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적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가로수 식재유형별 가로경관 평가 - 대구광역시 동대구로 은행나무를 대상으로 -
Evaluation of Streetscape by Street Planting Types using Dynamic Simulation - In the case of Ginkgo planted on the Dongdaegu-ro in Daegu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2 no.1, 2014년, pp.89 - 103  

신재윤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정성관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위치한 동대구로를 대상으로 동적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가로수 식재 유형별 선호도와 시각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식재 유형은 총 4개로 1열 차도측 식재, 1열 보도중앙 식재, 2열 병렬 식재, 2열 교호식재 등으로 선정하고, 4m, 7m, 10m 간격별로 구분하였으며, 보행자 시점으로 제작한 동적 시뮬레이션으로 설문하였다. 분석 결과, 경관 선호도는 1열의 경우 차도측 4m 간격이 4.64로 높게 나타났고, 2열은 교호식재 7m가 5.0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경관형용사를 이용하여 경관 선호인자를 분석해 본 결과, 경관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쾌적한'과 '아름다운'으로 나타나, 식재를 통한 경관연출에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할 요소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이용자의 보행체험을 바탕으로 가로수 식재 유형 및 간격에 대해 시각적으로 적합한 기준 제안을 목표로 하였고, 쾌적하고 질 높은 가로경관 조성을 위한 객관적 자료 및 식재계획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preference depending on street planting types and visual characteristics on Dongdaegu-ro located in Suseong-gu, Daegu Metropolitan City. The Single Row Roadside, Central Sidewalk Plantings, Double Row Parallel and Alternate Plantings were selected as the planting types. The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2)은 3차원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계절에 따라 가로수 종별 경관이미지를 제작하고, 감성이미지와 선호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감성요인은 심미적 요인, 인지적 요인, 개성적 요인, 자연적 요인, 공간적 요인 등으로 도출하고, 계절에 따른 수종별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가로수종 선택에 있어 정량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살펴본 결과, 가로경관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가로에 대해 이를 관측하기에 적합한 시점의 이미지 혹은 대표적 가로경관을 촬영한 사진과 같은 정적 매체를 사용하였으며, 가로공간에 대한 인간의 심리적 변화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물리적 구성에 대한 정량화를 통해 이 둘의 관계성을 해명하고 있었다.
  • 그 중에서 동적 시뮬레이션은 사물의 객관적인 표현이 가능하고,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정지 시점의 시뮬레이션에 비해 가로와 같이 보행에 의한 연속적 체험이 중요한 공간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가로경관의 시각적 평가에 더욱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Jung, 2000; Kim, 200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의 동대구가로를 대상으로 보행에 따른 시각적 체험을 높여줄 수 있는 동적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식재 유형과 간격에 따라 12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보행자의 선호도 및 시각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가로경관의 시각적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파악하여 쾌적하고 질 높은 가로경관 조성계획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의 동대구가로를 대상으로 보행에 따른 시각적 체험을 높여줄 수 있는 동적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식재 유형과 간격에 따라 12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보행자의 선호도 및 시각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가로경관의 시각적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파악하여 쾌적하고 질 높은 가로경관 조성계획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가로를 구성하는 기본요소 중 하나인 가로수의 식재 유형 및 간격에 따른 가로경관의 시각적 특성을 보행 체감을 통해 파악하고, 이용자 선호도와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동대구가로에서 식재를 통한 시각적으로 쾌적하고 질 높은 가로경관을 조성하는데 필요한 식재계획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가로수의 식재 유형 및 간격에 따른 선호도와 물리적 변수 및 시각적 특성과의 관계를 객관적 자료로 구축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다음의 세 가지 기준을 만족하는 가로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첫째, 대구광역시의 동대구로, 신천대로, 달구벌대로 등 가로정비사업 예정지구 중 가로녹지사업 대상지로 하였으며, 둘째, 식재유형이 교목 위주로 연속적으로 식재된 구간1), 셋째, 보행가로의 폭이 가로수를 2열 이상 식재 가능한 너비를 가진 공간을 대상으로 하였다.
  • 가로경관의 시각적 선호도에는 가로경관 구성요소의 물리적 조건에 따라 발생하는 시각적 반응이 선호요인으로 중요하게 작용하게 된다(Hong, 2003).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호도에 큰 영향을 주는 가로경관요소 중 하나인 가로수를 대상으로 식재 유형 및 간격 변화에 따라 이용자가 보행 시 느끼는 선호도와 시각적 특성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경관평가에 사용할 평가항목과 식재 유형 및 간격을 선정하였다.
  • 그러나 대부분의 경관 연구는 교각, 건축물과 같은 인공물을 대상으로 정적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이루어졌으며, 동적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연구는 개략적인 관점에서의 도시 전체에 대한 경관이나 간략화한 메스(mass)나 이미지로 대신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실적인 가로경관의 재현이 가능한 3차원 시뮬레이션을 바탕으로 가로 시설물 중 가로식재 유형 및 간격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가로수를 제외한 모든 요소를 실제 가로와 유사하게 고정하고, 보행자의 이동 시점으로 식재 유형 및 간격에 따른 선호도 차이와 경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시각적 특성에 대하여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로경관은 도시에서 어떤 요소인가? , 2004). 이러한 상황에서 경관은 도시의 아름다움과 삶의 질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척도라 할 수 있으며(Choi and Hyun, 2010), 특히, 도시의 구성요소 중 가로경관은 도시 공간구조상에서 도시민이 가장 많이 접하게 되는 공공공간으로서 가로이용자의 시각적, 경험적, 문화적 체험 등을 통해 도시의 이미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Lynch, 1960).
도시의 가로경관에서, 큰 시각적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경관구성 요소는? 도시의 가로경관은 다양한 경관구성요소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중 가로수, 건물, 도로면, 하늘 등이 시각적 점유율을 크게 차지하고 있다. 특히, 가로수는 도로와 함께 조성되는 선형녹지로서 도심의 녹지축을 연결하는 역할로 도심의 부족한 녹지 보충과 가로 녹량 증진, 아름다운 가로경관 조성을 위해 식재되며, 주변 환경 또는 계획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성이 가능하다(Seoul, 2007).
가로수 식재 유형별 선호도와 시각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식재유형으로 선정한 것은?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위치한 동대구로를 대상으로 동적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가로수 식재 유형별 선호도와 시각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식재 유형은 총 4개로 1열 차도측 식재, 1열 보도중앙 식재, 2열 병렬 식재, 2열 교호식재 등으로 선정하고, 4m, 7m, 10m 간격별로 구분하였으며, 보행자 시점으로 제작한 동적 시뮬레이션으로 설문하였다. 분석 결과, 경관 선호도는 1열의 경우 차도측 4m 간격이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Baek, Jae-Bong, Jae-Woo Cho and Song-Hyun Choi(2003) The present conditions and remedial measures of street trees in Miryang city. J.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2(6): 565-572. 

