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19 구급서비스의 시간 분석
Analysis of the Time Intervals in 119 Ambulance Service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0 no.4, 2016년, pp.128 - 134  

장경호 (인하대학교 사회교육학과) ,  강경희 (가천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장윤희 (인하대학교 한국어문학과) ,  한경동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제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구급서비스의 소요 시간, 특히 반응시간은 생존 확률을 향상시키고 후유 장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구급서비스의 품질 관리를 위한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1년부터 2014년까지 4년 동안 ${\bigcirc}{\bigcirc}$시의 신고 접수, 출동, 구급활동 자료를 이용해 환자 특성, 주증상 등을 고려한 구급서비스의 시간(time interval)을 분석하였다. 구급서비스의 시간에 대한 정의를 세분화하고 각각의 소요 시간에 미치는 다양한 경제사회적 요인이나 지역적 특성을 분석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면 구급서비스의 품질은 크게 제고될 것으로 기대 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mbulance service time interval, in particular the response time, has been used as an important indicator for the quality control of ambulance services in that it can be improved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survival and decrease the sequela-related disability. Based on the 2011~2014 Prehospit...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구급활동일지에는 Figure 1에 나타난 구급서비스 시간 중 신고 접수, 출동 지령, 현장 도착, 현장 출발, 병원 도착에 관련된 시간만이 기록되어 있어 본 연구에서는 음영으로 표시한 신고 접수로부터 출동 지령까지의 시간, 현장 도착까지의 시간, 현장에서 소요된 시간, 병원 도착까지의 시간을 중심으로 구급서비스 시간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구급 활동에서의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급서비스의 소요 시간의 중요성은? 구급서비스의 소요 시간, 특히 반응시간은 생존 확률을 향상시키고 후유 장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구급서비스의 품질 관리를 위한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1년부터 2014년까지 4년 동안 ${\bigcirc}{\bigcirc}$시의 신고 접수, 출동, 구급활동 자료를 이용해 환자 특성, 주증상 등을 고려한 구급서비스의 시간(time interval)을 분석하였다.
남성에 대한 구급서비스 시간은 어떠한가? Table 7는 요일별로 구급서비스 시간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구급서비스 시간은 주중에 26.45분으로 주말 26.29분에 비해 길었는데, 이는 유의 수준 5%에서 통계적 으로 차이를 보인 것이다.
환자의 생존 확률을 높이기 위해 구급서비스의 (발생) 시각에 대한 대책은? 아울러 획일적인 규정이나 표준화된 시간의 설정보다는 구급서비스의 시간에 대한 정의를 세분화하고, 각각의 소 요 시간에 미치는 다양한 경제사회적 요인이나 지역적 특 성을 분석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면 구급서비스 의 품질은 크게 제고될 것으로 기대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5 Fire Administration Data and Statistics", Korea (2015). 

  2. D. C. Cone, S. J. Davidson and Q. Nquyen, "A timemotion Study of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s Turnaround Interval",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Vol. 31, No. 2, pp. 241-246 (1998). 

  3.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NFPA 1710, standard for the organization and deployment of fire suppression operations, emergency medical operations, and special operations to the public by career fire departments.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2010). 

  4. E. D. Bailey and T. Sweeney, "Considerations in Establishing Emergency Medical Services Response Time Goals", Prehospital Emergency Care, Vol. 7, No. 3, pp. 397-399 (2003). 

  5. K. Y. Jung and S. H. Lee, "The Ambulance Response Time: The Present Status and the Shortening Pla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 7, No. 3, pp. 337-344 (1996). 

  6. Y. K. Kim, J. H. Ryoo, W. S. Moon, B. J. Chun, T. Heo and Y. I. Min, "An Analysis on the Patient Trrnsported via 119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 11, No. 2, pp. 190-344 (1996). 

  7. G. J. Suh, S. H. Lee, I. J. Jo, W. Y. Kwon, H. G. Song, J. E. Rhee and Y. K. Yoon, "Prehospital Trauma Care System in Seoul by 119 Rescue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 12, No. 2, pp. 160-169 (2001). 

  8. W. S. Oh, S. H. Joung and M. O. Yoon, "Improvement Strategies of Arriving Time to the Scene by Enhancing EMTs' Recognition of Triage",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ol. 17, No. 1, pp. 45-52 (2015). 

  9. D. Lim, T. N. Chung, C. J. Lee, S. G. Jin, E. C. Kim, S. W. Choi and O. J. Kim, "Prognostic Factor, for Major Trauma Patients in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J. Korean Soc. Traumatol, Vol. 24, No. 2, pp. 89-94 (2011). 

  10. C. D. Newgard, R. H. Schimicker, J. R. Hedges, J. P Trickett, D. P. Davis, E. M. Bulger, T. P. Aufderheide, J. P. Minei, et al., "Emergency Medical Services Intervals and Survival in Trauma: Assessment of the "Golden Hour" in a North American Prospective Cohort", Ann. Emerg. Med., Vol. 55, No. 3, pp. 235-246 (2009). 

  11. T. H. Blackwell, J. A. Kline, J. J. Willis and G. M. Hicks, "Lack of Association between Prehospital Response Times and Patient Outcomes", Prehospital Emergency Care, Vol. 13, No. 4, pp. 444-450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