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탄수화물 분해효소 처리에 의한 배 과피와 과심의 항산화 생리활성 증대효과
Effects of Complex Carbohydrase Treatment on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ear Peel and Cor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3, 2014년, pp.404 - 410  

이평화 (호서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박수연 (호서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장태훈 (호서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임순희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배시험장) ,  남승희 (전남농업기술원 식품연구소) ,  인만진 (청운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동청 (청운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채희정 (호서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배(Pyrus pyrifolia)의 과피와 과심에 복합효소처리 의해 물리화학적 특성 및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배의 과피와 과심에 4종의 복합효소를 처리할 경우 과피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이 증가하였고 과심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않았다. 과피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Pectinex로 처리하였을 때 가장 높은 증대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배의 과피와 과심에 Pectinex로 처리하였을 때 높은 환원당 추출 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총당 함량은 대부분의 효소처리군에서 증가하여 효소에 의해 탄수화물이 분해되어 당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배의 과피에 Viscozyme으로 처리할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SOD 유사활성이 가장 높은 증대효과를 보였다. 또한 과심에 Celluclast로 처리할 경우 총 폴리페놀 함량이 증가하였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Ultraflo 처리군을 제외한 나머지 효소처리군에서는 비슷한 양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과심에 4종의 복합효소처리 시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않았고 SOD 유사활성은 모두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배의 과피와 과심에 탄수화물 분해 복합효소를 처리함으로써 고형분, 환원당 및 항산화 물질의 추출률을 증가시키고 항산화 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treatment with various complex carbohydrases such as Pectinex, Celluclast, Viscozyme, and Ultraflo on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polyphenol extraction yiel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ear peel and pear core were investigated. When pear peel and pear core were treated with c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물성 생물자원에 효소를 처리하여 물리화학적 특성이나 가공특성을 개선한 연구 사례는 많이 보고되어 있으나 배의 가공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에 효소처리를 적용한 사례는 매우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배의 가공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배의 과피와 과심을 4종의 시판용 복합효소를 처리함으로써 항산화 생리활성의 증대 효과를 조사하여 식품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알아보았다.
  • ABTS radical 소거활성 평가는 potassium persulfate와 반응하여 생성된 ABTS radical이 항산화 물질에 의해 제거되어 radical 특유의 청록색이 탈색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항산화능을 확인하는 방법이다(9). 배 과피와 과심에 대한 탄수화물 분해용 복합효소처리가 ABTS radical 소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Fig.
  • 배(Pyrus pyrifolia)의 과피와 과심에 복합효소처리 의해 물리화학적 특성 및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배의 과피와 과심에 4종의 복합효소를 처리할 경우 과피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이 증가하였고 과심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않았다.
  • 를 무해한 물 분자와 산소 분자로 전환시켜 활성산소로부터 생체를 보호한다(38). 본 실험에서는 배의 과피와 과심에 대한 탄수화물 분해용 복합효소의 처리가 SOD 유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Fig.
  •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성 생리활성물질로 잘 알려진 총 폴리페놀 성분의 함량이 탄수화물 분해용 복합효소처리에 의해 증가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배는 무엇인가? 배(pear)는 배나무과속(Pyrus)에 속하는 낙엽고목 식물의 열매로 다른 과실에 비해 당도가 높고 무기성분이 많이 함유된 대표적인 알칼리성 식품이다(1). 배의 세포벽은 셀룰로오스(cellulose, 20~30%), 헤미셀룰로오스(hemicellulose, 25%), 펙틴(pectin, 5~10%) 등의 다당류, 당단백질 및 미량의 페놀계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2,3).
배를 이용한 가공음료의 형태는? 배는 주로 생과일 형태로 이용되고 있으며 배즙, 주스, 넥타, 술 등의 음료 형태로 가공되고 있다. 최근에는 동결건조법을 이용한 배 스낵제품의 개발(14), 배즙과 배 건조분말을 이용한 기능성 양갱의 개발(15),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을 이용한 배 발효물의 개발(16) 등으로 제품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효소처리 기술을 이용하는 산업 분야는? 효소는 주스가공, 곡물가공, 주류발효, 낙농, 제빵 등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식품가공 산업에서는 유효성분의 추출률 향상, 가공적성 향상(17), 미각 개선(18) 및 청징화(19) 등을 목적으로 효소처리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Hwang IG, Woo KS, Kim TM, Kim DJ, Yang MH, Jeong HS. 2006. Change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ear (Pyrus pyrifolia Nakai) juice with heat treatment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342-347. 

  2. Fisher RB, Bennett AB. 1991. Role of cell wall hydrolase in fruit ripening. Ann Rev Plant Physiol Plant Mol Bio 42: 675-703. 

  3. Challice JS, Williams AH. 1968. Phenolic compounds of the genus Pyrus-II: A chemotaxonomic survey. Phytochemistry 7: 1781-1801. 

  4. Kim JB. 2003. Story of our pear.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Suwon, Korea. p 18-22. 

  5. Zhang UB, Choi HJ, Han HS, Park JH, Son JH, Bae JH, Seong TS, An BJ, Kim HG, Choi C. 2003. Chemical structure of polyphenol isolated from Korea (Pyrus pyrifolia Nakai).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959-967. 

  6. Choi HJ, Park JH, Han HS, Son JH, Son GM, Bae JH, Choi C. 2004. Effect of polyphenol compound from Korean pear(Pyrus pyrifolia Nakai) on lipid metabol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299-304. 

