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에 따른 유행선도력과 외모관리 기대가치
Fashion Leadership and Expected Values of Appearance Management According to Individualism-collectivism Orientation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3 no.1, 2014년, pp.85 - 99  

박은희 (대구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individualism-collectivism orientation into groups and analyze the difference of fashion leadership and expected values of appearance management by the group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76 adults in 20's and 30's living in Deagu and Kyungbook a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에 따라 분류된 소비자 집단 간의 유행선도력과 외모관리 기대가치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다.
  • 본 연구에서는 20-30대 성인을 대상으로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 집단에 따른 유행선도력과 외모관리 기대가치에 관하여 알아보았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특히 한 자녀 혹은 두 자녀 가정에서 성장한 개인 중심적 사고와 청소년시기 또래친구와의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집단적 행동을 학습한 20-30대는 자기행동의 결정권을 본인에게서 찾기도 하고 타인에게서 찾기도 하며 혹은 개인의 만족에 관심을 보이기도 하고 사회적 평가에 관심을 기울이기도 하는 등 개인에 따라 다를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30대의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일문화권의 개별 소비자 차원에서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성향에 따른 유행선도력과 외모관리 기대가치와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한다.
  • 집단 경쟁주의 집단은 타인으로부터 인정을 받기위해 적절한 경쟁을 받아들이고 현재 유행하는 의복을 착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인간이 살아가는데 적절한 경쟁은 필요로 하므로 타인으로부터 인정을 받을 수 있는 브랜드 제품을 선택하여 자신을 높일 수 있는 의복을 제안한다. 저 개인-집단주의 집단은 유행선도력과 외모관리 기대가치의 하위변인 모두 낮게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인주의-집단주의 이론의 활용은? 개인주의-집단주의 이론은 민족 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상이한 문화권의 구성원들이 보이는 행위를 비교, 설명하는데 중요한 개념으로 제시되어 왔으며, 또한 한 민족 내에서 개인차를 비교하는 틀로도 활용되고 있다. Yoon과 Kim(2000)은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이론을 문화권간 적용 혹은 국가차원의 적용뿐만 아니라 한 나라 안에서 즉 동일문화권의 개별소비자 차원에서 집단주의와 개인주의의 소비자 특성을 비교해 보는 연구에도 적용시켜 볼 수 있다고 하였다.
한국사회의 특성 변화는? 전통사회가 근대화되면서 어느 사회이건 순수한 의미에서 집단, 혹은 개인주의적인 문화의 속성만을 지니고 있는 문화권은 없으며 대부분의 문화권이 양면성을 나름대로 지니고 있다(Han & Oh, 1993). 과거 한국사회는 전형적인 집단주의 문화로 분류하여 왔지만 이미 개인주의 성향이 상당히 있음을 시사하였고, 한국사회의 특성이 개인주의적 성향으로 옮겨가고 있다(Yi, 2000). 즉, Yi(2000)는 일하는 근로자와 관리직 종사자 300명을 대상으로 인간관계와 작업능력에 따른 분배원리 선호 조사에서 남자와 여자 생산직 근로자와 관리직 종사자 모두가 선호하는 분배원리는 형평원리였다고 하였다.
한국사회의 개인주의-집단주의 문화가 혼재하게 된 이유는? 이는 함께 일을 할 때 일하는 과정에 투여된 각자의 인간관계와 과제수행의 질에 따라서 보수를 받기를 원하는 것으로 이들의 대인관계의 태도와 가치지향이 개인주의적 성향으로 변해가고 있음을 밝혔다. 이렇듯 한국은 현대 산업사회로 발전되어 오면서 세대 간에 많은 차이가 존재하고 또한 서구문물의 영향으로 점차 개인주의화 되어가고 있음에 따라 현재 한국의 집단주의와 개인주의는 혼재되어 있는 상태라고 볼 수 있다(Yoon & Kim, 2000). 특히 한 자녀 혹은 두 자녀 가정에서 성장한 개인 중심적 사고와 청소년시기 또래친구와의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집단적 행동을 학습한 20-30대는 자기행동의 결정권을 본인에게서 찾기도 하고 타인에게서 찾기도 하며 혹은 개인의 만족에 관심을 보이기도 하고 사회적 평가에 관심을 기울이기도 하는 등 개인에 따라 다를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un, M. S., Lee, J. H., & Koh, A. R. (2006). The effect of cultural tendency on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7(2), 277-300. 

