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멘토링을 통한 코티칭 과학영재수업에 대한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반성의 특징
The Characteristics of Beginning Science-Gifted Education Teachers' Reflection on Their Science Teaching with Coteaching through Mentoring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3 no.6, 2013년, pp.1170 - 1185  

노태희 (서울대학교) ,  양찬호 (서울대학교) ,  강훈식 (춘천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사례연구를 통해 멘토링을 통한 코티칭 과학영재수업에 대한 중등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반성의 특징을 생산적 관점에서 조사했다. 중등 과학영재교육 경력이 1년 미만인 초임 교사 2인을 선정하여 총 4회에 걸친 12차시의 과학영재수업을 공동으로 계획, 진행, 평가하도록 했으며, 2~4차 수업에서는 수업 전, 중, 후에 멘토링을 실시했다. 두 교사의 모든 코티칭 과학영재수업과 멘토링 과정을 참관했고, 두 교사의 반성일지를 생산적 반성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연구 결과, 수업 차수에 관계없이 두 교사 모두 다른 측면보다 '과학영재 교수전략 및 지도'와 '과학영재학생' 측면에서의 반성을 비교적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측면보다 적긴 했지만 '과학영재교육과정' 측면에 대한 반성도 적지 않았다. '과학내용지식'과 '과학영재교육 평가' 측면에 대한 반성은 드물었다. 통합 수준에 대한 결과에서는, 두 교사 모두 수업의 5가지 측면 중 2~4가지 측면이 다양한 형태로 통합된 반성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가지 측면 간의 통합보다 3~4가지 측면 간의 통합이 더 많았다. 또한, '과학영재학생' 또는 '과학영재 교수전략 및 지도' 측면이 다른 측면과 통합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결과는 멘토링을 통한 코티칭이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과학 수업에 대한 생산적 반성을 촉진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case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secondary beginning science-gifted education teachers' reflection on their science teaching with coteaching through mentoring. We selected two beginning teachers with less than one year teaching careers in secondary science-gifted educatio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코티칭이란 무엇이며 어떤 특징이 있는가? 이러한 맥락에서 최근에는 일부 연구자들이 교사들의 수업 반성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으로써 코티칭(coteaching)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코티칭은 두 명 이상의 교사가 수업을 공동으로 계획하고 진행하며 평가하는 전 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교사에게 수업에 대한 자기주도적 또는 상호협력적 반성의 장을 제공한다(한재영 등, 2008; Roth & Tobin, 2005). 즉, 수업 전반에 걸쳐 교사들이 수업에 대해 논의하거나 서로의 교수 행위를 관찰하고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수업을 보다 의미 있게 반성함으로써 수업을 개선할 수 있다(노태희 등, 2012; 정금순, 강훈식, 2011; 한재영 등, 2008; Roth & Tobin, 2005; Roth et al., 2004).
교사의 반성적 사고 촉진 전략의 전제 조건은 무엇인가? 이 연구들에 의하면, 교사의 반성적 사고 촉진 전략의 전제 조건은 실제 수업의 맥락에서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자기주도적인 반성의 장과 학습 공동체를 통한 상호협력이다(김순희, 2009, 박승렬 등, 2008). 실제로, 그동안 제안된 반성적 저널 쓰기, 수업 장학, 수업 컨설팅, 실행연구, 수업 비평 등은 암묵적 또는 명시적으로 그 전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도입된 전략들이라 할 수 있다.
1980년대 이후 교사교육에서는 반성적 실천가로서의 교사 양성이 주요 목표로 강조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수업 개선을 위해서는 교사가 반성적 사고를 통해 스스로 자신의 교수 행위를 진단하고 개선하는 과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Korthagen, 1999; Scho˙˙n,1983). 즉, 반성적 사고는 교수 경험으로부터 실천적 지식을 획득하는 중요한 방법이 될 수 있으므로, 교사는 교수 행위에 대한 지속적인 반성 과정을 통해 자신의 수업 전문성을 발달시킬 수 있다. 이에 1980년대 이후 교사교육에서는 반성적 실천가로서의 교사 양성이 주요 목표로 강조되고 있다(서경혜, 2005; 정윤경, 2007; Zeichner, 198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고문숙, 남정희 (2013). 협력적 멘토링을 통한 초임 중등 과학교사의 교수실행에서 나타나는 반성적 실천의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1), 94-113. 

  2. 곽덕주, 진석언, 조덕주 (2007). 우리나라 예비 교사들의 실천적 경험에 대한 반성의 특징. 교육학연구, 45(4), 195-223. 

  3. 곽영순 (2011). 초임 과학교사 지원을 위한 멘토링의 효율성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1), 1-13. 

