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에서는 콘택트렌즈 단백질제거제 개발 시 요구되는 단백질 제거효능의 적절한 평가를 위한 시험법을 확립하고 이를 실제 콘택트렌즈에 침착된 단백질의 제거효율을 측정한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단백질제거제의 효능 평가법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대한약전에 제시된 단백소화력 시험법을 이용하여 파파인, 판크레아틴, 섭틸리신 A 및 프로테아제와 각각의 효소가 포함된 단백질제거 정 또는 용액의 효능평가에 적절한 시험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balafilcon A 재질 렌즈에 인위적으로 침착시킨 단백질을 시판되고 있는 단백질제거 정 또는 용액으로 제거하여 세척효율을 확인하고 이들 방법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판크레아틴과 판크레아틴 함유 제품의 경우 단백소화력 시험법으로 평가하였을 때 둘 다 약전에서 제시하는 판크레아틴 단백소화력 기준값인 28 IU/mg를 충족하였다. 프로테아제와 삼염화아세트산 B 용액으로 실험한 섭틸리신 A의 경우는 단백소화력 시험법으로 평가하였을 때 제조사에서 제시한 효소활성 값을 충족하였으나, 파파인과 삼염화아세트산 A 용액으로 실험한 섭틸리신 A는 제조사에서 제시된 효소활성 값에 해당하는 단백소화력이 측정되지 않았다. 시판되는 단백질제거제의 경우 판크레아틴을 함유한 제품을 제외한 나머지 세 가지 제품은 단백소화력 시험법으로는 제조사에서 명시한 효소들의 단백질 효소활성 값을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실제 렌즈에 침착된 단백질의 제거정도를 측정하였을 때에는 파파인을 함유한 제품을 제외한 3종의 단백질제거제는 모두 90%가 넘는 단백질 제거효율을 보였다. 파파인 함유 단백질제거제의 경우 단백소화력 시험법으로는 효능 측정이 불가능하였으나 실제 렌즈에 침착된 누액단백질 제거효율은 73.72%에 이르렀다. 결론: 본 연구결과로 콘택트렌즈 단백질제거제의 효능은 함유되어 있는 단백분해효소의 종류에 따라 시험법을 달리하여 평가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판크레아틴, 프로테아제, 섭틸리신 A를 함유하는 단백질제거제는 단백소화력 시험법과 단백질제거효율 측정법으로 효능평가가 가능하고, 파파인을 함유하는 단백질제거제의 평가는 콘택트렌즈를 이용한 단백질제거효율 측정법만이 효율적임을 제안할 수 있다.
목적: 본 연구에서는 콘택트렌즈 단백질제거제 개발 시 요구되는 단백질 제거효능의 적절한 평가를 위한 시험법을 확립하고 이를 실제 콘택트렌즈에 침착된 단백질의 제거효율을 측정한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단백질제거제의 효능 평가법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대한약전에 제시된 단백소화력 시험법을 이용하여 파파인, 판크레아틴, 섭틸리신 A 및 프로테아제와 각각의 효소가 포함된 단백질제거 정 또는 용액의 효능평가에 적절한 시험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balafilcon A 재질 렌즈에 인위적으로 침착시킨 단백질을 시판되고 있는 단백질제거 정 또는 용액으로 제거하여 세척효율을 확인하고 이들 방법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판크레아틴과 판크레아틴 함유 제품의 경우 단백소화력 시험법으로 평가하였을 때 둘 다 약전에서 제시하는 판크레아틴 단백소화력 기준값인 28 IU/mg를 충족하였다. 프로테아제와 삼염화아세트산 B 용액으로 실험한 섭틸리신 A의 경우는 단백소화력 시험법으로 평가하였을 때 제조사에서 제시한 효소활성 값을 충족하였으나, 파파인과 삼염화아세트산 A 용액으로 실험한 섭틸리신 A는 제조사에서 제시된 효소활성 값에 해당하는 단백소화력이 측정되지 않았다. 시판되는 단백질제거제의 경우 판크레아틴을 함유한 제품을 제외한 나머지 세 가지 제품은 단백소화력 시험법으로는 제조사에서 명시한 효소들의 단백질 효소활성 값을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실제 렌즈에 침착된 단백질의 제거정도를 측정하였을 때에는 파파인을 함유한 제품을 제외한 3종의 단백질제거제는 모두 90%가 넘는 단백질 제거효율을 보였다. 파파인 함유 단백질제거제의 경우 단백소화력 시험법으로는 효능 측정이 불가능하였으나 실제 렌즈에 침착된 누액단백질 제거효율은 73.72%에 이르렀다. 결론: 본 연구결과로 콘택트렌즈 단백질제거제의 효능은 함유되어 있는 단백분해효소의 종류에 따라 시험법을 달리하여 평가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판크레아틴, 프로테아제, 섭틸리신 A를 함유하는 단백질제거제는 단백소화력 시험법과 단백질제거효율 측정법으로 효능평가가 가능하고, 파파인을 함유하는 단백질제거제의 평가는 콘택트렌즈를 이용한 단백질제거효율 측정법만이 효율적임을 제안할 수 있다.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experimental condition for the proper evaluation of protein removal efficacy when developing protein removal agents. Its protein removal efficacy was further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result from protein removal efficacy against protein ...