  7. Choi HJ, Han HS, Park JH, Bae JH, Woo HS, An BJ, Bae MJ, Kim HG, Choi C. 2003. Effect of polyphenol compounds from Korean pear on immunofunctional activity. Korean J Food Culture 18: 303-310. 

  8. Ahn BJ, Lee JT, Gwag JH, Park JM, Lee JY, Shon JH, Bae JH, Chung C. 2004. Biological activity of polyphenol group fraction from Korean pear peel.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92-95. 

  9. An ES. 2012.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s from pear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peels and fleshes of pear.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p 68-93. 

  10. Jin YO, Song WS. 2012. Antioxidant activity of Pyrus serotina fruit in different cultivars and parts. Korean J Plant Res 25: 498-503. 

  11. Choi HS, Li X, Kim WS, Lee Y. 2010. Comparison of fruit quality and antioxidant compound of 'Niitaka' pear trees grown in the organically and conventionally managed systems. Korean J Environ Agric 29: 367-373. 

  12. Jin JY. 2012. Antioxidant and skin care activities relative to cultivar and growth time of Pyrus spp. MS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Muan, Korea. p 16-20. 

  13. Zhang YB, Bae MJ, An BJ, Choi JH, Kim S, Choi C. 2003. Effect of antioxidant activity and change in quality of chemical composition and polyphenol compound during long-time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15-120. 

  14. Kang BS, Whang HJ.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an Shingo pear freeze-dried pear snack. Korean J Food & Nutr 25: 324-329. 

  15. Park YO, Choi JH, Choi JJ, Yim SH, Lee HC, Yoo MJ. 2011.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with pear juice and dried pear powder added. Korean J Food Preserv 18: 692-699. 

  16. In MJ, Kim HM, Jin HJ, Kim DC, Oh NS, Chae HJ. 2010. Production of a fermented Korean pear puree using a new strain Leuconostoc mesenteroides KACC 91495P isolated from Kimchi. J Appl Biol Chem 53: 51-55. 

  17. Lee ES, Doo HJ, Kim YR, Shim JY. 2010.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cksulgi prepared with combined treatment of enzyme and trehalose. Food Eng Prog 14: 235-242. 

  18. Kim YD, Kim KJ. 2004. Optimum condition for removing bitter substance of Yuzu (Citrus junos) by enzyme treatment. Korean J Food Preserv 11: 53-56. 

  19. Sohn KS, Lee JH, Ha YS. 2002. Clarification of mixed fruit and vegetable juices using enzyme treatment. Food Eng Prog 6: 241-247. 

  20. Choi SJ, Kim S, Lee SC, Lee JM, Lee IS, Jung MY, Yang SM, Chae HJ. 2009.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of cell lytic enzyme-treated lotus leaf extract. KSBB J 24: 579-583. 

  21. Kim YC, Cho CW, Rhee YK, Yoo KM, Rho J.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ginseng extracts prepared by enzyme and heat treatm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482-1485. 

  22. Kwon SC, Choi GH, Hwang JH, Lee KH. 2010. Physicochemical property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s from enzyme hydrolysate of Astragalus membranace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406-413. 

  23. Kim JE, Joo SI, Seo JH, Lee SP. 2009. Antioxidant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tartary buckwheat extract obtained by the treatment of different solvents and enzy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989-995. 

  24. Chae HJ, Park DI, Lee SC, Oh CH, Oh NS, Kim DC, Won SI, In MJ. 2011. Improvement of antioxidative activity by enzyme treatment and lactic acid bacteria cultivation in blank garlic.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660-664. 

  25.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26. Dubois M, Gilles KA, Hamilton JK, Rebers PA, Smith F. 1956.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s and related substances. Anal Chem 28: 350-356. 

  27. Cho CH, Kim S, Yoo G, Son MH, Park K, Lim BL, Kim DC, Chae HJ. 2008. Resveratrol extraction from grape fruit stem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 11-16. 

  28. KFN. 2000. Handbook of experiment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nutrition part).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Hyoil, Seoul, Korea. p 285-286. 

  29. Heo JC, Park JY, An SM, Lee JM, Yun CY, Shin HM, Kwon TK, Lee SH. 2006. Anti-oxidant and anti-tumor activities of crude extracts by Gastrodia elata Blume. Korean J Food Preserv 13: 83-87. 

  30.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 Biol Med 26: 1231-1237. 

  31. Lee SB, Lee YK, Kim SD. 2006. Solubility,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chitosan-ascorba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973-978. 

  32. Kim H. 2008. The manufacturing of fermented tea by the treatment of enzyme and Lactobacillus. MS Thesis.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Siheung, Korea. p 36-37. 

  33. Kim EJ, Chol JY, Yu M, Kim MY, Lee S, Lee BH. 2012.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337-342. 

  34. Park HJ. 2007. A study on the survey of consumer preference and their satisfaction for the functional food made from pear. MS Thesis. Dongshin University, Naju, Korea. p 9-10. 

  35. Youn SJ, Lee ET, Cho JG, Kim DJ. 2010. Effect of enzyme treatment on functional properties of nectarine beve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379-1383. 

  36. Labuza TP, Dugan Jr LR. 1971. Kinetic of lipid oxidation in foods. CRC Crit Rev Food Technol 2: 355-405. 

  37. Lee CH, Shin SL, Kim NR, Hwang JK. 2011. Comparison of antioxidant effects of different Korean pear species. Korean J Plant Res 24: 253-259. 

  38. Jeong HJ, Park SB, Kim S, Kim HK. 2007.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wild grape (Vitis coignetiae) extracts depending on ethanol concentr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491-14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