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젊은 성인에서 두개척추각과 호흡순환기능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s between Craniovertebral Angle(CVA) and Cardiorespiratory Function in Young Adults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9 no.1, 2014년, pp.107 - 113  

이명희 (경성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주민 (안동과학대학교 물리치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craniovertebral angle (CVA) and cardiorespiratory function ($VO_2max$ and $VCO_2max$) in young adults. METHODS: For this study, the students of D college were questioned and 50 members of D college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전방두부자세가 호흡근의 약화를 가져 오고 이차적인 자세의 변형과 만성적인 이상자세로 인해 폐활량이 감소되었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전방두부자세의 정도에 따른 호흡순환기능을 객관적인 자료를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 본 연구는 부적절한 자세정렬을 보이는 전방두부자세가 호흡순환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VO2max 및 VCO2max를 측정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해 적절한 대상자를 선정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비정상적 전방두부자세가 심할수록 VO2max와 VCO2max가 낮게 나타났고 정상자세에 가까울수록 VO2max와 VCO2max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 본 연구는 전방두부자세라는 비정상적인자세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 중 호흡순환기능에 관해 조사하기 위해 호흡가스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개척추각이 작을수록 분당 최대산소섭취량 및 분당 최대이산화탄소배출량은 감소하는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것은 전방두부자세를 보이는 사람들의 호흡순환기능이 바른 자세정렬을 가진 사람에 비해서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방두부자세와 같은 비정상적 자세는 인체에 어떠한 악영향을 끼치는가? 또 사무직 종사자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고(Szeto 등, 2002), 목 부위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환자들에게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머리 자세이다(Good 등, 2001). 이와 같은 비정상적 자세는 목뼈 주변의 근육과 관절에 가해지는 부하를 증가시켜 긴장성 두통(Fernández-de-las-Peñas 등, 2006), 목의 통증(Silva 등, 2009), 경추성 두통(Yip 등, 2008) 그리고 편두통(Moore, 2004)을 발생시킨다. 뿐만 아니라 잘못된 자세 정렬을 유지함으로써 목과 등의 척추세움근(thoracolumbar paraspinal muscle), 목빗근(sternocleidomastoid), 위등세 모근(upper trapezius) 등에 긴장도를 증가시키기도 한다(Cho 등, 2008).
VDT증후군이란 무엇인가? VDT증후군(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이란 주로 영상표시단말기와 관련된 작업 시 나타나는 건강상 문제의 총칭으로 시각적인 환경과의 문제로 나타나는 안과 장애, 같은 동작의 반복 작업 및 정적인 자세 등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근육뼈대계 장애, 업무적 특성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정신적 스트레스 그리고 전자파의 노출에 의한 건강장애 등이 나타나게 된다. 이중 근육뼈대계 질환의 대표적인 예로 전방두부자세를 들 수 있는데 이는 목뼈(cervical vertebra)의 아래부위는 굽힘(flexion)이, 목뼈의 위쪽부위는 폄(extension)이 동반된 자세이다.
전방두부자세란 무엇인가? VDT증후군(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이란 주로 영상표시단말기와 관련된 작업 시 나타나는 건강상 문제의 총칭으로 시각적인 환경과의 문제로 나타나는 안과 장애, 같은 동작의 반복 작업 및 정적인 자세 등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근육뼈대계 장애, 업무적 특성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정신적 스트레스 그리고 전자파의 노출에 의한 건강장애 등이 나타나게 된다. 이중 근육뼈대계 질환의 대표적인 예로 전방두부자세를 들 수 있는데 이는 목뼈(cervical vertebra)의 아래부위는 굽힘(flexion)이, 목뼈의 위쪽부위는 폄(extension)이 동반된 자세이다. 또 사무직 종사자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고(Szeto 등, 2002), 목 부위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환자들에게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비정상적인 머리 자세이다(Good 등,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meida VP, Guimaraes FS, Moco VJ, et al. Correlation between pulmonary function, posture, and body composition in patients with asthma. Rev Port Pneumol. 2013;19(5):204-10. 

  2. Cho WH, Lee WY, Choi HK. An Investigation on the Biomechanical Effects of Turtle Neck Syndrome through EMG Analysis. Proc of J Korean Soc Precis Eng. 2008:195-6. 

