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600 nm급 폴리에스터 해도형 초극세사 편성물의 감량 및 염색 특성
Weight Reduction and Dyeing Properties of Sea-island-type Polyethylene Terephthalate Ultramicrofiber Knitted Fabrics

한국섬유공학회지 = 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v.51 no.1, 2014년, pp.34 - 42  

김현성 (단국대학교 파이버시스템공학과) ,  신은숙 (단국대학교 파이버시스템공학과) ,  이정진 (단국대학교 파이버시스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weight reduction and dyeing properties of circular-knitted fabric manufactured from sea-island-typ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ultramicrofiber were investigated. The diameter of a single fiber was approximately 600 nm. The results of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alysis, alkali di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견뢰도 시험전, 염색한 시료를 180 °C, 60초 동안 텐터(미니텐터 DL-2015, DaeLim, Korea)에서 열처리한 후 세탁견뢰도(ISO 105-C06/C1S), 일광견뢰도(ISO 105-B02)를 측정하였다.
  • 004 dpf)의 폴리에스터 해도형 초극세사 편성물의 감량거동을 감량률, SEM 분석, 양이온 염료 염색법 등을 이용하여 고찰하였다.또한 분산염료에 대한 염색 및 견뢰도 특성을 조사하였다.
  • 염색 후 시료는 소핑제(Protesol DSL) 1 g/l, 아세트산 0.5 g/l 를 사용하여 60 °C에서 20분간 소핑을 실시하였다.
  • 이 논문에서는 원사 직경 600 nm급(0.004 dpf)의 폴리에스터 해도형 초극세사 편성물의 감량거동을 감량률, SEM 분석, 양이온 염료 염색법 등을 이용하여 고찰하였다.또한 분산염료에 대한 염색 및 견뢰도 특성을 조사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600 nm급(0.004 dpf)의 폴리에스터 해도형 초극세사 편성물의 감량거동, 염색성 및 견뢰도 특성을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이때, 염료농도(0.5−7% owf) 및 염색온도(110−130 °C)를 변화시켜 이들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 피염물의 염색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염색이 끝난 편물 원단을 두 번 접어 네 겹으로 만든 다음 측색기(COLOR EYE 3000, Gretag Macbeth)를 이용하여 광원 D65, 관측 시야 10 o 의 조건에서 각 파장대의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최대 흡수파장의 표면 반사율로부터 겉보기 색농도로서 K/S 값을 다음의 Kubelka-Munk 식에 의해 구하였다.

대상 데이터

  • 폴리에스터 해도형 초극세 원사의 단면 사진은 Figure 1과 같다. 감량과 염색시 사용된 CH3COOH, NaOH, Na2S2O4등의 시약은 모두 1급 시약을 사용하였으며, 침투제로 MRN (한서합성공업)을 (주)KMF로부터 제공받았으며, 분산제 및 소핑제로 Protesol DSL(Durex Korea)을 사용하였다. 염색을 위해 구조를 알고 있는 3종의 분산염료를 오영산업(주)로 부터 공급받아 사용하였으며, 양이온 염료 염색실험을 위해 양이온 염료를 M.
  • 5%의 경우에는 침투제를 넣었을 때 감량률이 초기에는 유사하고, 30분 이후에는 약간 높았다. 실험에 사용된 해도형 초극세사는 도성분이 631개로 기존의 극세사에 비해 매우 많기 때문에, 알칼리 감량액이 극세사의 내부로 침투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NaOH 1%의 경우 침투제를 넣었을 경우에는 알칼리 감량액이 섬유내부로 골고루 침투하느라 감량속도가 다소 느린 반면, 침투제가 없을 경우에는 섬유내부로 침투가 상대적으로 느리지만 대신 섬유표면 근처의 해성분을 많이 용출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동일시간의 감량률이 침투제를 넣은 경우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추측된다.
  • 감량과 염색시 사용된 CH3COOH, NaOH, Na2S2O4등의 시약은 모두 1급 시약을 사용하였으며, 침투제로 MRN (한서합성공업)을 (주)KMF로부터 제공받았으며, 분산제 및 소핑제로 Protesol DSL(Durex Korea)을 사용하였다. 염색을 위해 구조를 알고 있는 3종의 분산염료를 오영산업(주)로 부터 공급받아 사용하였으며, 양이온 염료 염색실험을 위해 양이온 염료를 M.Dohmen Korea로부터 공급받아 사용하였다(Table 2).
  • 피염물로는 폴리에스터 해도형 나노필라멘트 환편물 2종을 (주)KMF로부터 제공받아 사용하였으며 환편물의 구조, 구성 원사의 조성 및 이론감량률은 Table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폴리에스터 해도형 초극세 원사의 단면 사진은 Figure 1과 같다.

