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추, 오이 및 사과 재배 중 살균제 Thiophanate-methyl 살포 시 농작업자의 노출 및 위해 평가
Risk Assessment of Agricultural Worker's Exposure to Fungicide Thiophanate-methyl during Treatment in Green Pepper, Cucumber and Apple Fields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7 no.1, 2014년, pp.73 - 81  

최훈 (Food Contaminants Divisions, Food Safety Evaluation Department,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  김정한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고추, 오이 및 사과 포장에서 thiophanate-methyl 수화제 살포액 조제 시와 동력분무기를 통한 농약 살포 시 농작업자의 노출 및 위해 평가를 수행하였다. 패치, 장갑, 양말, 마스크를 통한 피부노출 측정법과 공기펌프와 고체흡착관을 이용한 호흡노출 측정법을 사용하였으며, 시험 전에 유효성을 모두 검증하였다. 살포액 조제 시, 피부 노출량은 $24.0{\pm}6.7mg$ (고추), $4.5{\pm}1.5mg$ (오이) 및 $18.5{\pm}0.6mg$ (사과)이었으며, 조제액 농약 유효함량 대비 평균 피부 노출수준은 0.007% (고추), 0.001% (오이) 및 0.005% (사과)수준이었다. 조제 시 주요 노출부위는 손으로 전체노출의 78-92%이었다. 농약살포 시, 작업자의 노출량은 $84.9{\pm}14.0mg$ (고추), $34.0{\pm}20.8mg$ (오이) 및 $30.7{\pm}9.1mg$ (사과)으로, 살포된 유효성분 함량 대비 평균 노출비율은 0.024% (고추), 0.016% (오이) 및 0.013% (사과)이었다. 사과포장에서 작업자의 주요 노출부위는 손이었지만 나머지 포장의 경우 주로 허벅지와 정강이에서 노출이 발생하였다. 호흡노출량은 살포액 조제 시 $1.5{\pm}2.2{\mu}g$ (고추), $52.7{\pm}48.9{\mu}g$ (오이) 및 $4.0{\pm}4.9{\mu}g$ (사과)이었던 반면, 농약살포 시 $0.2{\pm}0.1{\mu}g$ (고추), $23.2{\pm}12.4{\mu}g$ (오이) 및 $0.4{\pm}0.6{\mu}g$ (사과)이었다. 피부노출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 작물과의 접촉빈도, 잎 밀도, 살포 습관, 작업 형태, 작업 환경인 반면, 호흡노출의 경우 작업 환경, 특히 바람으로 판단되었다. 위해 평가 결과, 모든 경우에서 안전역이 1이상으로 위해 가능성은 낮았지만, 고추포장에서 농약을 살포할 경우 안전역이 1에 근접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exposure and risk to thiophanate-methyl wettable powder for agricultural worker during mixing/loading and application with power sprayer in green pepper, cucumber and apple fields. Dermal exposure was measured with patches, gloves, socks and masks, while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채소, 과수, 시설재배 등에 널리 사용 되고 있는 살균제 thiophanate-methyl 수화제를 이용하여 고추(밭), 오이(시설) 및 사과(과수원) 포장에서 살포액을 조제하는 경우 및 농약을 살포할 경우 농작업자에게 발생하는 노출량을 측정하여 포장에 따른 농약노출 양상을 비교 평가하였으며, 주요 노출부위를 확인하고, 농약노출에 의해서 농작업자에게 발생될 수 있는 위해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피부노출 측정은 비교적 간단하고 경제적인 패치법을 사용하였고, 호흡노출 측정은 공기펌프와 고체흡착관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추, 오이 및 사과 포장에서 thiophanate-methyl 수화제 살포액 조제 시와 동력분무기를 통한 농약 살포 시 농작업자의 노출 및 위해 평가를 수행하였다. 패치, 장갑, 양말, 마스크를 통한 피부노출 측정법과 공기펌프와 고체흡착관을 이용한 호흡노출 측정법을 사용하였으며, 시험 전에 유효성을 모두 검증하였다.

