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메가-3, -6 지방산 고 함유 급이가 돼지 등심의 지방산조성과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igh omega-3, -6 fatty acid feeding on the free fatty acid profile and meat quality traits of pork loin 원문보기

농업과학연구 = CNU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41 no.3, 2014년, pp.213 - 220  

설국환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김기현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주범진 (풀무원식품문화연구소) ,  김조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김광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김영화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박준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이무하 (아다마과학기술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은 비육돈 사료 중 오메가-3와 오메가-6 지방산의 증가가 돈육 등심 내 지방산 조성과 돈육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사료 중 유지의 조성은 대조구(우지5%), 아마인유(5%), 홍화씨유(5%) 및 혼합유(아마인유2.5%+홍화씨유2.5%)를 배합하여 비육기 삼원교잡돼지(LYD)에 4주간 급여하였다. 돼지 등심의 지방산 조성은 아마인유처리구(T1)에서 linolenic acid의 함량이 $2.35{\pm}0.21%$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홍화씨유처리구(T2)에서 linoleic acid의 함량이 $35.26{\pm}1.9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Oleic acid의 함량은 대조구(C)에서 $21.59{\pm}1.85%$로 가장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전체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양은 홍화씨유처리구(T2)가 $47.80{\pm}1.29%$로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p<0.05), n-6:n-3 비율은 $11.57{\pm}0.90$으로 아마인유처리구(T1)가 가장 낮은 값을 보였던 반면, 홍화씨유급여구(T2)는 오메가-6 지방산의 함량이 높아져서 $37.56{\pm}12.51$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p<0.05). 돈육의 pH와 명도, 적색도는 시험유지급여에 따른 변화가 없었으나, 황색도는 홍화씨유처리구(T2)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또한 보수력가열감량에 있어서도 시험유지의 급여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p>0.05) 다가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시험유지의 급여가 돈육의 육질특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식물성유지의 급여를 통해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소비자들로부터 각광받고 있는 오메가-3 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n-6:n-3 비율이 권장되는 값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므로(11.57:1) 추후 이 비율을 낮추는 사양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high n-3 or n-6 diet on free fatty acid profile and meat quality traits of pork loin. The 20 heads of commercial $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LYD)$ crossbreed pigs ($90.9{\pm}2.4BWkg$)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은 비육돈 사료 중 오메가-3와 오메가-6 지방산의 증가가 돈육 등심 내 지방산 조성과 돈육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사료중 유지의 조성은 대조구(우지5%), 아마인유(5%), 홍화씨유 (5%) 및 혼합유(아마인유2.
  • 본 연구는 비육돈 사료 중 오메가-3와 오메가-6 지방산의 함량을 달리하여 급여한 후 등심 내 지방산 조성을 포함한 품질특성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기의 지방층에 주로 존재하는 포화지방산이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하지만 최근 많은 나라에서 고기 내 지방이 잠재적 으로 건강을 해친다는 소비자들의 우려로 인해 기피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고기의 지방층에 주로 존재하는 포화지방산이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고 동맥경화를 유발하는 등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고기의 지방은 여분의 에너지를 저장하기 때문에 영양적 가치에서 중요하며(Wood 등, 2008) 신체구성에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적정량을 섭취해주어야만 한다.
고기의 지방이 중요한 이유는? 특히 고기의 지방층에 주로 존재하는 포화지방산이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고 동맥경화를 유발하는 등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고기의 지방은 여분의 에너지를 저장하기 때문에 영양적 가치에서 중요하며(Wood 등, 2008) 신체구성에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적정량을 섭취해주어야만 한다.
식물성 유지는 오메가-6 지방산과 오메가-3 지방산의 비율이 중요한데, 그 중에서도 오메가-3 지방산의 중요도가 높아진 이유는? 또한 오메가-6 지방산과 오메가-3 지방산의 비율이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특히 오메가-3 지방산의 중요도가높아졌다. 이는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해 오메가-6 지방산의 섭취가 크게 늘어나 n-6:n-3가 10~20:1까지 증가했기 때문이다(Simopoulous, 2002). 따라서 오메가-3 및 오메가-6 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유지를 돼지에 급여함으로써 돈육 내 다가불포화지방산의 함량과 비율의 조절이 가능할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owers, JA, Craig, JA, Kropf, DH, Tucker, TJ. 1987. Flavor, color and other characteristics of beef longissimus muscle heated to seven internal temperatures between $55^{\circ}C$ and $85^{\circ}C$ . Journal of Food Science. 52:533-536. 

