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콘택트렌즈 관리용품의 살균력 효능 검사법 비교
Comparison of Evaluation Methods for Disinfection Efficacy of Contact Lens Care Products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9 no.1, 2014년, pp.59 - 67  

성형경 (서울과학기술대학 안경광학과) ,  변현영 (서울과학기술대학 안경광학과) ,  김소라 (서울과학기술대학 안경광학과) ,  박미정 (서울과학기술대학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콘택트렌즈 관리용품의 살균력 효능 검사법 기준 개발을 위하여 막여과법(Membrane filtration method)과 희석중화법(Dilution-neutralization method)의 살균력 검사 결과를 비교하고 시판되고 있는 콘택트렌즈 관리용품의 살균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세라티아균(Serratia marces cens), 칸디다균(Candida albicans)을 대상으로 하여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기준인 막여과법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새롭게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할 희석중화법의 살균력 효능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총 20종 다목적 용액의 살균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살균효과가 강한 살균 성분 및 관리용품의 효능은 막여과법과 희석중화법 모두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 살균효과가 약한 관리용품의 경우는 막여과법 검사시에는 균이 뭉쳐있어 정확한 균 수 측정이 불가능하였으나 희석중화법 검사시는 정확한 균 수 측정이 가능해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판되고 있는 관리용품 중에는 살균력 기준을 통과하지 못한 제품이 존재하였으며 특히 세라티아균과 칸디다균에 대한 살균력이 약한 경우가 많았다. 결론: 막여과법에 비해 희석중화법이 소량의 샘플로 더 정확하게 균수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결과 확인이 빨라 살균력 효능 검사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compare the results of disinfection efficacy tested by membrane filtration method with dilution-neutralization method to develop the standard methods for evaluating disinfection efficacy of contact lens care products and to provide the result of disinfection 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의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미국의 FDA과 유럽연합의 ISO 기준인 막여과법과 함께 희석중화법(Dilution-neutralization method)을 시험법으로 한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막여과법과 희석중화법의 살균력 검사 결과를 비교하고 시판되고 있는 콘택트렌즈 관리용품의 살균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FDA와 ISO의 콘택트렌즈 살균력 검사방법인 막여과법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살균력검사법으로 새롭게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려고 하는 희석중화법의 살균력을 비교해보고 시판되고 있는 콘택트렌즈 관리용품의 살균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상적인 눈꺼풀테 및 결막낭에 존재하는 균은? 정상적인 눈꺼풀테 및 결막낭에는 포도상구균, 녹농균, 세라티아균과 칸디다를 포함한 그람음성균이 상존하고 있다.[1] 황색포도상구균은 호기성 혹은 통성혐기성 그람양성세균으로 사람의 피부나 점막에 집락을 형성하고 높은 보균율로 인하여 인체에 매우 흔한 감염증을 일으키며[2] 각막 상피세포의 염증반응을 촉진한다는 연구 결과에 따라 염증질환에 중요한 병원인자로 추정되었다.
콘택트렌즈의 사용으로 감염될 수 있는 균은 무엇이며 이 균은 어떤 질환을 야기하는가? [1] 황색포도상구균은 호기성 혹은 통성혐기성 그람양성세균으로 사람의 피부나 점막에 집락을 형성하고 높은 보균율로 인하여 인체에 매우 흔한 감염증을 일으키며[2] 각막 상피세포의 염증반응을 촉진한다는 연구 결과에 따라 염증질환에 중요한 병원인자로 추정되었다.[3,4] 균 중에 특히 문제가 되고 있는 녹농균은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자에서 잘 감염되며 점안약을 통해서도 감염되는 균주로 감염되면 급속히 각막을 천공시켜 여러 합병증을 일으킨다.[5] 또한 세균인 녹농균도 각막궤양이나 각막염과 같은 안과질환을 일으킨다. 콘택트렌즈의 사용으로 인해 균들로부터 감염에 의한 안과질환의 위험이 커지면서 콘택트렌즈의 사용에 있어서 관리가 중요시 되고 있다.
황색포도상구균이 염증질환에 중요한 병원인자로 추정되는 이유는? 정상적인 눈꺼풀테 및 결막낭에는 포도상구균, 녹농균, 세라티아균과 칸디다를 포함한 그람음성균이 상존하고 있다.[1] 황색포도상구균은 호기성 혹은 통성혐기성 그람양성세균으로 사람의 피부나 점막에 집락을 형성하고 높은 보균율로 인하여 인체에 매우 흔한 감염증을 일으키며[2] 각막 상피세포의 염증반응을 촉진한다는 연구 결과에 따라 염증질환에 중요한 병원인자로 추정되었다.[3,4] 균 중에 특히 문제가 되고 있는 녹농균은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자에서 잘 감염되며 점안약을 통해서도 감염되는 균주로 감염되면 급속히 각막을 천공시켜 여러 합병증을 일으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McClellan KA. Mucosal defense of the outer eye. Surv Ophthalmol. 1997;42:233-46. 

