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하천 제방사면에 식재한 몇몇 벼과식물의 활착 및 군락유지 특성
Characteristics of Rooting and Community Maintenance of Some Gramineae planted on Urban Stream Bank Slope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5 no.5, 2017년, pp.42 - 59  

양홍모 (전남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하천 제방사면의 벼과식물 활착과 군락형성 연구를 위해 2010년 10월 중순 물억새, 억새, 띠, 새를 줄떼식재하였다. 플라스틱 묘상(길이 60cm ${\times}$ 너비 30cm ${\times}$ 깊이 5cm)에 원예용상토를 4cm 깊이로 채우고 실험초종의 씨앗을 2010년 4월 하순 파종한 후 2010년 10월 초까지 형성된 뗏장을 너비 6cm ${\times}$ 길이 15cm ${\times}$ 두께 4cm로 잘라서 제방사면에 수평 폭 약 10~15cm 간격으로 심었다. 줄떼식재 후 군락형성을 유도하기 위해 2011년~2013년까지 3년간 매년 2회 잡초를 제거하였다. 실험초종 모두 2012년에 줄떼 간격의 빈 공간을 줄기가 상당부분 채워 초기군락이 형성되었으며, 2013년에는 줄떼 간격의 빈 공간을 거의 채워 군락이 형성되었다. 군락형성 후 2014년과 2015년은 잡초제거 없이 군락유지가 가능한지 관찰하였다. 2013년과 2014년의 줄기수간, 초장간 t-검정과, 2014년과 2015년의 줄기수간, 초장간 t-검정을 수행하였다. t-검정에는 5월, 7월, 9월에 조사한 줄기수와 초장을 활용하였다. 실험초종 모두 2014년의 줄기수와 초장이 2013년보다 줄어들어(p<0.001) 잡초의 피해를 입었다. 물억새, 억새, 띠는 2014년과 2015년의 줄기수와 초장에 차이가 없어(p>0.05) 군락형성 후 잡초제거 없이 군락이 유지되었으나, 새는 2015년의 줄기수와 초장이 2014년보다 현저히 줄어들어(p<0.001) 잡초의 피해가 커 군락유지가 어려웠다. 하천제방사면의 초본류 군락 형성과 유지의 관점에서 줄떼식재의 경우 물억새, 억새, 띠가 적합한 초종으로 나타났다. 실험기간 5년 매년 9월에 조사한 물억새, 억새, 띠, 새의 줄떼식재와 포트식재 간 줄기수와 초장의 t-검정에서, 줄기수는 줄떼식재가 포트식재보다 많았고(p<0.001), 초장은 포트식재가 줄떼식재보다 길었다(p<0.05). 줄기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줄떼식재가 제방사면 유실보호 관점에서 포트식재보다 유리한 것으로 드러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rooting and community forming ability, sod strips of Gramineae such as Miscanthus sacchariflorus (Maxim.) Benth.,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Andersson) Rendle,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Retz.) Pilg., and Arundinella hirta(Thunb.) Tanaka were planted horizontally at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도시하천에 끼친 영향은?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하천 주변에 형성되어 있던 홍수터를 주거지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 홍수 시 범람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방을 축조하고, 하도를 변경하는 하천개수사업이 수반되면서 도시하천의 훼손이 가속화되었다. 독일과 미국 등  서구 선진국을 중심으로 1970년대부터 각종 개발활동으로 훼손된 도시하천의 복원사업이 시작되었으며, 최근에는 하도, 저수호안, 고수부지의 생태적 복원은 물론 하천제방의 식생복원도 고려하는 추세이다.
국내 하천복원사업의 시작은? 국내의 경우 1990년대 후반 훼손된 도시하천의 하천공원화 사업이 시작되었으며, 1990년대 말부터 자연형 하천복원사업이 추진되기 시작하였다. 최근에는 훼손된 도시하천의 생태복원에 중점을 둔 생태하천복원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하도, 저수호 안, 고수부지의 정비를 강조하고 있으며, 하천제방 식생녹화에는 관심이 낮다.
하천제방 사면의 초본류 군락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하천제방 사면의 초본류 군락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식재 수종 및 방법, 연간 잡초제거 횟수, 연간 풀깍기 횟수, 토양조건 등을 들 수 있다(Okuda and Sasaki, 1996). 이들 요인 중에서 초본류의 종류와 연간 잡초제거 횟수가 초본류 군락 형성에 가장 중요하다. 하천제방 사면에 초본류 군락형성을 위해 실시하는 풀깍기는 관리비용이 추가로 들며, 초본류의 줄기도 함께 잘려 군락으로 피는 꽃을 감상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bramson, L. W., T. S. Lee, S. Sharma and G. M. Boyce(2002) Slope Stability and Stabilization Method.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pp. 530-545. 

  2. Castelle, A. J. and A. W. Johnson(2000) Riparian Vegetation Effectiveness. National Council for Air and Stream Improvement, Inc., Technical Bulletin No. 799. pp. 1-26. 