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experimental condition for the proper evaluation of protein removal efficacy when developing protein removal agents. Its protein removal efficacy was further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result from protein removal efficacy against protein deposition on contact lens to suggest the evaluation method for efficacy of protein removal agents. Methods: Protein digestibility assay presented in the Korean pharmacopoeia was selected to establish the evaluation method for efficacy of papain, pancreatin, subtilisin A and protease itself as a ingredient and protein removal tablets or solution containing those enzymes and find a suitable test conditions. Furthermore, the cleaning efficacy of commercially available protein removal tablets and solution on balafilcon A lens deposited with protein artificially was measur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wo evaluation methods was further analyzed. Results: When pancreatin itself and the product containing pancreatin was evaluated by protein digestibility assay, both reached 28 IU/mg, the standard value of protein digestibility suggested by the Korean pharmacopoeia. In case of protease and subtilisin A tested with trichloroacetic acid B solution, both of them met the enzyme activity level proposed by the manufacturers when they were evaluated by protein digestibility assay however, papain and subtilisin A tested with trichloroacetic acid A solution were not reached the enzyme activity level. Among protein removal agents, three products except a product containing pancreatin did not meet the enzyme activity value specified by the manufacturer when they were evaluated by protein digestibility assay. However, actual protein removal efficacy of three products except a papain-containing product on the lens was greater than 90% protein removal. In the case of papain-containing protein removal product, its effect was not measured by protein digestibility assay however, its actual protein removal efficacy on the lens reached 73.72%.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icacy of protein removal agents for contact lens should be evaluated by different method according to the type of proteolytic enzyme contained. That is, the protein removal agents containing pancreatin, protease and subtilisin A can be evaluated by protein digestibility assay and protein removal efficiency evaluation and the products containing papain can be effectively evaluated by only the evaluation method for protein removal efficiency employing the lens.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the experimental condition for the proper evaluation of protein removal efficacy when developing protein removal agents. Its protein removal efficacy was further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result from protein removal efficacy against protein deposition on contact lens to suggest the evaluation method for efficacy of protein removal agents. Methods: Protein digestibility assay presented in the Korean pharmacopoeia was selected to establish the evaluation method for efficacy of papain, pancreatin, subtilisin A and protease itself as a ingredient and protein removal tablets or solution containing those enzymes and find a suitable test conditions. Furthermore, the cleaning efficacy of commercially available protein removal tablets and solution on balafilcon A lens deposited with protein artificially was measur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wo evaluation methods was further analyzed. Results: When pancreatin itself and the product containing pancreatin was evaluated by protein digestibility assay, both reached 28 IU/mg, the standard value of protein digestibility suggested by the Korean pharmacopoeia. In case of protease and subtilisin A tested with trichloroacetic acid B solution, both of them met the enzyme activity level proposed by the manufacturers when they