  2. Cho, Yong-Ho and Seong-Nam Kwak(2011) A study on the modelling of landscape control point location decision method using GIS spatialanalysis and simulation. J. of Korean Association of Cadastre Information 9(2):35-45. 

  3. Cho, Yong-Hyeon, Yong-Moon Cheong and Kwang-Dong Kim(2006) Analysis of street environment in Seoul by introducing index of greenness in streetscap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4(1): 1-9. 

  4. Choi, Im-Joo(2003) A study on the visual perceptual evaluation with CG simulation method -Focused on the 'street of youth' in Seo-myoun-.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9(10): 101-110. 

  5. Choi, Moo-Hyun and Taek-Soo Hyun(2010)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of street-scape - Focused on the street of central market, Pohang city. J. of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12(1): 1-8. 

  6. Daegu(2007) Master Plan of Park and Green, Daegu. Research Report to Daegu Metropolitan City 

  7. Hirate Kotaroh, Yasuoka Masahito(1986)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treet-Vistas with Roadside Trees : The experiments with using black and white photomontage slidefilms. Journal of architecture, planning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362: 35-43 

  8. Hong, Young-Rok(2003) A Psychological Response Model by Physical Conditions of Roadscape -Focused on the National Road in Suburb Areas-. Ph. D. Dissertation. Cheongju University, Chungcheongbuk-do. 

  9. Hwng, Sae-Hyun(2001) A Study on the Street Landscape Assessment for Viewpoint of Pedestrian. A Master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10. Jang, Hyo-Young(2010) Analysis of Pedestrian-Streetscape Image in Commercial District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 Master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11. Jeong, Dae-Young(2008) Visual characteristic assessment of sidewalk according to street planting types -Focus on sidewalk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J.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1(6): 49-60. 

  12. Jeong, Jae-Heui(2000) An evaluation of the streetscape according to the change of moving speed -Through the experiment of the virtual realit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8(5): 15-25. 

  13. Jeong, Seong-Goo(2001) Correlationships between Spatial Consciousness and Physical Element in Streets through CG Simulation. Ph. D.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4. Joo, Shinha(2003) A Study on the Selection and the Application of Landscape Adjectives for the Urban Landscape Analysis - Focused on the Gwacheon and Yaksoo District Area.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 Jung, Sung-Gwan, So-Jung Chae, Kyung-Tae Kim, Woo-Sung Lee, Kyung-Hun Park and Ju-Han You(2007b) Analysis on the image and visual preference of bridge landscapes -A focus on background landscape and bridge typ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5(5): 82-91. 