  2. Choe, EO, Lee, JY. 1998. Thermooxidative stability of soybean oil, beef tallow and palm oil during frying of steamed noodles. Korean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30(2):288-292. 

  3. Chung, CS, Lee, JJ, Jung, YC, Kang, CS, Park, HY, Kim, CJ. 1998. Effect of high oil corn on carcass traits, meat qua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and cholesterol contents of pork in growing-finishing pigs. Korean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40(4):373-380. 

  4. Conner, WE. 2000. Importance of n-3 fatty acid in health and diseas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71:171s-175s. 

  5. Corino, C, Magni, S, Pagliarini, E, Rossi, R, Pastorelli, G, Chiesa, LM. 2002. Effects of dietary fats on meat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heavy pig loins. Meat Science. 60:1-8. 

  6. Dransfield, E. 2008. The taste of fat. Meat Science. 80:37-42. 

  7. Folch, J, Lees, M, Stanley, GHS. 1957. A simple methods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 from animal tissues. Journal of Biology Chemistry. 226:497-509. 

  8. Grau, R, Hamm, R. 1953. Eine einfache methode zur bestimmung der wasserbindung in muskel. Naturwissenschaften. 40:29. 

  9. Guillevic, M, Kouba, M, Mourot, J. 2009. Effect of a linseed diet on lipid compositopn, lipid peroxidation and consumer evaluation of French fresh and cooked pork meats. Meat Science. 81:612-618. 

  10. Jin, SK, Kim, IS, Song, YM, Hah, KH. 2003. Effects of dietary oils and tocopherol supplementation on fatty acid, amino acid, TBARS, VB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rk meat. Korean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45(2):297-308. 

  11. Miller, MF, Shackelford, SD, Hayden, KD, Reagan, JO. 1990. Determination of the alteration in fatty acid profiles, sensory characteristics and carcass traits of swine fed elevated levels of monounsaturated fats in the diet. Journal of Animal Science. 68:1624-1631. 

  12. Moon, SS, Shin, CW, Kang, GH, Joo, ST, Park, GB. 2002. Effects of dietary activated carbon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pork.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22(2):145-150. 

  13. Park, BS, Kang, HK. 2004. Effect of linseed oil and canola oil feeding on the n-3 fatty acid content of Pork. Journal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3(9):1537-1543. 

  14. SAS/STAT (2002). SAS user's guide. SAS Institute Inc., Cary, NC. 

  15. Shin, DK, Kim, YJ, Lee, MH., Kang, TS. 1998. Effects of dietary fatty acids composition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rk, Korean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40(5):545-556. 

  16. Simopoulos, AP. 2002. The importance of the ratio of omega-6/omega-3 essential fatty acids. Biomed pharmacother. 56: 365-379. 

  17. Teye, GA, Sheard, PR, Whittington, FM, Nute, GR, Stewart, A, Wood, JD. 2006. Influence of dietary oils and protein level on pork quality. 1. Effects on muscle fatty acid composition, carcass, meat and eating quality. Meat Science. 73:157-165. 

  18. Webb, EC, O'Neill, HA. 2008. The animal paradox and meat quality. Meat Science. 80:28-36. 

  19. Wood, JD, Enser, M, Fisher, AV, Nute, GR, Sheard, PR, Richardson, RI, Hughes, SI, Whittington, FM. 2008. Fatty acid deposition and meat quality : a review. Meat Science. 78:343-35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