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일부 공중화장실 위생설비의 오염지표세균 조사
The Load of Indicator Bacteria of Sanitary Ware in Public Restrooms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0 no.1, 2014년, pp.63 - 70  

김종규 (계명대학교 공중보건학과) ,  김중순 (계명대학교 경영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of indicator organisms in essential sanitary ware in public restrooms. Methods: Twelve public restrooms were randomly selected. Samples at three locations (toilet seat, toilet flush handle/lever, and faucet handle) in the restro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화장실 환경은 여러 병원체뿐만 아니라 항생제 내성균, 일상적으로 존재하는 세균 등 다양한 세균군의 서식처가 될 수 있음이 지적되고 있다.14) 이에 본 연구는 다중이용시설에 위치한 공중화장실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세 가지 주요 설비에 대하여 청결 및 오염도의 기준이 되는 지표세균인 일반세균, 총대장균군 및 대장균을 여름철과 겨울철에 조사 분석함으로써 화장실 위생관리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공중화장실의 청결 및 오염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화장실에서 주로 사용되는 설비(변기 시트, 물 손잡이, 변기 레버)에 대하여 일반세균수, 대장균군수, 그리고 대장균수를 측정하였다. 이들 세균은 오염지표 미생물의 기본이 되는 것으로 표준한천배지에서 증식하는 일반세균수는 전반적인 청결 상태를 나타낼 수 있으며 대장균군과 대장균은 장내미생물의 대표적 균종으로 분변오염의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 본 연구는 공중화장실에서 사용되는 주요 설비의 오염지표세균 분포를 조사함으로써 공중화장실 위생 관리 향상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다중이용시설에 위치한 12개 공중화장실에서 세 가지 설비(변기 시트, 물 손잡이, 변기 레버)로부터 swab법에 의하여 여름철 및 겨울철에 각각 시료를 채취하였다.

가설 설정

  • 2-6) 최근 Flores 등은 공중화장실에서 존재할 수 있는 세균군의 다양함을 증명하였으며 또 이들 세균군이 인간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7) 이제 인체 유래 미생물이 화장실 위생설비의 오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놀라운 것이 아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공중화장실의 시료 채취점으로 선정한 곳은 어디인가? 그 중 구조가 유사한 화장실을 시설별로 2개씩 선정하여 6개 화장실을 시료 채취 대상으로 하였다. 남녀 화장실로 구분하여 총 12개 화장실에서 3가지 주요 설비, 즉 좌변기 시트(이하 변기 시트), 세면대 수도꼭지의 손잡이/핸들(이하물 손잡이), 그리고 변기물내림 레버/핸들(이하 변기 레버) 표면에서 swab법에 의하여 시료를 채취하였다.15) 멸균 거즈(10×10 cm)를 준비하여 좌변기의 경우 신체와 접촉하는 부분을, 물 손잡이와 변기 레버의 경우 그 표면을 충분히 닦아내어 멸균생리식염수가 든 멸균시험관에 수집하였다.
우리나라에서 공중화장실 시설·설비가 더욱 확장된 계기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 월드컵축구대회와 같은 국제적 행사를 주관한 것을 계기로 공중화장실 시설·설비가 더욱 확장·증가되고 또 위생관리에 관심이 높아졌다. 관련법령으로 2004년 공중화장실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시행되면서 화장실시설·설비에 대한 연구도 더욱 증가하였다.
공중화장실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연도는 언제인가?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 월드컵축구대회와 같은 국제적 행사를 주관한 것을 계기로 공중화장실 시설·설비가 더욱 확장·증가되고 또 위생관리에 관심이 높아졌다. 관련법령으로 2004년 공중화장실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시행되면서 화장실시설·설비에 대한 연구도 더욱 증가하였다.8) 그렇지만 위와 같이 국외에서 화장실에 있어서의 보건위생학적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것이 비하여 국내에서는 공중화장실에 대한 구체적인 보건위생학적 조사 조차 별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Hutchinson RI. Some observations on the method of spread of Sonne dysentery. Mon Bull Minist Health Public Health Lab Serv. 1956; 15: 110-118. 

  2. Mendes MF, Lynch DJ. A bacteriological survey of washrooms and toilets. J Hyg. 1976; 76: 183-190. 

  3. Gerba CP, Wallis C, Melnick JL. Microbiological hazards of household toilets: droplet production and the fate of residual organisms. Appl Microbiol. 1975; 30: 229-237. 

