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남부지역에서 난지형 목초의 생육특성, 월동성 및 사초생산성 평가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Winter Survival and Forage Production for Warm Season Grass in the Mid-Southern Regions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v.34 no.1, 2014년, pp.1 - 8  

박형수 (국립축산과학원) ,  정민웅 (국립축산과학원) ,  정용복 (효진바이오뱅크(주)) ,  임영철 (국립축산과학원) ,  최기춘 (국립축산과학원) ,  김지혜 (국립축산과학원) ,  이기원 (국립축산과학원) ,  최기준 (국립축산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난지형 목초의 도입 가능성을 검토하고 난지형 목초의 재배 한계지를 구명하기 위하여 전남 장흥, 광주광역시, 전북 김제 및 충남 천안에서 2009년 5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수행하였다. 난지형 화본과 목초인 버뮤다그라스 "Common", "자생형(Ecotype)" 품종, 바히아그라스 "Argentine", "Tifton 9" 품종과 클라인그라스 "Selection 75" 품종을 2009년 5월 하순에 파종하였다. 버뮤다그라스의 출현 소요일은 파종 후 12일정도 소요되었으며 바히아그라스는 파종 후 24~28일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동이 가능한 광주지역에서 버뮤다그라스의 출수기는 5월 28일경, 바이하그라스는 7월 26일경, 클라인그라스는 5월 30일경에 출수기에 도달하였다. 월동성은 전남 장흥 및 광주지역에서는 바히아그라스를 제외하고는 모두 월동이 가능하였으며 전북 김제와 충남 천안지역은 월동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난지형 목초의 건물생산성은 모든 시험지역에서 클라인그라스가 6,106 ~ 15,331 kg/ha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바히아그라스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백질 함량은 버뮤다그라스의 Ecotype이 12.7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DF 함량은 버뮤다그라스 common이 30.42%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가소화영양소(TDN) 함량은 버뮤다그라스가 68.23%로 바히아그라스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in vitro 건물소화율은 초종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버뮤다그라스가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우리나라에서 난지형 목초 활용을 위한 재배한계 지역은 시험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월동이 가능한 전남지역까지로 판단되며 연간 사초생산성과 사료가치는 한지형 목초와 비슷한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보였다. 하지만 기후 온난화 대응 측면과 한지형 목초의 여름철 수량감소로 인한 지속성 저하를 보완 대체할 수 있는 조사료 자원으로서 난지형 목초의 새로운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eld studies were conducted from the years 2009 to 2012 in order to determine the cultivation limit as well a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on of warm season grass in Korea. Two bermudagrass [Cynodon dactylon (L.) Pers.] cultivars, two bahiagrass (Paspalum notatum Flugge) cu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0), 특히 난지형 목초는 주 생육기가 여름철이어서 봄철에 생산성이 낮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가을철에 난지형 목초지에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호밀 등 동계사료작물을 겉뿌림 파종하여 봄철에 동계 사료작물을 생산하고 여름철에 난지형 목초를 이용하는 기술들이 개발되어 이용되어지고 있다(Henry and Joseph, 1973).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여름철 조사료원으로서 난지형 목초의 중남부지역의 재배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난지형 목초의 월동성과 생육특성 및 사초 생산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9년 5월 하순에 파종한 버뮤다 그라스와 바히아그라스의 파종 후 출현 소요일은? 난지형 화본과 목초인 버뮤다그라스 "Common", "자생형(Ecotype)" 품종, 바히아그라스 "Argentine", "Tifton 9" 품종과 클라인그라스 "Selection 75" 품종을 2009년 5월 하순에 파종하였다. 버뮤다그라스의 출현 소요일은 파종 후 12일정도 소요되었으며 바히아그라스는 파종 후 24~28일 정도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동이 가능한 광주지역에서 버뮤다그라스의 출수기는 5월 28일경, 바이하그라스는 7월 26일경, 클라인그라스는 5월 30일경에 출수기에 도달하였다.
난지형 목초의 생육특성은? 난지형 목초는 기온이 25~35℃ 내외에서 생육이 가장 왕성하며 15℃ 이하가 되면 생육이 느려진다(Barnes et al., 2007). 난지형 목초의 일반적인 생육특성은 한지형 목초보다 초기 생육이 느려서 정착이 느린 반면 일단 정착이 되면 지속성이 우수하고 더위와 가뭄에 강하여 여름철 고온기에 생산성이 높은 것이 큰 특징이다.
난지형 목초의 재배상의 문제점은? 우리나라의 조사료 생산 작부체계에서 난지형 목초의 도입 연구는 1960년대 후반에 제주지역에서 여름철 동안 기후 풍토에 적응성이 강하고 수량이 많은 조사료 자원을 선발하기 위하여 최초로 수행되었다. 1960년대 이후 난지형 목초의 낮은 월동성, 여름철 잡초와의 경합 등 재배에서 문제점들이 부각되면서 난지형 목초의 도입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NKOM Technology. 2005a. Method for determining neutral detergent fiber. ANKOM Technology, Fairport, NY. http://www.ankom. com/09_procedures /procedures2.shtml. Accessed May 8, 2005. 