  3. Cho, H. J., H. S. Woo, J. W. Lee and K. H. Cho(2008) Changes in riparian vegetation after restoration in a urban stream, Yangjae stream.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0(3): 111-114. 

  4. Chun, S. H., Y. J. Cha and J. K. Choi(2000) Floral changes during three year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Youido ecology park.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8(5): 76-86. 

  5. Gu, J. O., J. Y. Byun and J. C. Jeon(2010) Weed Control. Hyangmoonsa: Seoul. pp 31-63. 

  6. Gu, J. O., D. J. Lee, I. Y. Kuk and S. W. Cheon(2009) Water and Rural Flora of Korea. pp. 680-695. 

  7. Jeong, D. Y., S. S. Hur and U. D. Shin(2007) An analysis of the visual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factors of an urban river- With a case of Gapcheon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0(3): 14-24. 

  8. Jorgensen, K., M. A. K. H. Clemetsen and T. Richardson edit.(2016) Mainstreaming Landscape through the European Landscape Convention 1st Edition. Routledge, London, pp. 150-160. 

  9. Joo, S. H. and S. H. Lee(2012)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urban stream landscape by landscape adjectives- Focused on the Cheonggyecheon and Yangjaecheo.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7(4): 49-63. 

  10. KFC(Korea Forest Service)(2014) Hillside Erosion Control Technical Manual. Sammunhwa: Daejeon, pp. 94-97. 

  11. Kim, T. J.(1996) Plant Resources of Korea V.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pp. 50-75. 

  12. Kim, N. C., S. J. Lee, J. J. Jung, J. H. Kim and S. J. Nam(2004) Study on the sod forming effects of the native plants for the erosion control in slop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7(1): 77-84. 

  13. Kim, J. H., J. S. Yoon and S. R. Shim(2006) Effects of plant mixtures and tackifibers on the slope vegetat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9(6): 123-132. 

  14. Kim, Y. L. and B. E. Yang(2007) A study on the analysis of factors for landscape architect scheme modification for the restoration project of Cheonggyecheon.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5(5): 16-28. 

  15. Koh, J. H., Y. J. Hur and J. Y. Choi(2011) Application of construction fiber soil reinforcement system in riparian slop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4(3): 169-176. 

  16. Lee, H. H. M. and P. Kwon(2002) Development of floating islands with a sod mat by shooting and rooting from shoot nodes of common reed.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5(1): 59-65. 

  17. Lee, K. J., B. H. Han, J. H. Kim and J. H. Bae(2004) The ecological management on consideration of vegetation structure at Goduck riverside restoration area in Hangang, Seoul.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2): 86-101. 

  18. Lu, S. B. Chen, S. Hu, J. Zhang, J. Jiang and S. Shen(2012) Study on construction of close-to-nature man-made plant landscape based on natural plant communities: The case of west lake scenic area in Hangzhou. Advanced Materials Research Volume 7-471: 2764-2770. 

  19. Mitsch, W. J. and S. E. Jorgensen(2004) Ecological Engineering and Ecosystem Restoration. New York: John Wiley & Sons. pp 35-45. 

  20. Moon, S. G., D. G. Lee., N. C. Kim, K. S. Lee., S. J. Nam, S. W. Yoon, M. S. Gang and R. Yeu(2002) Ecological Engineering. Bomoondang: Seoul. pp. 45-47. 

  21. NAAS(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2007) Weed Management Guide. Agriculture and Horticulture: Anyang, Gyeonggi-do. pp. 16-26. 

  22. NRA(National Rivers Authority)(1993). River Landscape Assessment, Conservation Technical Handbook 2. NRA. 

  23. Okuda, S. and Y. Sasaki edit(1996) Stream Environment and Riparian Plants: Conservation and Maintenance of Vegetation. Tokyo: Soft Science. pp. 142-162. 

  24. Park, K. H., J. H. You and Y. C. Yoon(2010) The characteristics and flora of Changwon and Nam stream located in Gyeongsangnam-do.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3(5): 12-27. 

  25. Shin, D. H. and K. S. Lee(2004) A consideration on the approach of urban stream landscape restoration- The case of the Chungkye stream restoration project.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4): 39-48. 

  26. Yang, H. M.(2014) Community formation comparison of herbaceous perennials planted on urban stream levee slop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1): 133-148. 

  27. Yang, Y. G. and G. L. Cho(200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of the urban riverscape- Focused on the Shincheon in Daegu. Proceedings of Autumn Conferenc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p. 59-62. 

  28. You, J. H., K. H. Park and J. H. Choi(2014) Management plan and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s by ecological restoration of Gaeumjeong stream, Changwon-si.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4): 48-59. 

  29. You, M. L., S. H. Park and S. S. Jung(2002) Vegetational composition and flora of Jungnangcheon in Seoul.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6(3):271-28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