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thyl Acetate와 Methanol을 이용한 블루베리 추출물 대사체 분석
Metabolomic Analysis of Ethyl Acetate and Methanol Extracts of Blueberry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3, 2014년, pp.419 - 424  

조영희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수경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권다애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홍진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  최형균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  어중혁 (중앙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LC-MS/MS를 이용한 블루베리의 methanol과 ethyl acetate 추출 분획에 존재하는 대사체의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대사체 profiling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LC-MS/MS에서 검출되는 대사체를 통계 처리한 결과, methanol 추출 분획에서는 5-O-feruloylquinic acid, malvidin hexoside, malvidin-3-arabinoside, petunidin-3-arabinoside, delphinidin hexoside, delphinidin, petunidin hexoside와 같은 안토시아닌 계열의 화합물들이 존재하였고, ethyl acetate 분획에서는 chlorogenic acid, chlorogenic acid dimer, 6,8-di-C-arabinopyranosylluteolin, luteolin과 같은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대사체학 기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추출물 전체 대사물질의 profiling을 시도한 최초의 연구로서 블루베리에 함유된 유용 성분의 스크리닝 등 향후 응용 연구에 유용한 기반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tabolite profiling of blueberry (cultivar "Spartan") was performed by extraction using different solvents, methanol and ethyl acetate, through metabolomic analysis using LC-MS/MS. Unsupervised classification method (PCA) and supervised prediction model (OPLS-DA) provided good categorization of m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LC-MS/MS를 이용한 블루베리의 methanol 과 ethyl acetate 추출 분획에 존재하는 대사체의 분석을 통해 효율적인 대사체 profiling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LC-MS/MS에서 검출되는 대사체를 통계 처리한 결과, methanol 추출 분획에서는 5-O-feruloylquinic acid, malvidin hexoside, malvidin-3-arabinoside, petunidin-3-arabinoside, delphinidin hexoside, delphinidin, petunidin hexoside와 같은 안토시아닌 계열의 화합물들이 존재하였고, ethyl acetate 분획에서는 chlorogenic acid, chlorogenic acid dimer, 6,8-di-C-arabinopyranosylluteolin, luteolin과 같은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블루베리란? 보라색을 나타내는 블루베리는 항산화 물질인 안토시아닌 성분을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건강식품의 하나로 진달래 과(Ericaceae) 산앵두나무속(Vaccinium)에 속하는 관목성 식물로서 세계적으로 400여종이 있다(7). 블루베리는 북미 지역에서 상업적으로 다량 재배되고 있고 하이부시 블루베리(Vaccinium corymbosum), 로우부시 블루베리(Vaccinium myrtillus) 그리고 래빗아이 블루베리(Vaccinium ashei)가 주요 재배종으로 알려져 있다.
대사체학 기법의 장점은? 이러한 단편적인 물질 동정을 보완 및 극복할수 있는 방법으로 최근 대사체학(metabolomics) 기법이 이용되고 있다. 대사체학은 생체 소재에 존재하는 대사물 전체를 분석하고 이들 간의 변이를 규명할 수 있는 연구법으로, 식품소재의 종류, 부위, 원산지 등에 따른 대사체의 변이를 짧은 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밝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 대사체학을 이용하여 국내산 복분자에 함유된 대사체들을 규명하는등 식품학 분야에 적극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나(2,17), 블루베리에 함유된 유용 대사체들에 대한 분석 시도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다.
블루베리의 주요 재배종은? 보라색을 나타내는 블루베리는 항산화 물질인 안토시아닌 성분을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건강식품의 하나로 진달래 과(Ericaceae) 산앵두나무속(Vaccinium)에 속하는 관목성 식물로서 세계적으로 400여종이 있다(7). 블루베리는 북미 지역에서 상업적으로 다량 재배되고 있고 하이부시 블루베리(Vaccinium corymbosum), 로우부시 블루베리(Vaccinium myrtillus) 그리고 래빗아이 블루베리(Vaccinium ashei)가 주요 재배종으로 알려져 있다. 블루베리에 함유된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 라이코펜은 항산화능, 시력강화, 면역증진 및 뇌졸중 방지에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뉴욕타임지가 선정한 세계 10대 슈퍼푸드로 선정되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Jimenez-Garcia SN, Guevara-Gonzalez RG, Miranda-Lopez R, Feregrino-Perez AA, Torres-Pacheco I, Vasquez-Cruz MA. 2013. Functional proper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ioactive compounds in berries: Biochemistry, biotechnology, and genomics. Food Res Int 54: 1195-1207. 