were evaluated by protein digestibility assay however, papain and subtilisin A tested with trichloroacetic acid A solution were not reached the enzyme activity level. Among protein removal agents, three products except a product containing pancreatin did not meet the enzyme activity value specified by the manufacturer when they were evaluated by protein digestibility assay. However, actual protein removal efficacy of three products except a papain-containing product on the lens was greater than 90% protein removal. In the case of papain-containing protein removal product, its effect was not measured by protein digestibility assay however, its actual protein removal efficacy on the lens reached 73.72%.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icacy of protein removal agents for contact lens should be evaluated by different method according to the type of proteolytic enzyme contained. That is, the protein removal agents containing pancreatin, protease and subtilisin A can be evaluated by protein digestibility assay and protein removal efficiency evaluation and the products containing papain can be effectively evaluated by only the evaluation method for protein removal efficiency employing the len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에서는 콘택트렌즈 단백질제거제를 개발하고자 할 때 단백질 제거효능을 가장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준비과정이나 시험시간이 오래 소요되지 않는 장점을 가진 대한약전 기재의 ‘단백소화력 측정법’을 콘택트렌즈 단백질제거제의 효능평가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증가에 따라 올바른 렌즈 관리에 대한 중요성 또한 강조되므로 관리용품의 효능에 대한 적절한 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콘택트렌즈에 강하게 침착된 단백질을 제거하는 목적의 단백질제거제의 효능 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콘택트렌즈 단백질제거제를 개발하고자 할 때 단백질 제거효능을 가장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준비과정이나 시험시간이 오래 소요되지 않는 장점을 가진 대한약전 기재의 ‘단백소화력 측정법’을 콘택트렌즈 단백질제거제의 효능평가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콘택트렌즈 단백질제거제를 개발하고자 할 때 단백질 제거효능을 가장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준비과정이나 시험시간이 오래 소요되지 않는 장점을 가진 대한약전 기재의 ‘단백소화력 측정법’을 콘택트렌즈 단백질제거제의 효능평가에 적용하고자 하였다.[5] 또한 확립된 단백소화력 측정법을 통한 단백질제거제의 효능 평가결과를 렌즈에 인위적으로 단백질을 침착시킨 후 단백질제거제를 이용하여 이를 제거한 후 렌즈에 남아있는 단백질을 정량하는 시험법의 결과와 비교하여 두 방법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약전에 제시되어 있는 단백소화력 측정법은 소화제로 사용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효능비교를 위해 제안된 방법이나 단백질분해효소의 효능을 평가하는 일반적인 방법이기도 하다. 그러나 약전에는 판크레아틴 평가를 위한 조건만 제시되어 있어 본 연구에서는 콘택트렌즈 단백질제거제의 성분으로 사용되는 다른 효소들의 효능 측정도 가능한가를 검토하여 보았다.
단백소화력 시험법으로 평가한 콘택트렌즈 단백질제거제의 효능 정도를 실제 콘택트렌즈에 침착된 누액단백질의 제거효능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balafilcon A 재질 렌즈를 7일간 인공누액에 침착시킨 후 단백질제거제를 처리하고 렌즈에 남아있는 단백질량을 정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콘택트렌즈 단백질 제거제의 개발 시 단백질 제거효능을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검사법을 개발하고자 대한약전에 기재된 단백질분해효소의 효능평가법인 ‘단백소화력 시험법’을 콘택트렌즈 단백질제거제 효능 평가에 적용하여 단백질분해효소별로 적절한 실험조건을 확립하였으며, 단백질 제거제 원료로서의 단백질 분해효소(파파인 제외)의 효능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을 밝혔다.
제안 방법
각 효소검액 1 ml에 침전시액 5 ml를 섞은 후 기질용액 5 ml를 넣어 흔들어 섞고 37±0.5℃에서 30 분간 방치 후 3)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 흡광도(AB)를 측정하였고 이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건조된 유제카제인으로 기질용액 1 및 2를 조제하였다. 기질용액 1은 락트산시액 및 물에 카제인을 넣고 가온하여 녹였으며, 기질용액 2는 0.
단백질분해효소에 의해 카제인으로부터 생성된 티로신의 검량선을 구하기 위하여 티로신 용액의 흡광도 A1, A2, A3 및 A4를 측정하여 세로축에 흡광도를 가로축에 각각의 티로신 시험액에 함유된 티로신 양(µg)을 대응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흡광도차가 1일 때의 티로신의 양(µg)을 구하였다.
