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색광과 청색 LED 방식의 광학스캐너로 채득된 디지털 모형의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digital models obtained by white light and blue LED optical scanners 원문보기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Dental Technology, v.36 no.1, 2014년, pp.17 - 23  

최석순 (신구대학교 치기공과) ,  김재홍 (고려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치의기공전공) ,  김지환 (고려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치의기공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ompare the relative accuracy of digitized stone models of lower full arch, using two different scanning system. Methods: Replica stone models(N=20) were produced from lower arch acrylic model. Twenty digital models were made with the white ligh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광학 방식 중 청색 LED 방식의 스캐너를 이용하여 3차원 디지털 모형으로 채득한 후 지정된 계측지점의 계측 값을 통해 임상 치과 기공분야에서 널리 사용 중인 백색광 방식 기반으로 채득된 디지털 모형과 비교하여 그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계측지점을 전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2차원적 선계측 결과를 통해 각기 다른 방식으로 전환된 디지털 모형의 상대 정확성을 비교분석하기위함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치과 CAD/CAM system을 이용하여 간접법으로 보철물 제작과정 중에 백색광 방식의 광학 스캐너 기반의 3차원 디지털 모형과 청색 LED 방식을 이용하여 제작된 디지털 모형의 상대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각 계측지점간의 거리 측정으로 도출된 결과 값을 근거로 비교분석하였다. 이 과정을 통하여 가장 최근에 출시된 청색 LED 스캐너의 성능 평가를 위함이며, 선행연구에서 입증된 백색광 방식의 스캐너로 획득한 디지털 모형과의 비교를 통해 임상에서의 도입 가능성 여부를 가늠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과영역에서 스캐너는 어떤 장치인가? 치과영역에서 스캐너는 턱과 치아의 기하학적 형태를 3차원적으로 측정하여 그것을 디지털 데이터로 바꾸는 장치이며 기본적으로 광학식과 기계식 방법이 있다. 광학식 스캐너는 소위“triangulation procedure”라고 불리는 과정을 통해 3차원 구조를 수집한다.
치과 보철물 제작 기술은 어떻게 발달되고 있는가? 기존 보철물의 제작방식은 치과용 인상재를 tray에 적당량 담아 치료부위의 음형을 획득하고, 그곳에 치과용 경석고를 부어 석고 양형을 완성함으로써 치과 보철물의 작업 모형을 제작할 수 있었다. 하지만, 1971년 Francois Duret에 의해 처음으로 컴퓨터를 이용한 치과 수복물 제작을 시작으로 지난 20년간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CAD/CAM 시스템의 도입은 구강 인상채득 후 수작업을 행하는 전통적인 아날로그 제작방식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했다(Christensen, 2009). 이러한 변화는 치과용 지르코니아의 도입과 치과용 스캐너의 개발로 인해 더욱 가속화 되었고, 특히 치과용 스캐너는 치과기공 업무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화하는 전환점이라고 할 수 있다. 환자의 인상체에 석고를 부어 양형을 만들고 이것을 치과용 스캐너로 스캐닝하여 3차원 표면을 컴퓨터에 이미지화함으로써 CAD 프로그램으로 보철물 설계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Miyazaki et al, 2009).
기존 보철물의 제작방식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정확한 구강 환경의 재현은 치과 보철물 제작에서 가장 중요한 과정이다(Luthardt et al, 2008). 기존 보철물의 제작방식은 치과용 인상재를 tray에 적당량 담아 치료부위의 음형을 획득하고, 그곳에 치과용 경석고를 부어 석고 양형을 완성함으로써 치과 보철물의 작업 모형을 제작할 수 있었다. 하지만, 1971년 Francois Duret에 의해 처음으로 컴퓨터를 이용한 치과 수복물 제작을 시작으로 지난 20년간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CAD/CAM 시스템의 도입은 구강 인상채득 후 수작업을 행하는 전통적인 아날로그 제작방식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했다(Christensen,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lcan T, Ceylanoglu C, Baysal B.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model accuracy and timedependent deformation of alginate impressions. Angle Orthod, 79(1), 30-36, 2009. 

  2. Beuer F, Schweiger J, Edelhoff D. Digital dentistry, an overview of recent developments for CAD/CAM generated restorations. Br Dent J, 204(9), 505-511, 2008. 

  3. Christensen GJ. Impressions are changing, deciding on conventional, digital or digital plus in-office milling. J Am Dent Assoc, 140(10), 1301-1304, 2009. 

  4. Creed B, Chung HK, Jeryl DE, James JX, Lee A. Comparison of the accuracy of linear measurement obtained from cone beam computerized tomography images and digital models. Semin Orthod, 17(2), 49-56, 2011. 

  5. Delong R, Heinzen M, Hodges JS, Ko CC, Douglas WH. Accuracy of a system for creating 3D computer models of dental arches. J Dent Res, 90(1), 434-440, 2003. 

  6. Dental CAD-CAM, Identica Blue Led information, Germany. http: //www.dentalcadcameshop.com/Identica-Blue-Led, 2014. 

  7. Kim JH, Kim JH, Kim HY. A study on common errors in digital impressions: An example of CEREC AC. J Korean Acad Dent Tech, 33(3), 211-218, 2011. 

  8. Lee KT, Kim JH, Kim WC, Kim JH. Threedimensional evaluation on the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dental scanner-based digital models. J Korean Acad Dent Tech, 34(2), 213-220, 2012. 

  9. Luthardt RG, Koch R, Rudolph H, Walter MH. Qualitative computer aided evaluation of dental impressions in vivo. J Dent, 22(4), 69-76, 2006. 

  10. Luthardt RG, Walter MH, Weber A, Koch R, Rudolph H. Clinical parameters influencing the accuracy of 1- and 2- stage impression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t J Prosthodont, 21(4), 322-327, 2008. 

  11. May KB, Russell MM, Razzoog ME, Lang BR. Precision of fit: the Procera AllCeram crown. J Prosthet Dent, 80(2), 394-404, 1993. 

  12. Miyazaki T, Hotta Y, Kunii J, Kuriyama S, Tamaki Y. A review of dental CAD/CAM: 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from 20 years of experience. Dent Mater J, 28(1), 44-56, 2009. 

  13. Motohashi N, Kuroda T. A 3D computer-aided design system applied to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in orthodontics and orthognathic surgery. European J Orthod, 21(3), 263-274, 1999. 

  14. Persson A, Andersson M, Oden A, Sandborgh-Englund G. A three-dimensional evaluation of a scanner and a touch-probe scanner. J Prosthet Dent, 95(3), 194-200, 2006. 

  15. Quimby ML, Vig KW, Rashid RG, Firestone AR.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measurements made on computer-based digital models. Angle Orthod, 74(2), 298-303, 2004. 

  16. Santoro M, Galkin, M. Teredesai, Nicolay OF, Cangialosi TJ. Comparison of measurements made on digital and plaster model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24(1), 101-105, 2003. 

  17. Stevens DR, Flores-Mir C, Nebbe B, Raboud DW, Heo G, Major PW. Validity, reliability, and reproducibility of plaster vs digital study models: comparison of peer assessment rating and Bolton analysis and their constituent measurement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29(2), 794-803, 2006. 

  18. Zilberman O, Huggare JA, Parikakis KA. Evaluation of the validity of tooth size and arch width measurements using conventional and three - dimensional virtual orthodontic models. Angle Orthod, 73(3), 301-306,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