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능동소음제어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소음관리모델 개발 - 도심지 공사현장을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of Noise Management Model using Active Noise Control Technique on Construction Site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5 no.2, 2014년, pp.12 - 22  

권나현 (서울대학교 건축공학과) ,  박문서 (서울대학교 건축공학과) ,  이현수 (서울대학교 건축공학과) ,  안요섭 (서울대학교 건축공학과) ,  김선우 ((주)파이브지티)

초록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겪고 있고, 그로 인하여 민원과 분쟁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민원은 사업의 지연 및 중단, 배상액 지불과 같은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므로 엄격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추세에 따라 정부는 기존 방음벽 중심의 소음정책에서 탈피하여 발생원 중심으로 소음을 관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건설소음은 일시적이고, 불규칙적으로 발생하며, 건설장비 자체의 소음레벨이 높기 때문에 쉽게 제어되기 어렵다. 또한 최근 선진국을 중심으로 사람들에게 쉽게 인지되지는 않지만, 고주파 소음과 마찬가지로 인체에 정신적, 신체적 피해를 주는 저주파 소음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수동적인 소음관리방식으로는 고주파 소음을 저감하는데 효과가 있을 뿐, 저주파 소음을 저감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고, 기존의 수동적인 소음관리방식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능동소음제어를 이용하여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관리모델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시뮬레이션 실험을 수행하였고, 능동소음제어의 건설현장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본 논문은 능동소음제어를 통하여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고, 소음피해로 인한 민원과 분쟁을 최소화하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many people have been damaged seriously by construction noise. Accordingly, there have been increased the complaints and disputes. These complaints should be controlled strictly. Otherwise there could be delays or stops of project and losses of time and money. For this reasons, the Korea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고, 기존의 수동적인 소음관리방식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능동소음제어 관리모델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그러나 기존의 소음관리 방식으로 현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능동소음제어를 건설현장에 도입하여 기존의 수동적인 소음관리방식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능동소음제어 관리모델을 제안하였다.
  • 능동소음제어의 건설현장 적용타당성을 검토하고, 구체적으로 어떤 장비와 공종에 능동소음제어와 관리모델이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 분석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하여 능동소음제어의 적용성을 검토하였고, 능동소음제어 시뮬레이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소음이 확산되는 것을 막고, 능동소음제어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소음이 발생한 위치에 최대한 근접한 지점에서 단일채널방식으로 능동소음제어를 적용한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설소음이 제어되기 어려운 이유는? 이와 같은 추세에 따라 정부는 기존 방음벽 중심의 소음정책에서 탈피하여 발생원 중심으로 소음을 관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건설소음은 일시적이고, 불규칙적으로 발생하며, 건설장비 자체의 소음레벨이 높기 때문에 쉽게 제어되기 어렵다. 또한 최근 선진국을 중심으로 사람들에게 쉽게 인지되지는 않지만, 고주파 소음과 마찬가지로 인체에 정신적, 신체적 피해를 주는 저주파 소음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10년간 소음·진동이 전체 민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환경분쟁조정위원회(Environmental Dispute Committee, EDC)의 통계자료(2012)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소음·진동과 관련된 분쟁이 전체 민원의 86%를 차지하였고, 그 중에서도 건설공사에서 제기된 민원이 소음·진동 분쟁의 89.2%를 차지할 정도로 건설공사에서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한 피해는 심각한 수준이다.
수도권에서 민원의 발생이 많은 이유는? 민원의 발생비율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 민원의 49%정도가 집중되어 있다(EDC 2012). 이는 수도권을 비롯한 대도시를 중심으로 고층아파트 공사와 재건축, 리모델링과 같은 공사가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대도시의 주거밀집지역 에서 수행되는 공사의 경우, 인접빌딩과의 간격이 협소하기 때문에 방음벽을 설치하더라도 공사 중에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은 주변 지역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ek, K. H. (2004) "Optimal Transducer Positions of an Active Noise Control System with an Opening in an Enclos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14(2), pp. 164-171. 

