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유 발화 자료에서 나타나는 한국어 억양 곡선의 기울기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f Intonation Curve Slopes in Korean Spontaneous Speech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6 no.1, 2014년, pp.21 - 30  

오재혁 (서울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iscuss pitch slope on Korean intonation curve in spontaneous speech data. For this study, 656 utterances were taken in the spoken corpus and used 'close-copy stylization'. And then the physical feature of pitch movements was extracted for the study. The pitch slope was calcula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주지하다시피 억양은 남녀에 따라 기본주파수에서 본질적으로 차이를 보이며, 화자마다 혹은 같은 화자라도 맥락에 따라서 매우 가변적인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물리적인 측정값을 그대로 이용하여 기울기를 계산하게 되면 서로 다른 집단 간의 비교가 불가능해 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녀별, 화자별 기울기 특성을 비교하고 전체적인 특징을 파악하기 위하여 x축의 시간과 y축의 음높이를 백분율로 환산하여 계산하였다. <그림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발화의 총 시간을 100%로 했을 때 해당 음높이 움직임이 이동한 시간을 x%로 치환하고, <그림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발화의 최소 음높이부터 최대 음높이까지의 변위 폭을 100%로 했을 때 해당 음높이 움직임이 이동한 음높이를 y%로 치환하였다.
  • 한편 [26]에서는 자유 발화를 대상으로 음높이 움직임의 기울기 특징을 보고하였으나, 한국어 억양 곡선의 정규화(standardization)를 시도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기울기에 대한 개략적인 특징을 언급하였을 뿐 구체적인 내용을 보고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억양 곡선의 물리적 실체에 접근하기 위한 시도에서 자유 발화를 대상으로 발화 전체에 걸쳐 나타나는 억양 곡선의 기울기 특징을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시간, 음높이와 관련되는 축을 각 발화당 총 시간과 음높이 변위를 기준으로 백분율로 치환하여 기울기 특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남녀 간, 화자 간 기울기의 평균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분포에서 보이는 특징도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억양 곡선의 기울기 특성을 찾기 위하여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화 전체에 걸친 억양을 대상으로 원 신호를 왜곡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소한의 변곡점으로 억양 곡선을 최대한 단순하게 만들었다.
  •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억양 곡선의 물리적 특징 중 억양 곡선의 기울기 특성에 대해서 밝히고자 한다. 한국어 억양 곡선의 기울기 특성과 관련해서는 [9]-[10]에서 의문문 문미 억양에 대한 기울기 특징이 보고되었고, [1], [27]-[30] 등에서는 문장 전체에 걸쳐 나타나는 기울기 특징, 혹은 문미 억양의 기울기 특징에 대한 보고가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억양 유형의 특징을 물리적 특징으로 연결짓는 것이 어려운 이유는? 그러나 이 두 이론에서 기술하고 있는 억양 유형의 특징은 아직 그 실체를 물리적인 특징으로까지 연결하지는 못하였다. 억양이 다분히 가변적이거니와 상대적이기 때문에 산출된 억양 곡선에서 항상성을 보이는 물리적 실체를 찾아 기술하는 것은 더딘 작업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억양이란 무엇인가? 억양은 발화 전체에 걸쳐 나타나는 기본주파수(F0)의 연속적인 변화이다. 물리적인 신호는 초당 성대 진동수로 아주 단순하지만, 그것이 발화 전체에 걸쳐 나타난다는 점과 연속적이라는 점 때문에 억양을 언어학적으로 기술하는 것이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억양을 언어학적으로 기술하기 위하여 어떻게 해야 하는가? 억양을 언어학적으로 기술하기 위해서는 발화 전체에 걸쳐 나타나는 연속적인 기본주파수의 변화를 특정한 단위로 분절해 내야하고, 분절된 단위에서 보이는 변화의 특징을 찾아 기술해야 한다. 영국식 억양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14]-[16]의 ‘한국어 억양 체계’와 억양음운론을 토대로 하는 [3]-[7]의 K-ToBI 억양 기술 방법도 연속된 억양의 변화에서 ‘말토막’, ‘말마디’, ‘악센트구’, ‘억양구’라는 언어학적 분절 단위를 상정하고 각 단위에서 나타나는 기본주파수의 변화 유형을 찾아 ‘말토막 억양’, ‘핵억양’, ‘악센트구 억양 유형’, ‘억양구 경계성조’ 등으로 억양을 기술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In, Jiyoung & Seong, Cheoljae. (2013). Characteristics of AP Tonal Patterns & Slopes Produced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Malsori, 5(3), 47-54. (인지영, 성철재 (2013).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강세구 성조 패턴과 기울기 특성. 말소리와 음성과학, 5(3), 47-54.) 

  2. Jeong, Jin-sook & Lee, Sook-hyang. (2012). Prosodic Phrasing and Intonation Patterns in the Speech of Migrant Wom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n, 31(7), 461-471. (정진숙, 이숙향 (2012).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운율구 경계 짓기와 억양패턴. 한국음향학회지, 31(7), 461-471.) 

  3. Jun, Sun-Ah. (1990). The prosodic structure of Korean: in terms of voicing. In E-J Baek (ed.), Proceedings of th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Korean Linguistics, 87-104. 

  4. Jun, Sun-Ah. (1993). The phonetics and phonology of Korean prosody. Doctoral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5. Jun, Sun-Ah. (1996). Influence of microprosody on macroprosody: a case of phrase initial strengthening. UCLA Working Papers in Phonetics 92. 97-116. 