이론/모형

  • 피염물의 염색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염색이 끝난 편물 원단을 두 번 접어 네 겹으로 만든 다음 측색기(COLOR EYE 3000, Gretag Macbeth)를 이용하여 광원 D65, 관측 시야 10 o 의 조건에서 각 파장대의 반사율을 측정하였다. 최대 흡수파장의 표면 반사율로부터 겉보기 색농도로서 K/S 값을 다음의 Kubelka-Munk 식에 의해 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도가 0.06 dpf 이하인 초극세 섬유의 장점은? 일반적으로 섬도가 0.06 dpf 이하인 초극세 섬유는 일반 합성섬유에 비해 단위 중량당 표면적이 크고, 드레이프성, 광택, 촉감, 외관 등이 독특하고 우수하여 인공피혁, 스웨이드 조직 제품, 필터소재, 방진복 등 폭 넓은 용도로서 사용되고 있다[4,5].
알칼리 감량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원하는 초극세사의 특성이 나오지 않는 이유는? 이때, 알칼리 감량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원하는 초극세사의 특성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알칼리 감량이 불충분하여 해성분이 원하는 수준으로 용출되지 못하면 초극세사가 발현되지 못하며, 알칼리 감량이 과다하면 해성분뿐만 아니라 도성분도 일부 파괴되어 섬유의 손상으로 인한 강도저하 등 문제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해도형 초극세 섬유의 알칼리 감량거동을 고찰하고 최적 용출조건을 찾는 것은 최종제품의 품질을 위해서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복합방사가 직접방사에 비해 나은 점은? 극세사의 생산방식은 단일 성분의 필라멘트가 방사구를 통해 방사되는 직접방사(direct spinning)와 두가지 이상의 성분이 방사된 후 개별성분들이 분리되는 복합방사(conjugate spinning)로 나눌 수 있다. 복합방사는 직접방사의 생산방식에 비해 훨씬 세섬도의 극세사를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중합물의 조성 및 단면 형태에 따라 분할형, 다층형, 용출형 세가지 형태로 나눈다[1−3]. 이중 용출형은 해도형(sea-island type)이라고도 하며 서로 다른 용제 추출성을 갖는 해성분(sea)과 도성분(island) 고분자를 복합하여 방사한 후, 한 성분을 용제로 추출하는 방식으로서, 필라멘트 형태의 극세사 중 가장 세섬도로 제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S. M. Burkinshaw, "Chemical Principles of Synthetic Fibre Dyeing", Blackie Academic & Professional, 1995, pp.194?217. 

  2. Anonymous, "Various Microfibers for Clothing", Jap Text News, 1992, 83, 81?85. 

  3. J. S. Koh, J. H. Park, K. S. Lee, and S. D. Kim, "Weight Reduction and Dyeing Properties of Sea-island Type PET Supermicrofiber Fabrics", Text Sci Eng, 2005, 42(6), 355?362. 

  4. J. W. S. Hearle, P. Grosberg, and S. Backer, "Structural Mechanics of Fibers, Yarns, and Fabrics", John Wiley & Sons, New York, 1969, pp.81?100. 

  5. O. Wada, "Control of Fiber Form and Yarn and Fabric Structure", J Text Inst, 1992, 83, 322?347. 

  6. J. Koh, "Alkaline Dissolution Monitoring of Sea-island Type Polyester Microfibre by a Cationic Dye Staining Method", Color Technol, 2004, 120, 80?86. 

  7. H. T. Cho and H. Lee, "Dyeing Behaviors of a Disperse Dye on Ultra-micro PET Fibers", Text Sci Eng, 2010, 47(2), 77?84. 

  8. B. S. Lee, H. S. Cho, H. Y. Lee, and S. D. Kim, "Dyeing Properties of Acid Dyes and Reactive Dyes on Sea-island Type Ultrafine Nylon Fiber", Text Sci Eng, 2011, 48(5), 315?321. 

  9. E. S. Shin, H. S. Kim, and J. J. Lee, "Weight Reduction Behavior and Dyeing Properties of Sea-island PET Ultramicrofiber Knitted Fabrics", Text Sci Eng, 2012, 49(1), 18?25. 

  10. Y. Washino, "Functional Fibers Trends in Technology and Product Development in Japan", Toray Research Center Inc., Shiga, 1993, pp.255?256. 

  11. J. Militky, J. Vanicek, J. Krystufek, and V. Hartych, "Modified Polyester Fibers", Elsevier, Prague, 1991, pp.61?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