[9] 각 단백질제거제의 단백질 제거효율은 동일한 실험조건 하에서 다목적용액(ReNu Fresh, Bausch & Lomb Inc.)을 이용한 단백질 제거효율과 비교하였다.
Balafilcon A 렌즈(Table 2)[6,7]를 실제 누액과 같은 농도로 제조된 인공누액[8]에 1주일동안 침착시킨 후 단백질제거 정 또는 용액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각 제조회사 지침에 따라 단백질을 제거한 후 식염수로 렌즈에 결합되지 않은 단백질을 세척하였다.
8의 범위를 맞추기가 용이하지 않아 콘택트렌즈 단백질제거제의 단백소화력 평가에는 적절치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기질용액 1은 이후 실험에서는 제외하였다. 기질용액 2의 pH는 약 7 정도로 각 효소의 적정 pH로 조정이 가능하여 판크레아틴은 pH 8.5, 프로테아제는 pH 8.8, 섭틸리신 A는 pH 7.5, 파파인은 pH 6.2로 각각 조절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07 IU/mg의 단백소화력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약전에 명시된 최소 기준 28 IU/mg[10] 이상을 충족하는 결과이었다. 판크레아틴 이외의 다른 세 가지 효소에 대한 조건은 확립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단백효소력 측정을 위한 삼염화아세트산 A와 B 용액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Fig. 1). 프로테아제 효소 용액의 경우 삼염화아세트산 A 용액 사용 시에는 6.
다음으로는 단백질분해효소가 함유된 국내 유통 단백질제거제를 대상으로 단백소화력 시험법으로 단백소화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판크레아틴이[10] 포함된 단백질제거용액 O제품은 약전에 명시된 활성 pH인 8.
단백소화력 시험법으로 평가한 콘택트렌즈 단백질제거제의 효능 정도를 실제 콘택트렌즈에 침착된 누액단백질의 제거효능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balafilcon A 재질 렌즈를 7일간 인공누액에 침착시킨 후 단백질제거제를 처리하고 렌즈에 남아있는 단백질량을 정량하였다. Balafilcon A 재질 렌즈를 7일간 인공누액에 침착시켰을 때 렌즈에 침착된 단백질량은 27.
대상 데이터
현재 콘택트렌즈 단백질제거제의 구성성분으로 사용되고 있는 효소로는 Sigma-Aldrich사(St. Louis, USA)의 파파인(from papaya latex), 판크레아틴(from porcine pancreas), 섭틸리신 A(Type VIII: bacterial from Bacillus licheniformis), 프로테아제(from Streptomyces griseus)를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원료가 포함된 ‘I’사의 O제품, ‘II’사의 B 제품, ‘III’사의 Z제품, ‘IV’사의 L제품을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였다(Table 1).
이론/모형
대한민국 약전(식약처고시 제2012-129호)[5]에 명시되어 있는 ‘일반시험법’ 중 ‘소화력시험법- 단백소화력 시험법’의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제거되지 않고 콘택트렌즈에 남아있는 단백질은 Lowry 방법을 사용하여 정량하고 각 단백질제거제의 단백질 제거효율을 계산하였다.[9] 각 단백질제거제의 단백질 제거효율은 동일한 실험조건 하에서 다목적용액(ReNu Fresh, Bausch & Lomb Inc.
성능/효과
판크레아틴은 약전에 제시되어 있는 실험조건인 삼염화아세트산 B 용액만으로 효소 활성을 측정하였을 때 110.69±5.07 IU/mg의 단백소화력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약전에 명시된 최소 기준 28 IU/mg[10] 이상을 충족하는 결과이었다.
섭틸리신 A의 단백소화력은 삼염화아세트산 A 용액을 사용하였을 때 3.72±0.1 IU/mg로, 삼염화아세트산 B 용액을 사용하였을 때는 10.35±0.36 IU/mg으로 각각 측정되어 삼염화아세트산 B 용액을 사용하였을 때만이 제조사에서 제시하는 효소활성 값인 최소 10 IU/mg에 해당하는 값이 측정됨을 확인하였다.