  2. Dryden MS. Complicated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 J Antimicrob Chemother. 2010;65(3):35-44. 

  3. Kumar A, Tassopoulos AM, Li Q, Yu FS. Staphylococcus aureus protein A 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in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7;354(4):955-961. 

  4. Terada, M, Tsutsui H, Imai Y, Yasuda K, Mizutani H, Yamanishi K et al. Contribution of IL-18 to atopic-dermatitislike skin inflammation induced by staphylococcus aureus product in mice. Proc Natl Acad Sci USA. 2006;103(23):8816-8821. 

  5. Lee JH, Lee HB, Heo O, Hong YJ. Ophthalmology. 8th Ed. Seoul: Ilchokak. 2008;170-171. 

  6. Kim SM. Microbial contamination of contact lens cases in multi-purpose solution care systems. J Korean Opthalmol Soc. 2000;5(1):95-99. 

  7. Lee JY, Chung SG, David G. Hwang. Evaluation of efficacy of polyhexamethylene biguanide in experimental Pseudomonas aeruginosa keratitis. J Korean Opthalmol Soc. 1998;39(11):2506-2513. 

  8. Durbn JJ, Villaverde EH, Monteoliva-Sanchez M, Ramos-Cormenzana A. Bacterial contamination of hydrophilic contact lens solutions marketed in spain. Optom Vis Sci. 1996;73(8):529-532. 

  9. Shim HM, Park KJ, Cho NC. The stability of polyvinylpyrrolidone iodine in diluted variable solution and variable condition. J Korea Soc Hosp Pharm. 1999;16(1):87-92. 

  10. Zamora JL. Chemical and microbiologic characteristics and toxicity of povidone-iodine solutions. Am J Surg. 1986;151:400-406. 

  11. Lacey RW, Catto A. Action of povidone-iodine against methicillinsensitive and-resistant cultures of Staphylococcus aureus. Postgrad Med J. 1993;69:78-83. 

  12. Hume EBH, Zhu H, Cole N, Hu C. Efficacy of contact lens multipurpose solutions against Serratia marcescens. Optom Vis Sci. 2007;84(4):316-320. 

  13. Bullock JD, Warwar RE, Elder BL, Northern WI. Temperature instability of ReNu with MoistureLoc: a new theory to explain the worldwide Fusarium keratitis epidemic of 2004-2006. Trans Am Ophthalmol Soc. 2008;106:117-126. 

  14. Ide T, Miller D, Alfonso EC, O'Brien TP. Impact of contact lens group on antifungal efficacy of multipurpose disinfecting contact lens solutions. Eye Contact Lens. 2008;34(3):151-159. 

  15. Prince HN, Nonemaker WS, Norgard RC, et al. Drug resistance studies with topical antiseptics. J Pharm Sci 1978;67:1629-31. 

  16. Schijiven JF, Hassanizadeh SM. Removal of viruses by soil passage:overview of modeling, processes, and parameters. Crit Rev Environ Sci Technol. 2000;30(1):49-127. 

  17. Azadpour-Keeley A, Ward CH. Transport and survival of viruses in the subsurface processes, experiments, and simulation models. Remed J. 2005;15(3):23-49.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