  16. Jung, Sung-Gwan, Young-Eun Park, Kyung-Hun Park, Ju-Han You, Kyung-Tae Kim and Woo-Sung Lee(2007a) Assessment of visual characteristics on arch bridge using landscape simulati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5(4): 48-56. 

  17. Jung, Sung-Gwan, Jae-Yun Shin, Kyung-Tae Kim and Chui-Hyun Choi(2012) Sensibility image and preference analysis of street tree species using 3D simulation -Focused on Tongdaeguro in Daeg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6): 47-59. 

  18. Kim, Choong-Sik and Insung Lee(1998) A study of streetscape evaluation methods using computer animation -A comparison of static and dynamic simulation method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6(4): 1-13. 

  19. Kim, Dae-Hyun(2001) The analysis of user's degree on landscape satisfaction factor for pedestrian road- Case study of Bun-Dang new town.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4(2): 1-10. 

  20. Kim, Doo-Wun(2004) A Study on the Indicators for Urbal Visual Streetscape Management Using Dynamic Simulation - Focusing on Shape and Layout of Buildings. A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1. Kim, Ji-Hye(2009) A Study on Analysis of Evaluation Structure on Streetscape Image : Focused on Samcheongdong-gil. A Master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2. Kim, Kqang-Ho, Sang-Ho Lee and Byung-Seon Kim(2004) The study on the perception on the physical complexity of facade design on building for streetscape planning. J.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2): 133-142. 

  23. Kim, Sehee(2007)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treetscape: focused on the Streets of Seoul Pedestrian Master Plan Project. A Master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4. Kim, Young Hee(2007) Street Trees System Preference by Birds Introduction Analysis. A Master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5. Korea Forest Service(2003) Provision and Management of Street Trees. Seoul: Kumkamg Press. pp. 130-150. 

  26. Lee, Chang-Heon(2003) The analysis on retailer's reaction on the street tree in front of store. J.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7(3): 9-16. 

  27. Lee, Lim-Jung(2010) The Study for Securing of Reliability of Landscape View Evaluation by Simulation Work : Focus on Criteria of Computer Graphic(CG) Process. A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Seoul. 

  28. Lee, Ok-Ha and Kyong-Jae Lee(1999) Optimal planting spacing on the basis of the growth condition of landscape trees. J.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13(1): 34-48. 

  29. Lee, Sang-Kyu(2002) A Study on the Analysis of User's Satisfaction Factors in the Commercial Streets. A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30. Lee, Si-jae(2002) A Study on the Scheme for Improving Streetscape by Visual Perceptual Evaluation Method in Street of Youth. A Master Thesis. Dongeui University, Busan. 

  31. Lim, Seung-Bin(1991) Theories in Landscape Analysis. Seoul: Seoul University Press. 

  32. Lynch, Kevin(1960) The Image of City. Harvard University Press. 

  33. Park, Jeong-Man(2004) A Study on Visual Preference of the Streetscape around Cultural Properties : Focused on the Street around Donghuen in Ulsan. A Master Thesis. University of Ulsan, Ulsan. 

  34. Park, Kyung Mo(2006) The Study on Pedestrian Passages as the Types of Road Planting -Focusing on the Pedestrian of Gang-nam Province-. A Master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35. Park, Tae-Keun, Seok-Kyu Kim and Seung-Hwan Kim(2000)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and improvement of planting method of street trees in Kimhae city. Journal of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Dong-A University. Research Works 24(1): 195-206. 

  36. Seo, Seung-Won(2010) University Town's Streetscape : Present Characteristic and Future Development Strategies : Terms of Human Environmental Cognition -A Case of Inha University Town-. A Master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37. Seoul(2007) Base Plan for Provision and Management of Street Trees. Research Report to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38. Shin, Hyun-Tak(1996) A Study on States and Management of Roadside Tree in Dae-gu, A Bachelor Thesis. Yeungnam University. 

  39. Shin, Jae-Yun, Sung-Gwan Jung, Kyung-Tae Kim and Woo-Sung Lee (2011) Evaluation of seasonal landscape images and preference of streetscape -Focusing on street of Prunus speci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3): 51-63. 

  40. Shinohara Osamu(1982) The new system of Civil Engineering 59 Civil King Station Project. Gihodo Press. 篠原修(1982) 新?系土木工學59土木景?計畵. 技報堂出版. 

  41. Sung, Hyun-Chan and Soo-Hyun Min(2003) An empirical study on the function and effect of urban openspace -Focusing on urban roadside tre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2): 48-57. 

  42. Woo, Dangki(2009) A study on the urban streetscape evaluation focused on pedestrian. J.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0(2): 275-28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