섭틸리신 A를 주성분으로 한 B제품의 단백소화력은 삼염화아세트산 A 용액을 사용했을 때 0.44± 0.03 IU/mg, B 용액을 사용했을 때 0.81±0.06 IU/mg으로 나타났으며, 삼염화아세트산 A, B 용액 모두 1 IU/mg 미만으로 낮은 효소 활성이 측정되었다.
프로테아제를 주성분으로 한 L제품은 삼염화아세트산 A 용액을 사용했을 때 1.07±0.08 IU/mg, B 용액을 사용했을 때 1.68±0.11 IU/mg의 단백소화력을 가져 삼염화아세트산 A, B 용액 모두 2 IU/mg 미만으로 O제품에 비해 낮은 단백소화력이 측정되었다.
그 결과 판크레아틴이[10] 포함된 단백질제거용액 O제품은 약전에 명시된 활성 pH인 8.5, 기질 2용액 및 삼염화아세트산 B 용액을 사용하였을 때 251.47±5.66 IU/mg의 단백소화력을 나타내어 28 IU/mg보다 약 4배 높은 단백소화력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06 IU/mg으로 나타났으며, 삼염화아세트산 A, B 용액 모두 1 IU/mg 미만으로 낮은 효소 활성이 측정되었다. 파파인을 주성분으로 한 Z제품의 단백소화력은 삼염화아세트산 A, B 용액 모두에서 0 IU/mg으로 나타났다(Fig. 2). 삼염화아세트산 A 용액과 B 용액의 실험값을 비교해보면 판크레아틴을 제외한 세가지 효소 모두 기질 2 용액 + 삼염화아세트산 B 용액의 실험조건에서 더 높은 단백소화력을 보였다.
2). 삼염화아세트산 A 용액과 B 용액의 실험값을 비교해보면 판크레아틴을 제외한 세가지 효소 모두 기질 2 용액 + 삼염화아세트산 B 용액의 실험조건에서 더 높은 단백소화력을 보였다. O제품을 제외한 세가지 제품 모두 기질 2용액 + 삼염화아세트산 B 용액의 실험조건에서 더 높은 단백소화력을 보였으며, L제품의 경우 약 1.
삼염화아세트산 A 용액과 B 용액의 실험값을 비교해보면 판크레아틴을 제외한 세가지 효소 모두 기질 2 용액 + 삼염화아세트산 B 용액의 실험조건에서 더 높은 단백소화력을 보였다. O제품을 제외한 세가지 제품 모두 기질 2용액 + 삼염화아세트산 B 용액의 실험조건에서 더 높은 단백소화력을 보였으며, L제품의 경우 약 1.57배, B제품은 약 1.82배, Z제품은 약 2.11배 차이가 나타났다.
판크레아틴을 함유한 O제품과 프로테아제를 함유한 L제품을 사용하여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방법으로 단백질을 제거한 결과 렌즈에 남아있는 단백질 양이 0.00±0.00 µg/lens로 두 제품 모두 단백질 제거효율이 100%임을 알 수 있었다.
즉, 단백소화력 값이 1.68±0.11 IU/mg인 프로테아제가 포함된 L제품도 balafilcon A재질에서는 100% 제거효율을 보였으며, 단백소화력 값이 0.81±0.06 IU/mg인 섭틸리신 A를 함유한 B제품도 동일 재질렌즈에서 90%가 넘는 단백질제거효율을 보였다.
반면 동일한 실험조건 하에서 다목적 용액인 ReNu를 사용하여 단백질을 제거하였을 때 그 효율은 약 8%가량으로 나타나 다목적용액보다는 단백질제거제의 단백질 제거효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p<0.001, protein removal agents vs multi-purpose solution by one-way ANOVA)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섭틸리신 A를 함유한 B제품을 사용하여 단백질을 제거하였을 때에는 렌즈에 남아있는 단백질 양이 2.68±5.98 µg/lens로 측정되어 90.41%의 단백질이 제거됨을 확인하였다.
