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증 외상 환자에서의 응급중재술 시행 예측 인자로서의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의 유용성
Usefulness of End-tidal Carbon Dioxide as a Predictor of Emergency Intervention in Major Trauma 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JTI, v.27 no.4, 2014년, pp.133 - 138  

김성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  김승환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재난의료교육센터) ,  이재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정성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  김승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f the survival of patients suffering from severe blunt trauma is to be improved, appropriate interventions should be taken immediat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al utility of end-tidal carbon dioxide ($ETCO_2$) as a surrogate marker for predicting bo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관내 삽관을 할 경우 인공적인 환기에 의해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 측정 값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본원 응급진료센터에서는 저산소증의 증거가 없으면 삽관 전 인공 환기를 최소한으로 하는 신속기관 삽관(rapid sequence intubation) 방법에 의해 기관내 삽관을 시행하기 때문에 이에 의한 영향은 적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측정이 이루어지기 전에 병원 전 단계 등에서 인공 환기가 이루어진 경우는 제외하여 측정값에 환기가 미치는 영향을 배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전향적 관찰 연구로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환자에게서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을 측정하고 수집 항목들을 증례기록지에 기록하였다.
  • Caputo 등(7)은 비관을 통해 측정한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이 중증 외상 환자에서 수술이 필요할 가능성과 연관이 있음을 연구하였으나, 창상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혈관조영술은 연구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응급실에서의 둔상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연구하였으며, 수술뿐 아니라 혈관 조영술을 포함한 중재술의 실시 여부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 이에 저자들은 응급진료센터로 내원한 중증 외상 환자로 의심되는 환자들의 내원 초기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을 측정하여 중재술의 필요 여부 및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가 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증 외상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 인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중증 외상 환자에 있어서 예후를 예측하는 인자에 대한 연구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져 왔다. 젖산, 염기결핍, pH 등이 연구되었으나(2,3) 이런 검사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동맥혈 채혈이 필요하고 검사 결과를 얻기 까지 시간이 걸린다.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은 비침습적이고 즉각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어, 이를 중증 외상 환자의 예후 인자로 사용한 연구들이 있었으나(4-7) 수술 중 측정한 결과를 이용하거나, 중환자실 환자 또는 창상 환자들만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로 제한점이 있었다.
의학적 중재를 위한 준비가 미리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중증 외상환자의 생존을 위해서는‘황금 시간대’라고 불리는 빠른 시간 내에 수술이나 혈관 조영술에 의한 색전술을 포함한 적절한 의학적 중재가 이루어 져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1) 그러나 이러한 의학적 중재들은 많은 인력과 장비들이 필요로 하며 외상 환자를 위해 24시간 항상 대기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중증 외상 환자가 병원에 도착했을 때 이러한 중재들을 위한 준비가 미리 이루어져야 한다.
황금 시간대안에 이루어져야 할 처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중증 외상환자의 생존을 위해서는‘황금 시간대’라고 불리는 빠른 시간 내에 수술이나 혈관 조영술에 의한 색전술을 포함한 적절한 의학적 중재가 이루어 져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1) 그러나 이러한 의학적 중재들은 많은 인력과 장비들이 필요로 하며 외상 환자를 위해 24시간 항상 대기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중증 외상 환자가 병원에 도착했을 때 이러한 중재들을 위한 준비가 미리 이루어져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MacKenzie EJ, Rivara FP, Jurkovich GJ, Nathens AB, Frey KP, Egleston BL, et al. A national evaluation of the effect of trauma-center care on mortality. N Engl J Med 2006; 354: 366-78. 

  2. Kaplan LJ, Kellum JA. Initial pH, base deficit, lactate, anion gap, strong ion difference, and strong ion gap predict outcome from major vascular injury. Crit Care Med 2004; 32: 1120-4. 

  3. Kroezen F, Bijlsma TS, Liem MS, Meeuwis JD, Leenen LP. Base deficit-based predictive modeling of outcome in trauma patients admitted to intensive care units in Dutch trauma centers. J Trauma 2007; 63: 908-13. 

  4. Tyburski JG, Carlin AM, Harvey EH, Steffes C, Wilson RF. End-tidal CO2-arterial CO2 differences: a useful intraoperative mortality marker in trauma surgery. J Trauma 2003; 55: 892-6; discussion 6-7. 

  5. Tyburski JG, Collinge JD, Wilson RF, Carlin AM, Albaran RG, Steffes CP. End-tidal CO2-derived values during emergency trauma surgery correlated with outcome: a prospective study. J Trauma 2002; 53: 738-43. 

  6. Wilson RF, Tyburski JG, Kubinec SM, Warsow KM, Larky HC, Wilson SR, et al. Intraoperative end-tidal carbon dioxide levels and derived calculations correlated with outcome in trauma patients. J Trauma 1996; 41: 606-11. 

  7. Caputo ND, Fraser RM, Paliga A, Matarlo J, Kanter M, Hosford K, et al. Nasal cannula end-tidal CO2 correlates with serum lactate levels and odds of operative intervention in penetrating trauma patients: a prospective cohort study. J Trauma Acute Care Surg 2012; 73: 1202-7. 

  8. Shim H, Jang JY, Lee JG, Kim S, Kim MJ, Park YS, et al. Application of Critical Pathway in Trauma Patients. J Trauma Inj 2012; 25: 159-65. 

  9. Hanley JA, McNeil BJ. A method of comparing the areas under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derived from the same cases. Radiology 1983; 148: 839-43. 

  10. Obuchowski NA, McClish DK. Sample size determination for diagnostic accuracy studies involving binormal ROC curve indices. Stat Med 1997; 16: 1529-42. 

  11. Dubin A, Murias G, Estenssoro E, Canales H, Sottile P, Badie J, et al. End-tidal CO2 pressure determinants during hemorrhagic shock. Intensive Care Med 2000; 26: 1619-23. 

  12. Madati PJ, Bachur R. Development of an emergency department triage tool to predict acidosis among children with gastroenteritis. Pediatr Emerg Care 2008; 24: 822-30. 

  13. Fearon DM, Steele DW. End-tidal carbon dioxide predicts the presence and severity of acidosis in children with diabetes. Academic Emergency Medicine 2002; 9: 1373-8. 

  14. Christopher LH, Salvatore S, Matthew D, Jay LF, Linda P. End-tidal carbon dioxide is associated with mortality and lactate in patients with suspected sepsis. The Americ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2013; 31: 6471. 

  15. Deakin CD, Sado DM, Coats TJ, Davies G. Prehospital End- Tidal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Outcome in Major Trauma. The Journal of Trauma: Injury, Infection, and Critical Care 2004; 57: 65-8. 

  16. Baker SP, O'Neill B, Haddon W, Long WB. The injury severity score: a method for describing patients with multiple injuries and evaluating emergency care. The Journal of trauma 1974; 14: 187-96. 

  17. Champion HR, Sacco WJ, Copes WS, Gann DS, Gennarelli TA, Flanagan ME. A revision of the Trauma Score. The Journal of trauma 1989; 29: 623-9. 

  18. Hasler RM, Nuesch E, Juni P, Bouamra O, Exadaktylos AK, Lecky F. Systolic blood pressure below 110 mmHg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mortality in penetrating major trauma patients: Multicentre cohort study. Resuscitation 2012; 83: 476-81. 

  19. Frank K, Taco SB, Mike SLL, Meeuwis JD, Luke PHL. Base Deficit-Based Predictive Modeling of Outcome in Trauma Patients Admitted to Intensive Care Units in Dutch Trauma Centers. The Journal of Trauma: Injury, Infection, and Critical Care 2007; 63: 908-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