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생각 비교
A Comparison Between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Gifted Child and Science Teacher about the Good Science Clas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4 no.1, 2014년, pp.10 - 20  

양일호 (한국교원대학교) ,  최현 (상사초등학교) ,  임성만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학생들과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인식을 비교 하였다.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해 과학 영재 수업이라는 공통의 경험과 그 현상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면담을 통해 그 의미를 탐색해 보았다. 연구문제는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로 설정하였다.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하여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여 과학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과 교사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해 교사들은 첫째, 교육내용 및 방법의 범주면에서 학생 중심의 주제 선정과 교육과정의 비정형성, 개인차를 인정하는 학습 속도의 조절과 탐구 능력을 촉진하는 도전적인 과제를 제시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었다. 둘째, 과학 수업기술 및 태도 범주면에서는 허용적인 분위기에서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상호 만족도를 높이며, 학생들의 의견을 수용하는 과정 중심의 평가가 이루어질 것을 권장하였다. 셋째, 영재학생 지도교사의 지속적인 전문성 신장을 위해 노력할 것을 포함하였다. 영재 학생들은 첫째, 수업 내용면에서 주제 선택의 자유와 심화된 탐구에 도전 의지를 갖고 해결하는 즐거운 수업을 좋은 과학 수업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수업 활동면에서 탐구 방식의 자율적 선택과 과학자처럼 활동하기, 소통과 협력이 가능한 모둠활동, 과정 중심 프로젝트나 산출물에 대한 총합적인 평가를 선호하였다. 셋째, 수업 환경면에서는 물리적 환경이 잘 갖춰진 실험실에서 허용적인 분위기와 학생에 대한 존중을 요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영재학생과 지도교사 사이의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밝혀 영재학생을 위한 과학 영재 수업의 질 관리 및 효과적인 좋은 과학 영재 수업 전략을 수립하는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s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gifted child and science teacher in a science class for the gifted. In order to explore the research problem, students and teachers answered a written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nd participated in interviews regarding the gifted science class. T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학적인 수업의 정의는 무엇인가? 그만큼 수업은 복잡하고 역동적인 과정이며, 수업 또한 일정한 구조, 반복적인 패턴, 공통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문화현상이다(Cuban, 1998). 반면 수업은 교육학적으로는 교육과정이라는 교육 자료를 활용하여 교사와 학생간의 의미의 일치를 이루는 것이라고 정의한다(Gowin, 1981). 그리고 Gagne와 Deci(2005)는 수업은 학습을 도와주는 활동으로서 내적 학습 과정을 지원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배열된 일련의 외적 사상이라고 하였다.
과학 수업은 무엇을 목적으로 하는 수업인가? 특히 과학 수업은 실험활동을 통해 과학적 정보를 수집하여 결과를 해석하며 결론을 이끌어 내거나 추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수업이라 한다(Klopfer, 1971). 그렇다면 이러한 과학 수업에 대해 교사는 어떠한 인식을 갖고 있을까? Appleton(2006)은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초등교사들은 과학 수업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하며 그 결과 과학을 가르치려 하지 않거나 잘 되는 과학 활동만을 선택하여 수업을 하기도 한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ppleton, K. (2006). Scienc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K. Appleton (Ed.), Elementary science teacher education: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contemporary issues and practice. Mahwah, NJ: Association for Science Teachers and Laurence Erlbaum. 

  2. Bae, J. H., & Ok, S. K. (2009). The Effects of Elementary Science Lessons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s on the Metacognition, Learning Motive and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8(4), 519-527. 

  3. Brophy, J. E. (1999). Perspectives of classroom management: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In H. Freiberg (Ed.), Beyond behaviorism: changing the classroom management paradigm, 43-56. Boston: Allyn and Bacon. 

  4. Chan, M. T. (2002). The teaching of science process skills: primary teachers' self-perception. Department of Science the Hong Kong institute of Education, 5. 91-111. 

  5. Cho, H. J., Yang, I. H., Jeong, J. H., Shin, A. K., & Sohn, J. J. (2008). Analysi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Views about Lab-based Science learning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7(2), 117-133. 

  6. Colaizzi, P. E.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 it existential phenomen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7. Creswell, J. W. (2007).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2nd ed.) Thousand Oaks, CA: Sage. 

  8. Cuban, L. (1998). How schools chang reforms: redefining reform success and failure. Teachers College Record, 99(3), 453-477. 

  9. Gagne', M., & Deci, E. L. (2005).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work motivation.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6, 331-362. 

  10. Gilbert, J. K. (2006). On the nature of 'context' in chemical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 957-976. 

