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 분야 창의적 산물 발현과정 연구: 과학자의 주관적 경험이 객관적 지식으로 발현하는 자기조직화 과정의 사례 분석
Research of Emerging Process on Scientific Creative Products: Case Study of Self-Organization Process on Emerging of objective knowledge from Subjective Experience of Scientist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4 no.1, 2014년, pp.113 - 147  

강정하 (KAIST GIFTED) ,  조선희 (KAIST GIFTED) ,  김미진 (KAIST GIFTED)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세계 과학 기술 분야를 이끌어 가는 창의적 산물의 생성과정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과학 분야 창의적 산물이 발현되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있으며, 이를 통해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과학인재를 발굴, 양성하는 과학영재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과학 기술 분야에서 과학자의 주관적 경험이 새로운 객관적 지식으로 창출되는 지적 성장과정, 그리고 과정별로 주요하게 작용하는 요소 및 변인들을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창의적 산물 생성 과정 연구는 지식의 진화론, 지식의 생명체설, 그리고 자기조직화 등의 학문적 배경에 토대를 두고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세계 과학 기술 분야(12개 영역으로 구분)에 크게 기여한 창의적 산물과 이를 창출한 한국인 과학자 12인에 대한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 결과, 과학 기술 분야 창의적 산물은 네 단계-(1) 지식토대단계, (2) 지식 탐색단계, (3) 지식구성단계, (4) 지식발현단계-를 거쳐 발현되며, 각 단계는 상부 시스템, 하부시스템, 그리고 하위변인들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the process of emerging for creative products to lead world science and technology. The aim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emerging process of scientific creative products, and is to provide the direction of gifted education that discovers and trains globally compet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K. Popper에 따르면 과학 분야 창의적 산물이란 무엇인가? K. Popper에 따르면, 과학 분야 창의적 산물은 인간이 세상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기울이는 지적 노력의 결과로, 개인의 축적된 경험이 성장, 검증된 새로운 지식이다. 이는 개인이 세상에 대한 궁금증이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생존을 위해, 또는 더 나은 삶을 구현하기 위해 창출하는 새로운 해법이다(강정하, 2007.
21세기 인재상의 핵심요소가 되고 있는것은 무엇인가? 이 창의적 산물이 발현하는 과정은 한편으로는 수년에 걸친 개인의 고된 역경과 회의, 그리고 혼돈의 과정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뜻밖의 질서가 드러내는 신비에 대한 경험을 통해 개인이 자아 성장하는 과정이다(Csikszentmihalyi, 1996: 4). 심각한 지구문제와 무한경쟁시대에 살고 있는 현대인에게 창의적 산물은 삶의 핵심적 가치로 받아들여지고 있고, 그것을 창출하는 개인의 역량은 21세기 인재상의 핵심요소가 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세계 도처에서 창의적 산물 창출 역량이 뛰어난 인재를 발굴, 육성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식진화시스템 모델은 무엇인가? 이에 강정하(2007)는 Csikszentmihalyi(1996)의 창의성의 시스템 모델과 Gruber(1981)의 진화시스템 모델이 지니는 결함을 수정, 보완하여 지식진화시스템 모델(KES)을 제안하였다. 이는 지식 진화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개인요소의 지적 조작, 에너지, 방향, 실재요소의 경험, 과제, 산물, 그리고, 사회요소의 지지, 인정, 선택 등 창의성 발현에 관여하는 주체, 객체, 매개체 모두를 아우르는 총괄 모델이다. 그리고 개인과 그를 둘러싸고 있는 주변 환경이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일생 동안 발달, 변화하는 기제와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강정하 (2007). 과학적 창의성과 예술적 창의성: 지식의 성장으로서의 창의성에 대한 사례 연구 및 과학적 창의성의 타당화.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2. 강정하, 최인수 (2008). 과학적 창의성: 지식의 성장으로서의 창의성에 대한 사례 연구. 교육심리연구, 22(3), 537-562. 

  3. 강정하, 최인수 (2009). 과학적 창의성의 발달: 창의적 한국인 사례에 대한 전기적 연구. 영재교육연구, 19(3), 529-563. 

  4. 최무영 (2008). 최무영 교수의 물리학 강의. 서울: 책갈피. 

  5. Campbell, D. T. (1960). Blind variation and selective retention in creative thought as in other knowledge processes. Psychological Review, 67(6), 380-400. 

  6. Csikszentmihalyi, M. (1996). Creativity. New York: Harper. 

  7. Cahan, E. D. (2004). 제5장 존 듀이의 인간발달. R. D. Parke, P. A. Ornstein, J. J. Rieser, & C. Zahn-Waxler (엮음), 발달심리학 거장들의 핵심이론 연구 (pp. 181-207). [이민희, 정태연, 역]. 서울: 학지사. (원본출간년도: 1994). 

  8. Darwin, C. (2006). 다윈의 비글호 항해기. [장순근 역]. 서울: 가람기획. (원본출간년도: 1962). 

  9. Davidson, J. E.(1995). Ch4. The suddenness of insight. In J. E. Davidson & R. J. Sternberg, The nature of insight (pp.125-155). Cambridge, MA: The MIT Press. 

  10. Davis, G. A. (2004). Creativity is forever (5th). Dubuque, Iowa: Kendall/Hunt Publishing Company. 

  11. Denzin, N. K. (1989). Intertretive Biograhpy. Newbury Park, CA: Sage. 

  12. Gruber, H. E. (1981). Darwin on man: A psychological study of scientific creativity (2n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3. Gruber, H., & Davis, S. (1988). Inching our way up Mount Olympus: The evolving-systems approach to creative thinking. In R. J. Sternberg (Ed.),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pp. 243-270).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Gruber, H. (2005). Creativity, psychology and the history of science. In H. Gruber, & K. Bodeker (Eds.). Springer: The Netherlands. 

  15. Hatch, J. A. (2008). 교육상황에서 질적연구 수행하기. [진영은 역]. 서울: 학지사. (원본출간년도: 2002). 

  16. Miller, A. (2001). Einstein.Picasso. New York, NY: Basic Books. 

  17. Nicolis, G., & Prigogine, I. (1989). Exploring complexity. New York, NY: Freeman and Company. 

  18. Popper, K. (2006). 삶은 문제해결의 연속이다. [허형은 역]. 서울: 부글북스. (원본출간년도: 1994). 

  19. Reed, H. (1991). 예술이란 무엇인가. [윤일주 역]. 서울: 을유문화사. 

  20. Prigogine, I. (1997). 확실성의 종말. [이덕환 역]. 서울: 사이언스북스. (원본출간년도: 1996). 

  21.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5). An Investment perspective on creative insight. In J. E. Davidson, & R. J. Sternberg, The nature of insight (pp. 535-558). Cambridge, MA: The MIT Press. 

  22. Tashakkori, A., & Teddlie, C. (2001). 통합연구방법론. [염시창 역]. 서울: 학지사. (원본출간년도: 1998). 

  23. Wallas, G. (1926). The art of thought. New York: Harcourt Brace. 

  24. Weisberg, R. W. (1993). Creativity: Beyond the Myth of Genius. New York, NY: Freeman and Company. 

  25. Wertheimer, M. (1959). Productive thinking (2nd). New York: Harper & Brothers Publsher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