그 이유로는 단백질분해효소 자체만으로 평가했을 때보다 낮은 농도의 효소가 단백질제거제에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을 들 수 있으며, 단백질제거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여러 다른 제제들이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백질제거제의 원료로써 각 단백질분해효소의 효능(파파인 제외)은 단백소화력 시험법 결과로 제시가 가능하나, 제조가 완료된 상태의 단백질 제거제의 경우 단백질 제거효능은 단백소화력 시험법으로 적절히 평가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7%로 나타났다. 이렇듯 각 연구마다 연구조건이 달라 직접적인 비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나 연구결과들로 미루어 볼 때 동일한 조건이라면 다목적용액보다는 단백질 제거제의 단백질 제거효율이 높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일정기간 이상 사용하는 콘택트렌즈의 경우 단백질제거제의 사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단백소화력 시험법과 실제 렌즈를 이용한 침착단백질 제거효율 검사법의 결과를 비교하면 판크레아틴 이외의 효소를 함유하는 제품인 L, B 및 Z는 단백소화력 시험법에서는 높지 않는 효소활성 값을 나타내었으나 인공누액에 침착시킨 콘택트렌즈에 부착된 단백질을 제거하는 효능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즉, 단백소화력 값이 1.
06 IU/mg인 섭틸리신 A를 함유한 B제품도 동일 재질렌즈에서 90%가 넘는 단백질제거효율을 보였다. 파파인을 포함한 Z제품의 경우 카제인을 분해하지 못하여 단백소화력은 0 IU/mg으로 측정되었으나, balafilcon A 재질 렌즈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단백질 제거효율이 73.72%로 나타났는데 이는 단백소화력 시험법에 사용되었던 기질인 카제인과 누액 단백질에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에 차이가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겠다. 누액의 대표적인 단백질은 라이소자임, 알부민 및 글로불린으로 이들 단백질에 포함된 아미노산을 살펴보면 라이소자임은 129개의 아미노산으로, 글로불린은 각각의 아미노산이 동일한 비율로 구성되어 있으며, 천연 알부민의 경우엔 펩신으로는 분해가 가능하지만 트립신이나 파파인으로는 분해되기가 어려우나 변성된 알부민의 경우엔 어떠한 단백질가수분해효소를 써도 분해가 잘 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콘택트렌즈 단백질 제거제의 개발 시 단백질 제거효능을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검사법을 개발하고자 대한약전에 기재된 단백질분해효소의 효능평가법인 ‘단백소화력 시험법’을 콘택트렌즈 단백질제거제 효능 평가에 적용하여 단백질분해효소별로 적절한 실험조건을 확립하였으며, 단백질 제거제 원료로서의 단백질 분해효소(파파인 제외)의 효능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을 밝혔다. 그러나 단백질분해효소를 포함하는 단백질 제거제 완제품(판크레아틴 함유 제품 제외)의 효능 평가에는 단백소화력 측정법 단독평가는 적절치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단백질 제거제 완제품인 경우에는 정확한 효능평가를 위하여 함유되어 있는 단백분해효소의 종류에 따라 시험법을 달리하여 평가되어야 함을 제안할 수 있다.
프로테아제 효소 용액의 경우 삼염화아세트산 A 용액 사용 시에는 6.62±0.44 IU/mg, B 용액을 사용한 경우 10.31±0.28 IU/mg으로 단백소화력이 측정되어, 제조사에서 제시한 효소활성기준인 최소 4 IU/mg을 모두 충족하는 결과를 나타내어 단백소화력 측정법으로 효능평가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각 효소가 함유된 단백질제거 정 또는 용액의 경우 판크레아틴을 포함한 O제품을 제외한 세 제품 모두 제시된 효소활성 값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파파인을 포함한 Z제품의 경우 0 IU/mg의 효소활성 값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파파인효소 자체를 이용하여 실험하였을 때와는 달리 거의 측정되지 않는 단백소화력 값을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로부터 판크레아틴을 함유하는 O제품의 단백질제거효능이 다른 효소를 함유하는 단백질제거제보다 월등히 우수하다고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콘택트렌즈의 침착물에는 무엇이 있는가?