  2. Choi, D. R., Yoon, Y. W., Kim, J. S., Yang, K. Y. (1996)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nstruction Machine Noise in Constructon Field"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6(2), pp. 331-333. 

  3. Cho, C. G., Kim, H. G. (1997) "Noise and Vibration Current Status and Issues On Construction Sit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7(4), pp. 561-565 

  4. Environmental Dispute Committee (EDC) "Status of Environmental Dispute Resolution" EDC Research Report, 2012-6 

  5. Expressway and Transportation Research Institute of Korea (ETRIK) (2006)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a Temporary Noise Barrier for Construction Noise" ETRIK Research Report, 2006-06. 

  6. Gilchrist, A., Allouche, E. N., Cowan, D. (2003) "Prediction and mitigation of construction noise in an urban environment" Canadian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30(4), pp. 659-672. 

  7. Guo, J., Pan, J. (2002) "Active control of a moving noise source-effect of off-axis source position" Journal of Sound and Vibration, 251(3), pp. 457-475. 

  8. Guo, J., Pan, J., Hodgson, M. (2007) "A Brief Review of Active Noise Control of Environmental Noise and Its Applications" 14th International Congress on Sound and Vibration, Cairns, Australia. 

  9. Kim, D. W. (2002) "A study on the catecholamine change in human urine due to low frequency noise exposure" PhD thesis, Dept. of Environment Eng, Yonsei Univ., Seoul, Korea. 

  10. Kim, H. S. (1994) "Current and Future Issues of Active Noise Contro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8(3), pp. 50-54. 

  11. Kim, J. S. (2009) "A Case study of Dispute Resolution on Construction Noise and Vibration Damages for National Environmental Dispute Resolution - Focused on the 1993-2007 Yea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 System, 16(5), pp. 486-493. 

  12. Kim, J. S., Han, M. H., Lee, B. Y., Park, J. Y., Yun, H. D., Kwak, K. S. (1998)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ttenuation and Propagation of Construction Work Noise in Construction Field"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3(6), pp. 406-416. 

  13. Kim, M. J. (2001) "A study on the Status of Construction Noise of Domestic Projects and Methods of Improvement" MS thesis, Hanyang Univ., Seoul, Korea. 

  14. Ko, K. I., Kim, I. H., Seo, S. W., Lee, C. S. (2004)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Friendly Noise and Vibration Management Method for the Construction Project"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5(6), pp. 110-117. 

  15. Koo, J., Kang, M. Y., Seo, Y. C. (2009) "Comparative Study on the Control Technologies of Fugitive Dusts and Noise of Construction Project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KICEM, 9(1), pp. 55-61. 

  16. Nam, H. D., Lee, H. W. (2004) "Optimal Position Selection of Microphones and Speakers in Adaptive Noise Control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18(1), pp. 90-97. 

  17. Oh, K. T., Ahn, J. M., Jeong, J. S., Jung, I. S., Lee, C. S. (2010) "Checklist of Design Phase for Reducing the Noise and Vibration occurring in Construction"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1(3), pp. 55-63. 

  18. Oh, J. K., Park, H. N., Sohn, J. R. (2009) "Development of the Noise Prediction Program to apply in Construction Sit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19(4), pp. 409-417. 

  19. Park, C, S. (2006) "A Study on Improvement of Domestic Noise Standards" MS thesis, Kwangwoon Univ., Seoul, Korea. 

  20. Ryu, K. W., Hong, C. S., Shin, C. J., Jeong, W. B. (2011) "Active Noise Control of a Closed Rectangular Cavity Using FXLMS Algorith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21(11), pp. 983-990. 

  21. Scott D, Snyder. (2000) "Active noise control primer" AIP Press. 

  22. Silentium Ltd. (2008) "ANC Tools" ANC Workshop. 

  23. Thalheimer, E. S. (2000) "Construction noise control program and mitigation strategy at the Central Artery/Tunnel Project" Noise Control Engineering Journal, 48(5). 

  24. Webb, J. F. (1976) "Noise control in industry" Sound Research laboratories Limited, Holbrook Hall Sudbury, Suffolk, U.K.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