  6. Jun, Sun-Ah. (1998). The Accentual Phrase in the Korean prosodic hierarchy. Phonology, 15(2). 189-226 

  7. Jun, Sun-Ah. (2000). K-ToBI labelling conventions; version 3.1 UCLA Working Papers in Phonetics, 99. 

  8. Kim, Jong-jin & Lee, Sook-hyang. (2005). A Prosodic Study of Korean Using a Large Databas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n, 24(2), 117-126. (김종진, 이숙향 (2005). 대용량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한국 어 운율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음향학회지, 24(2), 117-126.) 

  9. Kim, Seon-cheol. (1996). A Phonetic and phonological Study on the Interrogative Intonation in Korean. Ono Yongu Studies in Linguistics, 13, 1-52. (김선철 (1996). 국어 의문문 억양의 음성학?음운론적 연구. 언어연구, 13, 1-52) 

  10. Kim, Seon-cheol. (1996). On inclinational values and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of sentence-final rising tones of interrogatives in Seoul dialect. Proceedings of The first Seoul International Conference of Phonetics, 548-553. (김선철 (1996). 서울말 의문문에 나타나는 문미 상승억양의 기울기값과 음운표시. 제1회 서울 국제 음성학술대회 (대한 음성학회) pp.548-553. 

  11. Lee, Sook-hyang. (2002). A Study of the Description System of Korean Prosodic Structure: K-ToBI Labelling System.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n Journal, 10(2), 1-18. (이숙향 (2002). 한국어 운율구조 기술 체계에 대한 연구: K-ToBI 기술 체계를 중심으로. 언어학, 10(2), 1-18.) 

  12. Lee, Sook-hyang & Kim, Sunhee & Kim, Jong-jin. (2006). Prosodic Characteristics of Korean Distant Speech.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n, 25(3), 137-143. (이숙향, 김선희, 김종진 (2006). 한국어 원거리 음성의 운율 적 특성. 한국음향학회지, 25(3), 137-143.) 

  13. Lee, H. B. (1964). A Study of (Seoul) Intonation. M.A. thesis presented University of London. 

  14. Lee. Ho-Young. (1990). The structure of Korean prosody.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College London. (Published by Hanshin Publishing.) 

  15. Lee Ho-young. (1991). The intonation system of Korean. The Linguistic Association of Korean Journal, 13, 129-151. (이호영 (1991). 한국어의 억양체계. 언어학, 13, 129-151.) 

  16. Lee, Ho-Young. (1996). Korean Phonetics. Seoul: Taehaksa. (이호영 (1996). 국어 음성학. 서울: 태학사) 

  17. Lee, Ho-Young. (1999). An acoustic phonetic study of Korean nuclear tones. Malsori, 38, 25-39. (이호영 (1999). 국어 핵억양의 음향음성학적 연구. 말소리 38. 25-39.) 

  18. Lee, Ho-Young. (1999). Downstep and upstep in Korean intonation. Hangeul, 257, 5-25. (이호영 (2002). 국어 억양의 상승과 하강 현상. 한글 257. 5-25.) 

  19. Lee. Ho-Young. (2000). Acoustic Cues of Korean Nuclear Tones. Eohakyeongu 36-2, 325-338 

  20. Lee. Ho-Young. (2004). H and L are not enough in intonational phonology. Eoneohak, 39, 71-79. 

  21. Liberman, P. (1967). Intonation, perception and language, Boston: The M.I.T. Press. 

  22. O'Connor, J. D. & Arnold, G. F. (1973) Intonation of colloquial English. London: Longmans. 

  23. Ohala, J.J. & W.G. Ewan. (1973). Speed of pitch chang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53. 

  24. Oh, Jeahyuk. (2011). A perceptual study of the grammatical function and phonetic features on the intonation of utterance final in Korean. Ph.D.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오재혁 (2011). 국어 종결 억양의 문법적 기능과 음성적 특징 에 대한 지각적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Oh, Jeahyuk. (2013). A study of methods of standardization for Korean intonation curve. Korean Linguistics, 62, 393-418. (오재혁 (2013). 한국어 억양 곡선의 정규화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어학, 62, 393-418.) 

  26. Oh, SoonYoung. (2011). The prosodic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 with respect to speech rate and intonation slope, M.A.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오순영 (2011). 인공와우 이식(Cochlear Implant) 아동의 운율 특성,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7. Oh, Shoung & Seong, Cheoljae & Choi, Eunah. (2011). The prosodic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with respect to speech rate and intonation slope.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3(3), 157-165. (오순영, 성철재, 최은아 (2011). 인공와우 아동의 운율 특성: 발화속도와 억양기울기를 중심으로. 말소리와 음성과학, 3(3), 157-165. 

  28. Park, Yong-jin. (2012). A study on ending boundary tone in interrogative sentences by adults of 20's in Daejeon area: with focus on intonational slope according to gender, number of syllables, tense, honorifics, part of speech. M.A.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박영진 (2012). 대전지역 20대 성인의 의문문에서의 문미억 양에 대한 연구: 성별, 음절수, 시제, 경어법, 품사에 따른 문 미억양 기울기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Seo, In-hyo & Seong, Cheol-jae. (2012). The prosodic characteristics of dysarthria with respect to speech rate and intonation slope.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7, 390-402. (서인효, 성철재 (2012). 마비말화자와 정상화자의 양자택일 문 운율비교: 말속도와 억양기울기를 중심으로. 언어청각장 애연구, 17, 390-402.) 

  30. Shin, Ji-yong. (2008). Phoneme and syllable frequencies of Korean based on the analysis of spontaneous speech data.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13(2), 193-215. (신지영 (2008). 성인 자유 발화 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한 한 국어의 음소 및 음절 관련 빈도. 언어청각장애연구, 13(2), 193-215.) 

  31. 't. Hart & R. Collier & A. Cohen. (1990). A perceptual study of inton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