  11. Gim, C. C., & Byeon, H. J. (2005). A Critical Analysis of the Meaning of 'Good Instru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 & Marine Sciences Education, 17(3), 373-82. 

  12. Giorgi, A. (1985). Sketch of a psychological phenomenological method. In A Giorgi (ed)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ittsburgh, PA: Duquesne University Press. 

  13. Gowin, D. B. (1981). Educating. Ithaca, 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14. Harwood, W.S. (2002). Mercury Breaks the Law! The Hoosier Science Teacher, 27(2), 50-54. 

  15. Ha, S. W., Kim, S. J., & Park, J. W. (2008). A Study on the Effect of Educational Activities at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on the Student's Science-related Career Choice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18(3), 497-518. 

  16. Hofstein, A. and Lunetta, V. N. (1982). The role of the laboratory in science teaching: neglected aspects of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2, 201-217. 

  17. Huberman, A. M., & Miles,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8. Kang, H. K., & Choi, S. Y.(2004).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Teacher of Science Gifted Students. Science Eduction Center Inch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6, 137-160. 

  19. Kim, J. B. (2006). Learning strategies for scientifically gifted childre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5(2), 19-32. 

  20. Klopfer, L. E. (1971). Evaluation of learning in science. In Bloom, B. S., Hastings J. T., & Madsus, G. F. (Eds.), Handbook on formative and summative evaluation of student learning. New York: McGraw-Hill. 

  21. Kumpulainen, K. & Wray, D. (2002.) Classroom Interaction and Social Learning London: Routledge Falmer. 

  22. Kwak, Y. S., & Kang, H. S (2005). Teacher assessment, Instruction assessment. Seoul: Wonmi Press. 

  23. Kwak, Y. S., & Kim J. H.(2003). Qualitative research on common features of best practices in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classroo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3(2), 144-154. 

  24. Kwon, Y., & Lawson, A. E. (2000). Effect on development of proportional reasoning skill of physical experience and cognitive abilities associated with prefrontal lobe activit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10), 1171-1182. 

  25. Lee, M. S. (2002). Depth interview study.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8(1), 215-241. 

  26. Lim, J. K., & Yang, I. H. (2008). A study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cess of elementary teacher.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7(2), 93-101. 

  27. Lincoln, Y. S., & Guba, E. A.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28. Maker, C. J., & Neilsen, A. B. (1995). Teaching models in education of the gifted (2nd ed.) Austin, TX: PRO-EDUCATION. 

  29. Miedijensky, S., & Tali, T. (2009). Embedded assessment in project-based science courses for the gifted: insights to inform teaching al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25. 

  30. Meyer, J.D., & Barufaldi, J. P. (2003). The role of sustaine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science teacher renewal and retentio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Philadelphia, PA. 

  31. Oh, P. S. (2011). Unfillable Cups: Meanings of science classes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1(2), 271-294. 

  32. Osborne, J., & Collins, S. (2001). Students' views of the role and value of the science curriculum: a focus-group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 441-467. 

  33. Park, J. S., & Kim, J. Y. (2011). Perception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on the classes for the gifted in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1(4), 609-620. 

  34. Patton, M. Q. (1980).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s, Beverly Hills, CA: Sage. 

  35. Pfeiffer, S. I., & Blei, S. (2008). Gifted identification beyond the IQ test: Rating scales and other assessment procedures. In S. I. Pfeiffer, Handbook of giftedness in children (pp. 177-198). NY: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LLC. 

  36. Resnick, M., Berg, R., & Eisenberg, M. (2000). Beyond black boxes: Bringing transparency and aesthetics back to scientific investigation.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9 (1), 7-30. 

  37. Seidman, I. (1998).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NY: Teachers College Press. 

  38. Seo, H. A., & Lee, S. K. (2004). Analysis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for the gifted at elementary school level.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3(3), 219-227. 

  39. Stake, R., & Easley, J. (1978). Case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Urbana, IL: Center for Instructional Research and Evaluation. 

  40. Subotnik, R., Kassan, L., Summers, E., & Wasser, A. (1993). Genius revisited: High IQ children grown up. Norwood, NJ: Ablex Publishing Corp. 

  41. Van Tassel-Baska, J. (2003). What matters in curriculum for gifted learners: Reflections 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3rd ed., pp. 174 -183). Boston: Allyn & Bacon. 

  42. Yin, R. K. (2003).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43. Yu, H. W., Cha, H. J., Kim, M. S., Ham, D. C., Kim, H. B., Yoo, J. H., Park, H. J., Kim, C. J., & Choe, S. U. (2012). Relation between the personal and social factors and the interacting role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 social co-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 clas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2(2), 265-29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