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 기기 사용 시간과 스포츠 활동 시간이 청소년의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th Impacted by the Used Time of Smart Devices and Sports Activities 원문보기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14 no.1, 2014년, pp.211 - 217  

권미란 (나사렛대학교 아동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마트폰이 주도하는 스마트 혁명은 우리의 일상생활 전반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혁명은 우리에게 많은 편리성을 제공하고 있지만 반면에 역기능도 나타나고 있다. 특히 미래의 주인공인 청소년들의 과도한 스마트 기기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스마트 기기 사용 시간과 스포츠 활동 시간 등이 청소년의 감성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스마트 기기 사용 시간이 감성 지능에 부(-)의 관계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포츠 활동 시간도 감성 지능에 정(+)의 관계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인 분석으로 독서량도 감성 지능에 정(+)의 관계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 연구를 통해 전통적인 활동, 즉 스포츠 활동이나 독서는 청소년의 감성 지능 발전에 도움이 되는 반면, 스마트 기기의 사용은 청소년의 감성 지능 발전에 저해 요인이 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mart revolution led by Smart Phone in our daily lives is changing the paradigm in general. These smart revolution has provided us a lot of convenience, but on the other hand also appearing an inverse function. The host of the future of young people, especially by the excessive use of smart de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기기 사용 시간에 따라 청소년의 감성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청소년의 독서량에 따라 감성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 사용 시간에 따라 청소년의 감성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하였다. 또한 청소년의 운동 시간과 독서량에 대해서도 각각 감성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 분석을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기기 사용 시간에 따라 청소년의 감성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청소년의 독서량에 따라 감성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도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 수는 2011년 12월 2,258만 명을 돌파하였고 2012년 12월 3,273만 명, 2013년 7월에는 3,595만 명을 넘어섰다.[2] 국민 10명 중 6명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스마트혁명의 시대가 열린 것이다. 스마트폰이 주도하는 스마트 혁명은 일상생활 전반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 기기 사용 시간에 따라 청소년의 감성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분석 결과는 무엇인가? 스마트 기기 사용 시간과 감성지능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 분석한 결과 스마트 기기 사용 시간에 따른 감성지능은 부(-)의 관계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스마트 기기 사용 시간이 많을수록 감성지능이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회귀모형에 대한 예측력이 17.2%로 나타났으며, Beta 값이 –0.070로 나타났다. 반면 청소년의 스포츠 활동 시간과 감성지능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 분석한 결과 정(+)의 관계로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스포츠 활동과 감성지능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그 결과가 유의한 것과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누어지고 있다. 스포츠 활동 시간과 감성지능에 대하여 추후에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유아 및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구분해서 연구해 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생각 한다. 또한 추가적인 분석을 통해 청소년의 독서량이 감성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분석에서도 정(+)의 관계로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보면 전통적인 활동들 즉, 스포츠 활동과 독서는 청소년의 감성지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반면, 스마트기기의 사용은 감성지능 향상에 저해 요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모집단에 대한 표본이 전국 중학교를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닌 충남 천안 소재 두개의 중학교를 대상으로 한 것이어서 모집단에 대한 대표성에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스포츠란 무엇인가? 오늘날에는 ‘스포츠’를 활용하여 “스포츠 연구(sport studies)” 또는 “스포츠 과학(sport science)”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체육 즉, 스포츠란 “계획적이고 의도적인 신체활동을 매개 또는 수단으로 하여 인간의 잠재능력을 발휘하도록 함으로써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한 인간을 형성하고자 하는 교육의 한 영역”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5] 현대사회에서 원활한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인간관계의 능력을 키우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청소년의 체육활동은 성장하는 초등학생의 인격형성 과정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스포츠 활동이 청소년에게 주는 효과는 무엇인가? 스포츠 활동은 신체적 발달뿐만 아니라 사회적, 정신적 성취의 욕구실현을 도모하며, 그로인해 청소년의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정서함양과 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Hye-won Lee, "IDC, World Smart Phone Market Forecast", Internet & Security Weekly, KISA, 2013. 

  2. KISA, "A Study on the Usage by Smart Phone user's gender and age", Internet & Security Focus, 2013. 

  3. Kang-Tak Oh, Je-Eun Lee, "The Smart Life Revolution and Smart Phone Addiction", Internet and Information Security, Vol. 3, No. 4, 2012. 

  4. Mee-Rhan Kwon, "The Impact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Using Smart Devices",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13, No. 1, Feb. 2013. 

  5.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port White Paper", 2011. 

  6. Tae Joon Han, Hyung Soo Kim, "The Effects of Taekwondo Training Starting Period and Age on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er's Emotional Intelligence", Vol. 15, No. 1, 2010. 

  7. Ok Hyun Kim, Jin Kyung Park,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Exercise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Physical Fitness,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Intake Status for Adolescents", Vol. 21, No. 3, 2012. 

  8. Jin Keun Jeoung, "The Comparative analyses about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by types of sports for middle school students", Graduate Schoo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2000. 

  9. Mayer, J. D. Dipalol, M. & Salovey. P. "Perceiving the Affective Content in Ambiguous Visual Stimuli ; A Compon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4, 1990. 

  10. Goleman, D.,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Bantam Books, 1995. 

  11. Mayer, J. D. & Salovey, P.,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P. Salovey & D. Sluyter (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Basic Books, 1997. 

  12. Goleman, D., "Working with Emotional Intelligence", London: Bloomsbury Publishing, 1999. 

  13. Bar-On, R., "Emotional and social intelligence: Insights from the emotional quotient inventory." Bar-On, R., & Parker, J. D. A(Eds). "The handbook of emotional intelligence", San Francisco: Jossey-Bass, 2000. 

  14. Wong, Chi-Sum, & Law, S. L.,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d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 2002. 

  15. K. J. Ham, W. S. Yun, "The Effect Of Lead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Team's Affective Conflict, Cohesiveness, Creativity",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 15, no. 4, pp. 265-284, Dec. 2008. 

  16. Chang-su Park, "The 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Movement Ability and the Intelligence of Sense in Infant", Graduate School of Keimyung University,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2002. 

  17. Chan Sook Lee, Eun Ja Hyun,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Temperament, Social Competence, Emotional Intelligence, Morality, Parents' Child Rearing Attitudes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Vol. 29, No.3, 2008. 

  18. Hwa-jin Lee, "The Relationship among Physical Fitness and Self-esteem, Emotional Quotient, and Student Achievement of Male and Female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Graduate School of Sejong University,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2011. 

  19. Sun Gil Hwang, "Study on the Role of the Society for the Promotion of School Sports", Suwon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Master's Thesis, 1991. 

  20. Kwang-hyun Ji, "A Study on the Effect of Taekwondo Training on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Graduate School of Yong-in University,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2001. 

  21. Ha-Na Jang, Hae-Sook Shin,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Self-efficacy and Peer Competence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Participation of Dance Classe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 50. 2012. 

  22. Seung Hwan Oh, "The Effects of Physical Fitness, Self-efficacy and Emotional Quotient in Relation to the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Graduate School of Sejong University,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