pollution, Science, 287, 1793-1796. 

  26. Sagan, C. and J. Pollack (1967) Anisotropic nonconservative scattering and the clouds of Venu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72, 469-477. 

  27. Seinfeld, J.H. and S.N. Pandis (2006)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From Air Pollution to Climate Change. 2nd ed. New York: John Wiley & Sons. 

  28. Shon, Z.-H., K.-H. Kim, S.-K. Song, Y.-Z. Chae, C.G. Park, and K. Jung (2012a) Fractionation of secondary organic carbon in aerosol in relation to the trafficborne emission of semivolatile organic compounds, Atmospheric Environment, 50, 225-233. 

  29. Shon, Z.-H., K.-H. Kim, S.-K. Song, K. Jung, N.J. Kim, and J.-B. Lee (2012b) Relationship between water-soluble ions in $PM_{2.5}$ and their precursor gases in Seoul megacity, Atmospheric Environment, 59, 540-550. 

  30. Shon, Z.-H., S. Ghosh, K.-H. Kim, S.-K. Song, K. Jung, and N.-J. Kim (2013) Analysis of water-soluble ions and their precursor gases over diurnal cycle, Atmospheric Research, 132-133, 309-321. 

  31. Singh, S., K. Soni, T. Bano, R.S. Ranwar, S. Nath, and B.C. Arya (2010) Clear-sky direct aerosol radiative forcing variations over mega-city Delhi, Annales Geophysicae, 28, 1157-1666. 

  32. Taha, H. (1997) Urban climates and heat island, albedo, evapotranspiration, and anthropogenic heat, Energy and Buildings, 25, 99-103. 

  33. Turpin, B.J. and H.-J. Lim (2001) Species contributions to $PM_{2.5}$ mass concentrations: Revisiting common assumptions for estimating organic mass, Aerosol Science and Technology, 35, 602-610. 

  34. Twomey, S. (1974) Pollution and the planetary albedo, Atmospheric Environment, 8, 1251-1256. 

  35. Yoon, S.-C., J.-G. Won, A.H. Omar, S.-W. Kim, and B.-J. Sohn (2005) Estimation of the radiative forcing by key aerosol types in worldwide locations using a column model and AERONET data, Atmospheric Environment, 39, 6620-6630. 

  36. Yu, H., Y.J. Kaufman, M. Chin, G. Feingold, L.A. Remer, T.L. Anderson, Y. Balkanski, N. Bellouin, O. Boucher, S. Christopher, P. DeCola, R. Kahn, D. Koch, N. Loeb, M.S. Reddy, M. Schulz, T. Takemura, and M. Zhou (2006) A review of measurement-based assessments of the aerosol direct radiative effect and forcing,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6, 613-666. 

  37. Zhang, Q., J.L. Jimenez, M.R. Canagaratna, J.D. Allan, H. Coe, I. Ulbrich, M.R. Alfarra, A. Takami, A.M. Middlebrook, Y.L. Sun, K. Dzepina, E. Dunlea, K. Docherty, P.F. DeCarlo, D. Salcedo, T. Onasch, J.T. Jayne, T. Miyoshi, A. Shimono, S. Hatakeyama, N. Takegawa, Y. Kondo, J. Schneider, F. Drewnick, S. Borrmann, S. Weimer, K. Demerjian, P. Williams, K. Bower, R. Bahreini, L. Cottrell, R.J. Griffin, J. Rautiainen, J.Y. Sun, Y.M. Zhang, and D.R. Worsnop (2007) Ubiquity and dominance of oxygenated species in organic aerosols in anthropogenically-influenced Northern Hemisphere midlatitude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4, L13801, doi:10.1029/2007GLO2997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