  4. Barker J, Bloomfield SF. Survival of Salmonella in bathrooms and toilets in domestic homes following salmonellosis. J Appl Microbiol. 2000; 89: 137-144. 

  5. Scott E, Bloomfield SF, Barlow CG. An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the home. J Hyg. 1982; 89: 279-293. 

  6. Bocher S, Skov RL, Knudsen MA, Guardabassi L, Molbak K, Schouenborg P, et al. The search and destroy strategy prevents spread and long-term carriage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results from the follow-up screening of a large ST22 (E-MRSA 15) outbreak in Denmark. Clin Microbiol. Infect. 2010; 16: 1427-1434. 

  7. Flores GE, Bates ST, Knights D, Lauber CL, Stombaugh J, Knight R, et al. Microbial biogeography of public restroom surfaces. PLoS One. 2011; 6: e28132. 

  8.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Public restrooms act. Sejong: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Press; 2013. 

  9. Shin HK. Intelligent exhaust control system used in high riser for elevating exhaust efficient of toilet and cooking place. J Kor Soc Urban Environ. 2011; 11(1): 1-7. 

  10. Moon KH, Chung KS, Kim YI, Jang MK. A case study on the usage pattern & the optimum number of sanitary fixture at toilet in office building. J Architectural Institute Kor. 2012; 28(3): 3-10. 

  11. Kwon JH, Chung KS, Kim YI, Moon KH, Pakr DS. A study on the usage pattern of restroom facilities in university building. Seoul: SAREK Press; 2010. p.77-82. 

  12. Yeon JW, Chang MW, Kim KH. Detection and isolation of genital Mycoplasmas from public toilet bowls. J Bacteriol Virol. 2002; 32(3): 231-237. 

  13. Choi HY, Kwon WO, Lee WS, Lee H. Research on bacterial distribution of public lavatory. J Environ Health Sci. 2012; 38(6): 520-528. 

  14. Mkrtchyan HV, Russell CA, Wang N, Cutler RR. Could public restrooms be an environment for bacterial resistomes. PLoS One. 2013; 8(1): e54223. 

  15. NSW Food Authority. Environmental swabbing: a guide to method selection and consistent technique. Available: http://www.foodauthority.nsw.gov.au/_Documents/science/environmental_swabbing.pdf[accessed 23 November 2013]. 

  16. Drankiewicz D, Dundes L. Handwashing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Am J Infect Con. 2003; 31: 67-71. 

  17. Peixoto JC, Fontoura-da-Silva SE. Total and fecal coliforms contamination in faucets and flush bottoms in public washrooms sited in shopping malls of Curitiba, state of Parana, Brazil. Estud Biol. 2007; 29(68-69): 307-312. 

  18. NFS International. NSF international household germ study 2011. Available: http://www.nsf.org/newsroom_pdf/2011_NSF_Household_Germ_Study_exec-summary.pdf[accessed 23 November 2013]. 

  19. Barker J, Jones MV. The potential spread of infection caused by aerosol contamination of surfaces after flushing a domestic toilet. J Appl Microbiol. 2005; 99: 339-347. 

  20. Rusin P, Maxwell S, Gerba C. Comparative surfaceto- hand and fingertip-to-mouth transfer efficiency of gram-positive bacteria, gram-negative bacteria, and phage. J Appl Microbiol. 2002; 93: 585-592. 

  21. Kennedy DI, Enriquez CE, Gerba CP. Enteric bacterial contamination of public restrooms. Cleaning&Maintenance Management Magazine 2010. Available: http://www.cmmonline.com/articles/213834, and http://www.ciriscience.org/a_67-Enteric_Bacterial_Contamination_of_Public_Restrooms [accessed 23 November 2013]. 

  22. Nworie A, Ayeni JA, Eze UA, Azi SO. Bacterial contamination of door handles/knobs in selected public conveniences in Abuja metropolis, Nigeria: a public health threat. Continental J Med Res. 2012; 6(1): 7-11. 

  23. Ursell LK, Clemente JC, Rideout JR, Gevers D, Caporaso JG, Knight, R. The interpersonal and intrapersonal diversity of human-associated microbiota in key body sites. J Allergy Clin Immunol. 2012; 129(5): 1204-120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