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선나무 자생지 주변의 초본군락과 식물상 분석
Analysis on Herbaceous Communities and Flora around Abeliophyllum distichum Habitat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18 no.2, 2005년, pp.315 - 324  

유주한 (충청북도수목 산야초연구센터) ,  이철희 (충북대학교 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미선나무 자생지 주변의 식물상과 초본군락을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자생지 복원 및 보전대책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수행되었다. 식물상 조사결과, 가장 많은 분류군을 보인 지역은 괴산군 율지리(III)로 48과 91속 99종 15변종 등 총 114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가장 적은 지역은 진천군 용정리(V)로 28과 49속 47종 7변종 등 총 54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초본군락의 우점종은 환삼덩굴과 쑥(괴산군 추점리 I), 주름조개풀(괴산군 송덕리 II와 영동읍 매천리 IV), 대사초${\cdot}$${\cdot}$쑥(괴산군 율지리 III), 덩굴닭의장풀(진천군 용정리 V), 조릿대(부안군 중계리 VI)로 확인되었다. 상관관계분석 결과, 쑥과 대사초, 조릿대와 김의털, 조릿대와 청미래덩굴, 김의털과 청미래덩굴이 매우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유사도지수 분석결과, 유사도지수가 가장 높은 것은 III과 VI지역으로 $27.27\%$를 보였다. 환경요인과 식물종수간의 회귀분석 결과, 해발고도와 식물종수의 설명력은 약 $70.0\%$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offer the raw data on counterplan of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by systematical and objective analyzing the flora and herbaceous communities around Abeliophyllum distichum habitats. In the results of flora survey, as the site that the most taxa were showed was Yulji-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미선나무 자생지 주변에 자생하는 식물상과 그들이 형성하고 있는 군락에 대해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분석을 함으로써 자생지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을 두고 있다.
  • 본 연구는 미선나무 자생지 주변의 식물상과 초본군락을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분석 함으로써 자생지 복원 및 보전대책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수행되었다. 식물상 조사결과, 가장 많은 분류군을 보인 지역은 괴산군 율지리 (DI)로 48과 91속 99종 15변종 등 총 114분류군이 조 사되었으며, 가장 적은 지역은 진천군 용정리 ( V )로 28과 49속 47종 7변종 등 총 54분류군이 출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n, Y.H., and J.S. Song. 2003. Phytosociological study of weed vegetation around the climbing paths on Mt. Chungyeong. Kor. J. Env. Eco. 17(3) : 232-241 

  2.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einer Vegetationskunde. 3. Aufl., Springer, Wien, New York. pp865 

  3. Buell, M.F., A.N. Langford, D.W. Davidson, and L.F. Ohman. 1996. The upland forest continuum in northern New Jersey. Ecology 47(3) : 416-432 

  4. Choi, S.H., J.O. Kwon., and K.J. Song. 2000. Analysis on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Daewon Valley in Chiri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3(4) : 354-366 

  5. Huh, M.K., H.W. Huh., and C.H. Kim. 2000. Three species associations with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in community. Korean J. Ecol. 23(1) : 17-23 

  6. Kang, B.H., and S.I. Shim. 2002. Overall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Korea. Kor. J. Weed Sci. 22(3) : 207-226 

  7. Kang, H.K., and K.J. Bang. 2001. Vegetation structure and restoration model for naturalness of Robinia pseudo-acacia forest in the Korean national capital region. Kor. J. Env. Eco. 15(2) : 159-172 

  8. Kim, G.T., G.C. Choo., and G.J. Beale. 2003.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Daedeoksan-Geumdaebong nature ecosystem preservation area in Baekdudaegan. Kor. J. Env. Eco. 17(1) : 9-17 

  9. Kim, T.W., S.H. Chun., K.H. Kang., and J.I. Jeon. 1993. Flora of Mt. Choryong, Mt. Baekhwa and Mt. Gunja in Kwesangun, Chungchongbukdo. Bull. of the Kwanak Arb. 13 : 37-62 

  10. Kim, Y.S., S.H. Chon., and K.H. Kang. 1996. Floristic study of Odae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9(2) : 77-98 

  11. 김용식. 1998.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populations in Korea. Journal of Resource Development 17(1) : 67-81 

  12. Lee, K.J., S.H. Min., B.H. Han., and H.S. Kim. 1997. Plant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in Gunpo experimental forest of Mt. Suri, Kyonggi-do. Kor. J. Env. Eco. 11(3) : 290-309 

  13. Lee, K.W., T.G. Kim., and W.K. Sim. 2002. Relationship between stream geomophological factors and the vegetation abundance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Han River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0(3) : 73-85 

  14. Lee, T.B. 1976. New forms of Abeliophyllum distichum. Kor. J. Plant Tax. 7(1-2) : 21-22 

  15. Lee, W.T., and B.S. Kil. 1991. The investigation on natural growth region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Kor. J. Plant. Tax. 21(1) : 1-8 

  16. Rho, T.H., and G.S. Seo. 1993. Growth of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mponents in local collections of Artemisia sp.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 171-177 

  17. Whittacker, R.H. 1956. Dominance and diversity in land plant communities. Science 147 : 250-260 

  18. Yim, Y.J., and E.S. Jeon.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 J. Plant. Tax. 22 : 69-83 

  19. Yoo, Y.K., and K.S. Kim. 1998. Effects of some pretreatments on seed germination of White Forsythia(Abeliophyllum distichum). J. Kor. Soc. Hort. Sci. 39(1) : 86-91 

  20. You, J.H., HW. Cho., S.G. Jung., and C.H. Lee. 2004.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growth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Abeliophyllum distichum habitats. Kor. J. Env. Eco. 18(2) : 210-220 

  21. Zimmerman, J. C., L. E. DeWald and P. G. Rowlands. 1999. Vegetation diversity in an interconnected ephemeral riparian system of north-central Arizona, USA. Biological Conservation 90 : 217-228 

  22. 박수현. 1994. 한국귀화식물 원색도감. 일조각 pp371 

  23. 이창복. 1976. 특산자원(미선나무) 보존사업에 대한연구. 자연보존 12 : 6-10 

  24.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pp9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