콘택트렌즈는 눈물층을 매개로 하여 각막 표면에 직접 닿게 되는데 이 때 누액의 여러 성분들이 렌즈착용시간과 렌즈의 재질에 따라 콘택트렌즈 표면이나 내부에 침착되게 된다. 콘택트렌즈의 침착물은 주로 지방, 칼슘, 단백질 침전물 등이 있는데 단백질 침착물의경우 렌즈재질의 특성에 따라 렌즈 표면에 강하게 결합하여 제거가 어렵다. 예를 들어 음전하를 띠는 렌즈 표면을 가진 소프트렌즈의 경우 누액 속 단백질 중 양전하를 띠는 라이소자임과 강하게 결합하게 된다.
콘택트렌즈의 침착물 중 단백질 침착물의 경우 제거하기 어려운 이유는?
콘택트렌즈는 눈물층을 매개로 하여 각막 표면에 직접 닿게 되는데 이 때 누액의 여러 성분들이 렌즈착용시간과 렌즈의 재질에 따라 콘택트렌즈 표면이나 내부에 침착되게 된다. 콘택트렌즈의 침착물은 주로 지방, 칼슘, 단백질 침전물 등이 있는데 단백질 침착물의경우 렌즈재질의 특성에 따라 렌즈 표면에 강하게 결합하여 제거가 어렵다. 예를 들어 음전하를 띠는 렌즈 표면을 가진 소프트렌즈의 경우 누액 속 단백질 중 양전하를 띠는 라이소자임과 강하게 결합하게 된다.
소프트렌즈에 생성된 단백질 침착물이 유발하는 문제점은?
5 kDa로[1,2] 작아 콘택트렌즈 pore로도 침투되어 침착물을 형성한다. 이러한 누액단백 침착물은 시야흐림, 충혈, 자극감, 착용감 저하, 산소투과도 감소, 유두결막염, 미생물 증식과 같은 문제점을 유발한다.[1] 최근 여러 단계를 거칠 필요 없이 편리하게 콘택트렌즈를 세척, 소독 및 보존까지 할 수 있는 다목적 용액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다목적용액에 포함된 계면활성제만으로는 렌즈에 강하게 결합되는 단백질 침착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
참고문헌 (15)
Ju EH, Sung AY, Oh SJ, Lee KJ. The effect of protein deposit on the water content, oxygen transmissibility and contact angle of the soft contact lens. Korean J Vis Sci. 2010;12(4):291-302.
Jadi S, Heynen M, Luensmann D, Jones L. Composition of incubation solution impacts in vitro protein uptake to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Mol Vis. 2012;18:337-347.
Park MJ, Chang JY, Shin YM, Kim DS. Factors in effecting the activities of the protein remover. J Korean Oph Opt Soc. 2005;10(2):91-97.
Woo Jeon Medical. BIOCLEN L-1, http://www.wjm.co.kr/ver2/product/product4_01.asp(29 Jan 2014).
The Korean Pharmacopoeia: General test method-Digestive power test, 10th ed.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2, 149-151.
Subbaraman LN, Glasier MA, Senchyna M, Sheardown H, Jones L. Kinetics of in vitro lysozyme deposition on silicone hydrogel, PMMA, and FDA Groups I, II, and IV contact lens materials. Curr Eye Res. 2006;31(11):787-796.
Anorasko GJ, Ryen KA. A series of evaluations of MPS and silicone hydrogel lens combinations. Rev Cornea Contact Lenses. 2007:36-41.
Koo SB, Cho SB, Park MJ, Kim SR. The investigation on ultrasonic cleaning of soft contact lenses in local optical shops and the protein removal effect by lens containers. J Korean Oph Opt Soc. 2011;16(1):31-40.
Cookson C. Interference of zwitterionic biological buffers with the lowry method of protein determination. Anal Biochem. 1978;88(1):340-343.
Compilation Committee of Chemical Terminology. Dictionary of Chemical Terms. 1st Ed. Seoul: Iljinsa. 2003;97-776.
Kang YH. Encyclopedia of Life Science. 1st Ed. Seoul: Academyseojeok. 2008;159-1619.
Lee KJ, Kang YS. The amounts of protein deposits influenced by contact lens material and evaluation of the cleaning efficacy by care solution. Korean J Vis Sci. 2005;7(1):85-94.
Luensmann D, Heynen M, Liu L, Sheardown H, Jones L. The efficiency of contact lens care regimens on protein removal from hydrogel and silicone hydrogel lenses. Mol Vis. 2010;16:79-9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