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하천 제방사면에 식재한 다년생 초본류의 군락 형성 비교
Community Formation Comparison of Herbaceous Perennials planted on Urban Stream Levee Slope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2 no.1, 2014년, pp.133 - 148  

양홍모 (전남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하천 제방사면의 다년생 초본류 군락 형성 연구를 위해 2009년 4월 중순 물억새, 억새, 띠, 수크령, 새를 식재하였다. 새는 분주를 식재하였고, 나머지 초종은 이년생 포트를 식재하였다. 식재 후 3년간 매년 2회의 잡초 제거를 통해 2011년 군락이 형성되었다. 2012년과 2013년은 잡초를 제거하지 않고 실험초종이 군락을 유지하는지 관찰하였다. 잡초를 제거한 2011년과 잡초를 제거하지 않은 2012년간, 잡초를 제거하지 않은 2012년과 2013년간 줄기수와 초장에 차이가 있는지 5월, 7월 9월의 줄기수와 초장을 활용하여 유의수준 0.05에서 t-검정을 하였다. 실험초종 모두 2012년의 줄기수가 2011년보다 적어(p<0.001) 잡초의 피해를 입었다. 억새, 띠, 수크령, 새의 초장은 2012년이 2011년보다 작아 잡초의 피해가 나타났다. 물억새의 초장은 5월과 7월에 차이를 보여 잡초의 피해를 입었으나 (p<0.001), 9월에는 차이가 없어(p=0.098) 피해를 입지 않았다. 2012년과 2013년간t-검정 결과, 새를 제외한 나머지 초종은 줄기수와 초장에 차이가 없었다(p>0.05). 이들 초종은 군락이 형성된 후 잡초의 피해 없이 군락이 유지되었다. 새는 줄기수와 초장 모두 차이를 보여 잡초의 피해가 컸다. 물억새, 억새, 띠, 수크령은 군락 형성 후 잡초 제거 없이 군락이 유지되었으나, 새는 잡초의 피해가 커 군락 유지가 어려웠다. 군락 형성 및 유지, 하천경관 개선, 제방사면 보호의 관점에서 물억새, 억새, 띠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vestigate community formation ability, herbaceous perennials such as Miscanthus sacchariflorus Bentham,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Rendle, Imperata cylindrica Linne, 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and Arundinella hirta Tanaka were planted in April 2009 at the levee s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도시하천 제방사면의 다년생 초본류 군락 형성 연구를 위해 식재한 것은? 도시하천 제방사면의 다년생 초본류 군락 형성 연구를 위해 2009년 4월 중순 물억새, 억새, 띠, 수크령, 새를 식재하였다. 새는 분주를 식재하였고, 나머지 초종은 이년생 포트를 식재하였다. 식재 후 3년간 매년 2회의 잡초 제거를 통해 2011년 군락이 형성되었다.
훼손된 하천을 복원하는 사업은 언제부터 시작되었나? 각종 개발활동으로 인해 훼손된 하천을 복원하는 사업이 1970년대부터 서구 선진국을 중심으로 시작되었으며, 최근에는 하천회랑 복원(riparian corridor restoration)의 개념이 도입되어,하도, 하안사면, 둔치의 생태적 복원뿐만 아니라, 하천제방의식생복원과 녹화도 강조하는 추세이다. 국내의 경우, 1990년대후반부터 도시하천 복원사업이 진행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지자체의 생태하천복원 사업이 추진되면서 훼손된 하천의 생태적 복원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초본류 군락이 야생동물에게 미치는 영향은? , 2002; Castelle and Johnson, 2000; Okuda and Sasaki, 1996).아울러 야생동물에게 서식처를 제공해 주고, 먹이를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하며, 군락을 형성한 초본류의 줄기와 잎, 꽃은 시각적 아름다움을 제공해 주어 하천경관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bramson, L. W., T. S. Lee, S. Sharma and G. M. Boyce(2002) Slope Stability and Stabilization Method.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pp. 530-545. 

  2. Castelle, A. J. and A. W. Johnson(2000) Riparian Vegetation Effectiveness. National Council for Air and Stream Improvement, Inc., Technical Bulletin No. 799. pp. 1-26. 

  3. Cho, Y. H., E. S. Kim, H. K. Kang and Y. M. Cheong(2012)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eed germination of native plants for revegetation on the slope of river bank. J. Korean Env. Res. Tech. 15(2): 103-115. 

  4. Gu, J. O., D. J. Lee, I. Y. Kuk and S. W. Cheon(2009) Water and Rural Flora of Korea. Seoul: Center for Academic Information. pp. 680-695. 

  5. Gu, J. O., J. Y. Byun and J. C. Jeon (2010) Weed Control. Hyangmoonsa: Seoul. pp 31-63. 

  6. Kim, G. W. and D. H. Sin(2012) Principles of Weed Contr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ress. pp. 18-43. 

  7. Kim, J. H., J. S. Yoon and S. R. Shim(2006) Effects of plant mixtures and tackifibers on the slope vegetation. J. Korean Env. Res. Tech. 9(6): 123-132. 

  8. Kim, J. H., Y. J. Heo, N. C. Kim and Y. M. Cheong(2005) A study on the seeding mixture improvements for the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of slopes by the thin-layer-soil-media hydroseeding revegetation measure. J. Korean Env. Res. Tech. 8(2): 90-97. 

  9. Kim, N. C., H. Y. Song, G. S. Park, G. S. Jeon, S. H. Lee and B. J. Lee(2007) An analytical study on the revegetation methods for highway slopes. J. Korean Env. Res. Tech. 10(2): 1-15. 

  10. Kim, N. C., S. J. Lee, J. J. Jung, J. H. Kim and S. J. Nam(2004) Study on the sod forming effects of the native plants for the erosion control in slopes. J. Korean Env. Res. Tech. 7(1): 77-84. 

  11. Kim, T. J.(1996) Plant Resources of Korea V.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pp. 50-75. 

  12. Koh, J. H., Y. J. Hur and J. Y. Choi(2011) Application of construction fiber soil reinforcement system in riparian slope. J. Korean Env. Res. Tech. 14(3): 169-176. 

  13. Kramer, J. T. A. and J. Smit(1977) Systems Thinking: Concepts and Notions. New York: John Wiley & Sons. pp. 5-15. 

  14. Lu, S., B. Chen, S. Hu, J. Zhang, J. Jiang and S. Shen(2012) Study on construction of close-to-nature man-made plant landscape based on natural plant communities: The case of west lake scenic area in Hangzhou. Advanced Materials Research Vols. 467-471: 2764-2770. 

  15. Mitsch, W. J. and S. E. Jorgensen(2004) Ecological Engineering and Ecosystem Restoration. New York: John Wiley & Sons. pp 35-45. 

  16. MLTM(Ministry of Land, Transportation and Maritime)(2009) Guidelines for Design and Construction of Road Slope Planting. Seoul: MLTM. pp 130-150. 

  17. Moon, S. G., D. G. Lee., N. C. Kim, K. S. Lee., S. J. Nam, S. W. Yoon, M. S. Gang and K. R. Yeu(2002) Ecological Engineering. Bomoondang: Seoul. pp. 45-47. 

  18. NAAS(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2007) Weed Management Guide. Agriculture and Horticulture: Anyang, Gyeonggi-do. pp. 16-26. 

  19. Okuda, S. and Y. Sasaki edit(1996) Stream Environment and Riparian Plants: Conservation andMaintenance of Vegetation. Tokyo: Soft Science. pp. 142-1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