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16 no.4, 2014년, pp.189 - 203
In this study, Creative motifs using face composition of Jogakbo and Knot Symbol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traditional Baeja of Joseon Dynasty to develop design contents of traditional clothes. As for study method, 7 motifs of new formative image that integrates traditional beauty and contempo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배자의 양식엔 무엇이 있는가? | 배자(背子)는 고구려 고분 벽화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삼국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형태 및 용도가 다양하게 변화하며 이어져 내려온 역사가 매우 오래된 옷이다(이경자 외, 2003). 이러한 배자의 양식에는 무수대금(無袖對襟)의 단상의(短上衣) 배자(背子)와 대수장의(大袖長衣) 인 배자(褙子)가 있는데 배자(褙子)는 통일신라의 배당(褙當)을 이은 조선시대의 궁중복이며(강두이, 1992) 배자(背子)는 예복용이 아닌 일상용으로써 소매가 없는 일종의 등거리 같은 형식으로 저고리 위에 덧입는 옷이며 왕부터 서민 남녀까지 보편적으로 착용한 복식이다(이경자외 2003). 일반적으로 저고리 위에 덧입는 조끼 모양의 옷으로서 소매와 섶, 고름이 없으며, 깃은 좌우 모양이 같고 맞닿는다. | |
조각보자기는 어떻게 등장하였는가? | 조각보자기는 서민층에서 사용한 민보로서 보자기 중에서 폐품 활용 차원에서 평민 여성들이 절약하는 생활의 지혜에서 탄생하게 된 생활용품으로 쓰고 남은 천들을 버리기 아까워 모아 두었다가 이것을 활용하는 차원에서 이어 붙여서 생활에 필요한 보자기로 만들어 쓰게 됨으로써 등장하기 시작하였다(김혜란, 2007). 천이 귀하던 당시에 남은 천을 활용해 보려는 우리 조상들의 절약정신에서 나온 것이라 할 수 있다. | |
전통의상 배자는 왜 세계화 의상으로 기대되는가? | 전통의상 배자는 현대의 조끼와 비슷한 형태이나 정형화되지 않고 다양하며 남(男), 녀(女), 노(老), 소(少) 모두 착용 가능한 옷이다. 또한 청바지, 블라우스 등 현대의상과 매치가 잘 되는 옷으로서 전통적인 이미지와 현대적 이미지가 함께 느껴지는 글로벌 문화시대 보편성과 한국적 이미지를 동시에 만족시켜 줄 수 있는 세계화 의상으로 기대되는 아이템이라 할 것이다. 이은형과 조효숙(2009)은 배자를 전통 복식 중 서구화된 일상생활에서 보다 자유롭게 착장할수 있는 복식으로서 과거 속에서의 존재로 그치지 않고 현재의 새로운 패션 요소로서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디자인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있는 복식 중의 하나라고 언급하고 있다. |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