  2. Han, G. S. & Oh, J. J. (1993). An analysis of children's social interactio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Kor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7(1), 185-197. 

  3. Han, K. M. & Na, Y. J. (2004). Preferred sensation of adolescents according to their lifestyle and individualism/collectivism.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6(1), 51-60. 

  4. Han, S. P. (1990).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culture. Advertising Research, 9(Winter), 225-251. 

  5. Han, S. Y. & Lee, H. P. (1995).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lienation and individualistic/collectivistic tendency.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Social Issues, 2(1), 113-129. 

  6. Han, Y. H. & Chung, J. K. (2007). Two-factor self-esteem scale: individualistic and collectivistic factors.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1(4), 117-131. 

  7. Hong, B. S., Paik, I. S., Lee, E. J., & Park, S. H. (2007). The effect of media and appearance concern on appearance management of work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4), 624-632. 

  8. Hong, K. H. & Liu, J. (2009). Korean fashion brand purchasing behavior by fashion leadership and korean wave of college women students in chin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4), 655-665. 

  9. Jung, H. J. & Lee, Y. R. (2011). The expected values of appearance management of 20s-30s and 40s-50s male consumers on their suit buying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2), 125-135. 

  10. Kaiser, S. B. (1990).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N.Y.: Macmillan. 

  11. Kang, Y. S. (2007). Effect of the body satisfaction and self respect for the job selection of the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gu Haany University, Korea. 

  12. Kim, C. J. (1998).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male consumers segmented by fashion leadershi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37, 89-102. 

  13. Kim, J. W. & Jin, S. Y. (2010). Fashion leadership, underwear purchase behaviors and attitude of females in their 20s-3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8), 1319-1330. 

  14. Kim, S. H. (1999). A study on the structure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s and the relation between clothing consumption values and clothing involvement and fashion leadership,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15. Kim, S. H. (2003). A study on the sociocultural attitude appearance and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focused on females in their twentie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1(5), 99-108. 

  16. Komarraju, M., Dollinger, S. J., & Lovell, J. L. (2008). Individualism-collectivism in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s predictors of conflict management style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flict Management, 19(1), 20-35. 

  17. Lee, Y. L. & Jung, H. J. (2012). The effects of well-being consciousness and appearance management of Korean and Japanese consumers on attitudes toward Korean Herbal cosme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2(2), 87-102. 

  18. Lim, S. J., Hwang, S. J., Lee, J, N., & Lee, S. H. (2009).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Seoul: Soohaksa. 

  19. Paik, S. Y. & Lee, S. J. (1999). A study on orientations, clothing behaviors, and clothing purchasing motives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47, 47-60. 

  20. Park, H. W. & Kim, Y. S. (2011). Effects of egonomy tendency on their self-makeup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university women in Jeonbuk province.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6), 1372-1384. 

  21. Park, J. K. & Kim K. Y. (2012).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athletic identity and achievement behavior using expectancy-value modes: multi-group analysis across sport type and career.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23(2), 181-196. 

  22. Park, K. H. & Choi, W. K. (2001). Effects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on clothing buying behavior. Korean Society of Consumer Studies, 12(1), 101-114. 

  23. Shim, J. H. (2007). A study on difference of clothing behavior and desired image by individualism-collectivis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11), 1574-1585. 

  24. Shin, H. Y. & Hwang, J. S. (2010). The effect of fashion leadership on word of mouth communications on the interne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8), 1242-1252. 

  25. Triandis, H. C. (1996). The psychological measurement of cultural syndromes. American Psychologist, 51(4), 407-415. 

  26. Triandis, H. C. & Gelfand, M. J. (1998). Converging measurement of horizontal and vertical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Journal of Personality Social Psychology, 74(1), 118-128. 

  27. Yi, J. H. (2000). The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dults: collectivist and moving toward individualist.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6(3), 201-219. 

  28. Yoon, W. A. & Kim, K. O. (2000). Collectivism-individualism scale development of consumers. Korean Society of Consumer Studies, 11(3), 1-1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