  3. Dimitriadis Z, Kapreli E, Strimpakos N, et al. Respiratory weakness in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Man Ther, 2013;18(3):248-53. 

  4. Faulkner JA, Brooks SV, Opiteck JA. Injury to skeletal muscle fibers during contractions: conditions of occurrence and prevention. Phys Ther. 1993;73(12):911-21. 

  5. Fernandez-de-las-Penas C, Alonso-Blanco C, Cuadrado ML, et al. Forward head posture and neck mobility in chronic tension-type headache: a blinded, controlled study. Cephalalgia. 2006;26(3):314-9. 

  6. Fernandez-de-Las-Penas C, Cuadrado ML, Pareja JA. Myofascial trigger points, neck mobility, and forward head posture in episodic tension­type headache. Headache. 2007;47(5):662-72. 

  7. Good M, Stiller C, Zauszniewski JA, et al. Sensation and Distress of Pain Scales: reliability, validity, and sensitivity. J Nurs Meas. 2001;9(3):219-38. 

  8. Helgerud J, Hoydal K, Wang E, et al. Aerobic high-intensity intervals improve VO2max more than moderate training. Med Sci Sports Exerc. 2007;39(4):665-71. 

  9. Mekhora K. Liston CB, Nanthavanij S. The effect of ergonomic intervention on discomfort in computer users with tension neck syndrome. Int J Ind Ergon, 2000;26(3):367-79. 

  10. Janwantanakul P, Pensri P, Jiamjarasrangsri V, et al. Prevalence of self-repor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office workers. Occup Med (Lond). 2008;58(6):436-8. 

  11. Kendall FP, Provance PG, McCreary EK. Muscle: 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4th ed).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993. 

  12. Kim SB, Choi YS. The Effect of Inspiratory Muscle Training on Competition Record in Biathlon Athlet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2013:18(3):229-35. 

  13. Kisner C, Colby LA.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 and techniques. 4th ed. Philadelphia. FA Davis. 2002. 

  14.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2012 Survey on the Internet Usage: Executive Summary. 2012. 

  15. Kraus SL. Cervical spine influence on the craniomandibular region, In: Kraus SL. The TMJ disorders management of the craniomandibular complex. New York:Churchill Livingstone. 1988 

  16. Kubo T, Mizoue T, Ide R, et al. Visual display terminal work and sick building syndrome--the role of psychosocial distress in the relationship. J Occup Health. 2006;48(2):107-12. 

  17. Moore MK. Upper crossed syndrome and its relationship to cervicogenic headache. J Manipulative Physiol Ther. 2004;27(6):414-20. 

  18. Phillastrini P, Mugnai R, Farneti C, et al. Evaluation of two preventive interventions for reducing musculoskeletal complaints in operators of video display terminals. Phys Ther. 2007;87(5):536-44. 

  19. Shahidi B, Haight A, Maluf K. Differential effects of mental concentration and acute psychosocial stress on cervical muscle activity and posture. J Electromyogr Kinesiol. 2013;23(5):1082-9. 

  20. Silva AG, Punt TD, Sharples P, et al. Head posture and neck pain of chronic nontraumatic origin: a comparison between patients and pain-free persons. Arch Phys Med Rehabil. 2009;90(4):669-74. 

  21. Solsw B, Tallgren A. Natural Head Position in Standing Subjects. Acta Odontol Scand. 1971;29(5):591-607. 

  22. Song JM, Lee KH, Hwang HS. A comparative study of guiding methods for natural head posture in cephalometrics. Korean J Orthod. 2005;35(5):341-50. 

  23. Szeto GP, Straker L, Raine S. A field comparison of neck and shoulder postures in symptomatic and asymptomatic office workers. Appl Ergon. 2002;33(1):75-84. 

  24. Watson DH, Trott PH. Cervical headache: an investigation of natural head posture and upper cervical flexor muscle performance. Cephalalgia. 1993;13(4):272-84. 

  25. Wiswell RA, Jaque SV, Marcell TJ, et al. Maximal aerobic power, lactate threshold, and running performance in master athletes. Med Sci Sports Exerc. 2000;32(6):1165-70. 

  26. Yip CH, Chiu TT, Poon AT. The relationship between head posture and severity and disability of patients with neck pain. Man Ther. 2008;13(2):148-5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