  2. ANKOM Technology. 2005b. Method for determining acid detergent fiber. ANKOM Technology, Fairport, NY. http://www.ankom.com/ 09_procedures /proceduresl.shtml. Accessed May 8, 2005. 

  3.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4. Barbehenn R.V., Chen, Z., Karowe, D.N. and Spickard, A. 2004. C3 grasses have higher nutritional quality than C4 grasses under ambient and elevated atmospheric $CO_2$ . Glob. Change Biol. 10:1565-1575. 

  5. Barnes, Robert F., Darrell A. Miller, and Jerry, C. Nelson (eds.). 2007. Forages: The Science of Grassland Agriculture. 6th ed. Vol. 2. Blackwell publishing. pp. 88. 

  6. Chambliss, C.G. 2003. Tifton 9 Pensacola Bahiagrass1. Publication # SS-AGR-25. University of Florida Extension, Gainesville. 

  7. Evers, G.W. and Parsons, M.J. 2002. Comparison of seeded and vegetatively planted bermudagrasses. Research Center Technical Report No. 2002-1. Texas A&M Univ., Overton, TX. pp. 41-42. 

  8.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 Handbook. No. 379. ARS. USDA: Washington DC. 

  9. Henderson, M.S and Robinson, D.L. 1982. Environmental influences on fiber component concentrations of warm-season perennial grasses. Agronomy J. J. 74:573-579. 

  10. Henry A. Fribourg and Joseph R. Overton. 1973. Forage Production on Bermudagrass Sods Overseeded with Tall Fescue and Winter Annual Grasses. Agronomy Journal. 65(2):295-298 

  11. Hodgson, H.J. 1949. Effect of heat and acid scarification on germination of seed of Bahiagrass (Paspalum notatum, Flugge). Agron. J., 41: 531-533. 

  12. Hsu, F.H. 1985. Temperature effects on germination of perennial warm-season forage grasses. Crop science. 25:215-220. 

  13. Huxely, A.(ed.). 1992. New RHS Dictionary of Gardening, Lawns : ch. 3: pp.26-33. (Macmillan. ISBN 0-333-47494-5). 

  14. Jones, C.A. 1985. C4 Grasses and Cereals. Growth, Development and Stress Response.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pp. 419. 

  15. Lalman, D.L., Taliaferro, C.M., Epplin, F.M., Johnson, C.R. and Wheeler, J.S. 2000. Review: Grazing stockpiled bermudagrass as an alternative to feeding harvested forage.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of Animal Sciences. Available online at http://www.asas.org/symposia/0621.pdf. 

  16. Moore, R.E. 1970. Procedure for the two-stage in vitro digestion of forage. Univ. of Florida, Dept. of Animal Sci. 

  17. Munshaw, G.C., Ervin, E.H., Shang, C., Askew, S.D. and Lemus, R. 2006. Influence of late-season iron, nitrogen, and seaweed extract on fall color retention and cold tolerance of four bermudagrass cultivars. Crop Sci. 46:273-283. 

  18. Park, H.S., Park, N.G., Kim, J.G., Choi, K.C., Lim, Y.C., Choi, G.J. and Lee, K.W. 2012,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and forage production for Bermudagrass (Cynodon dactylon) and Bahiagrass (Paspalum notatum) in Jeju, J. Kor. Grassl. Forage Sci. 32(2):131-138. 

  19. RDA. 1969. Jeju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Technical Repor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p. 269-294. 

  20. Reid, R.L., Jung, G.A. and Thayne, W.V. 1988. Relationships between nutritive quality and fiber components of cool season and warm season forages: A retrospective study. J. Anim. Sci. 66:1275. 

  21. Tilley, J.M.A and Terry, R.A. 1963. A two-stage technique for the in vitro digestion fo forage crops. J. Bri. Grassl. Soc. 18:104-1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