  2. Heo SJ, Lee DY, Choi HK, Lee J, Kim JH, Cho SM, Lee HJ, Auh JH. 2011. Metabolite fingerprinting of bokbunja (Rubuc coreanus Miquel) by UPLC-qTOF-MS. Food Sci Biotechnol 20: 567-570. 

  3. Su MS, Chien PJ. 2007. Antioxidant activity, anthocyanins, and phenolics of rabbiteye blueberry (Vaccinium ashei) fluid products as affected by fermentation. Food Chem 104: 182-187. 

  4. Martineau LC, Couture A, Spoor D, Benhaddou-Andaloussi A, Harris C, Meddah B, Leduc C, Burt A, Vuong T, Mai Le P, Prentki M, Bennett SA, Arnason JT, Haddad PS. 2006. Anti-diabetic properties of the Canadian lowbush blueberry Vaccinium angustifolium Ait. Phytomedicine 13: 612-623. 

  5. Perez-Jimenez J, Neveu V, Vos F, Scalbert A. 2010. Identification of the 100 richest dietary sources of polyphenols: an application of the phenol-explorer database. Eur J Clin Nutr 64: S112-S120. 

  6. Perez-Jimenez J, Neveu V, Vos F, Scalbert A. 2010. Systematic analysis of the content of 502 polyphenols in 452 foods and beverages: a application of the phenol-explorer database. J Agric Food Chem 58: 4959-4969. 

  7. Westwood MN. 1993. Temperate-zone pomology. Timber Press, Portland, OR, USA. p 100-101. 

  8. Park HM, Yang SJ, Kang EJ, Lee DH, Kim DI, Hong J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granule manufacture of mulberry and blueberry fruit extrac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375-382. 

  9. Jeon MH, Lee WJ. 2011. Characteristics of blueberry added Makgeoll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444-449. 

  10. Jeong CH, Choi SG, Heo HJ. 2008.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commercial blueberry and raspberr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75-1381. 

  11. Barnes JS, Nguyen HP, Shen S, Schug KA. 2009. General method for extraction of blueberry anthocyanins and identification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ion trap-time of flight-mass spectrometry. J Chromatogr A 1216: 4728-4735. 

  12. Ayaz FA, Hayirlioglu-Ayaz S, Gruz J, Novak O, Strand M. 2005. S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quantitation of phenolic acids in a little-known blueberry (Vaccinium arctostaphylos L.) fruit by HPLC-MS. J Agric Food Chem 53: 8116-8122. 

  13. Ballinger WE, Maness EP, Kushman LJ. 1970. Anthocyanins in ripe fruit of the highbush blueberry, Vaccinium corymbosum L. J Am Soc Hortic Sci 95: 283-285. 

  14. Saper GM, Burgher AM, Phillips JG, Jones SB, Stone EG. 1984. Color and composition of highbush blueberry cultivars. J Am Soc Hortic Sci 109: 105-111. 

  15. Azar M, Verette E, Brun S. 1987. Identification of some phenolic compounds in biberry juice Vaccinium myrtillus. J Food Sci 52: 1255-1257. 

  16. Kader F, Rovel B, Girardin M, Metche M. 1996. Fraction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phenolic compounds of highbush blueberries (Vaccinium corymbosum, L.). Food Chem 55: 35-40. 

  17. Lee DY, Heo S, Kim SG, Choi HK, Lee HJ, Cho SM, Auh JH. 2013. Metabolomic characterization of the region- and maturity-specificity of Rubus coreanus Miquel (Bokbunja). Food Res Int 54: 508-515. 

  18. Maatta-Riihinen KR, Kamal-Eldin A, Torronen AR. 2004.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berries of Fragaria and Rubus species (family Rosaceae). J Agric Food Chem 52: 6178-6187. 

  19. Hancock JF. 1989. Blueberry research in North America. Acta Hortic 214: 19-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