  4. 김선경, 백성혜 (2011). 중학교 과학영재 담당교사의 수업전략 특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295-313. 

  5. 김순희 (2009). 교사의 반성적 수업 실천을 위한 방안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101-121. 

  6. 김영순, 김효남, 신애경 (2011). 반성적 사고를 강조한 수업장학이 초등교사의 과학수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8), 1092-1109. 

  7. 남미애 (2010). 초등과학 영재교육 학습평가 기준 및 도구 개발.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노태희, 김영훈, 양찬호, 강훈식 (2011). 과학영재교육에서 초임 교사들의 PCK 측면에서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8), 1214-1228. 

  9. 노태희, 양찬호, 김영훈, 강훈식 (2012). 코티칭을 통한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수업 전문성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4), 655-670. 

  10. 박미화, 이진석, 이경호, 송진웅 (2007). 과학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의 개념적 정의와 유형: 예비 과학교사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1), 70-83. 

  11. 박승렬, 한상훈, 이명자 (2008). 수업반성 연구 경향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8(2), 403-422. 

  12. 박지은, 이봉우 (2012). 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영재교육 전문성에 대한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16(2), 587-601. 

  13. 서경혜 (2005). 반성과 실천: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대한 소고. 교육과정연구, 23(2), 285-310. 

  14. 서혜애, 박경희, 박지은 (2007). 과학영재교육 교사 교수 방법 전문지식의 수준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1(1), 1-14. 

  15. 양기창, 윤혜경 (2012). 수업 반성 저널을 통해 살펴 본 초등 교사의 과학 수업 반성의 특징. 초등과학교육, 31(3), 372-385. 

  16. 양찬호, 강훈식 (2013). 중등 초임 과학영재교육 담당교사의 코티칭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학 수업 반성의 특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2), 373-389. 

  17. 윤혜경 (2012). 생산적 반성의 관점에서 분석한 초등 예비 교사의 과학 수업 반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4), 703-716. 

  18. 윤혜경 (2013). 과학 모의 수업에 대한 반성 저널 쓰기와 토론을 통한 초등 예비교사의 생산적 반성 증진. 초등과학교육, 32(2), 113-126. 

  19. 이봉우, 손정우, 최원호, 이인호, 전영석, 최정훈 (2008). 과학영재교육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7(3), 252-260. 

  20. 정금순, 강훈식 (2011). 초등 과학영재수업에서 코티칭의 활용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239-255. 

  21. 정윤경 (2007). 반성적 교사교육에서'반성'의 의미. 교육의 이론과 실천, 12(2), 165-188. 

  22. 조덕주 (2009). 반성적 사고 중심 예비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411-436. 

  23. 최종림, 이선경, 김찬종, 유은정, 김제홍, 오현석 (2009). 반성적 실천을 통한 과학교사의 교수실행변화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8), 793-811. 

  24. 한재영, 윤지현, 노태희 (2008). 예비 교사 교육 방안으로서 코티칭의 유용성. 한국교원교육연구, 25(1), 117-136. 

  25. Davis, E. A. (2006). Characterizing productive reflection amo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eeing what matt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2(3), 281-301. 

  26. Hatton, N., & Smith, D. (1995). Reflection in teacher education: Towards definition and implementa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1(1), 33-49. 

  27. Hudson, P. (2004). Toward identifying pedagogical knowledge for mentoring in primary science teaching.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3(2), 215-225. 

  28. Koch, J., & Appleton, K. (2007). The effect of a mentoring model for elementary science professional development.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8(2), 209-231. 

  29. Korthagen, Fred A. J. (1999). Linking reflection and technical competence: The logbook as an instrument in teacher education. Europ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2(2-3), 191-207. 

  30. Luttenberg, J., & Bergen, T. (2008). Teacher reflection: The development of a typology. Teacher and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14(5-6), 543-566. 

  31. Nichols, S. E., Tippins, D., & Wieseman, K. (1997). A "toolkit" for developing critically reflective science teacher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7(2), 175-194. 

  32. Roth, W. -M., & Tobin, K. (2005). Coteaching: From praxis to theory. In W. -M. Roth, & K. Tobin (Eds.), Teaching together, learning together (pp. 5-26). New York: Peter Lang. 

  33. Roth W. -M., Tobin, K., Carambo, C., & Dalland, C. (2004). Coteaching: Creating resources for learning and learning to teach chemistry in urban high school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9), 882-904. 

  34. Schon, D. A. (1983). Reflective practitioner: How professionals think in action. New York: Basic Books. 

  35. Zeichner, K. M. (1983). Alternative paradigms of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4(3), 3-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