가설 설정

  • 농약 살포 시 작업복에 오염된 농약은 작업복을 통과하고 다시 피부를 통과하여 사람 내부로 침투되기 때문에 농약 살포시 PDE에 의복 침투율 10%(Choi 등, 2006;Kim 등, 2011)를 곱하여 외적 피부노출량(external dermal exposure, EDE)을 산출한 다음, 피부 침투율 10%(EC, 2005)를 곱하여 내적 피부노출량(internal dermal exposure, IDE)을 계산하였다(Choi 등, 2006; Kim 등, 2011). 살포액 조제의 경우 EDE는 본 연구에 사용된 제재가 분말 형태인 수화제이므로 의복 침투율 1%를 가정하여 산출하였다(Kim et al., 2011). 한편, 호흡노출은 노출량 100%가 폐를 통해 직접 인체 내부로 침투되는 것으로 가정(Oliveira과 Machado-Neto, 2003; Fenske과 Day Jr, 2005; Kim 등, 2012b)하기 때문에 PIE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작업자 농약 노출의 노출경로는 무엇인가? 농민에게서 보고되고 있는 농부증이나, 하우스와 같은 밀폐된 공간에서 작업하는 시설재배 종사자에게서 나타나는 하우스병은 말초신경 질환이나, 피부병, 두통, 호흡곤란, 구토증 등이 나타나는 병증으로 이를 유발하는 요인 중의 한 가지가 농약중독이라고 알려져 있다(Lee 등, 2000). 이와 같은 농작업자의 농약노출은 주로 피부와 호흡을 통해 이루어 지며(Choi 등, 2006) 지속적인 시설재배 면적 및 작목의 증가는 시설 내 폐쇄된 공간에서 농약 노출 위험성을 높이고 있다(KCPA, 2012). 따라서 농약을 살포하고, 살포된 포장에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농작업자들의 실제 작업환경에서 발생하는 농약 노출 및 인체 건강에 대한 위해성 평가 연구는 농약을 보다 안전하고 합리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중요한 분야라 할 수 있다.
농약이 농업에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물질인 이유는? 농약(작물보호제)은 작물의 병해충 및 잡초의 방제를 통한 작물 생산성 및 품질 향상, 노동력 절감을 위해 농업에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물질이지만, 근본적으로 생물 방제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생물적 독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농약을 살포하거나, 농약이 살포된 포장과 시설에서 수확 등의 작업하는 농작업자 들은 농약 살포 중 단시간 집중적인 노출로 인한 급성독성과, 다년간 농약 살포를 통한 장기간 반복 노출에 의한 만성독성이 나타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하우스병의 병징은? 따라서 농약을 살포하거나, 농약이 살포된 포장과 시설에서 수확 등의 작업하는 농작업자 들은 농약 살포 중 단시간 집중적인 노출로 인한 급성독성과, 다년간 농약 살포를 통한 장기간 반복 노출에 의한 만성독성이 나타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농민에게서 보고되고 있는 농부증이나, 하우스와 같은 밀폐된 공간에서 작업하는 시설재배 종사자에게서 나타나는 하우스병은 말초신경 질환이나, 피부병, 두통, 호흡곤란, 구토증 등이 나타나는 병증으로 이를 유발하는 요인 중의 한 가지가 농약중독이라고 알려져 있다(Lee 등, 2000). 이와 같은 농작업자의 농약노출은 주로 피부와 호흡을 통해 이루어 지며(Choi 등, 2006) 지속적인 시설재배 면적 및 작목의 증가는 시설 내 폐쇄된 공간에서 농약 노출 위험성을 높이고 있다(KCPA,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aharuddin MRB, Sahid IB, Noor MABA, Sulaiman N, and Othman F (2011) Pesticide risk assessment: A study on inhalation and dermal exposure to 2,4-D and paraquat among Malaysian paddy farmers. J Environ Sci Health Part B 46, 600-7. 

  2. Byoun JY, Choi H, Moon JK, Park HW, Liu KH, Ihm YB et al. (2005) Risk assessment of human exposure to methidathion during harvest of cucumber in green house. J Toxicol Pub Health 21, 297-301. 

  3. Calumpang SMF and Medina MJB (1996) Applicator exposure to imidacloprid while spraying mangoes. Bull Environ Contam Toxicol 57, 697-704. 

  4. Capri E, Alberici R, Glass CR, Minuto G, and Trevisan M (1999) Potential operator exposure to procymidone in greenhouses. J Agri Food Chem 47, 4443-9. 

  5. Choi H, Moon JK, Liu KH, Park HW, Ihm YB, Park BS et al. (2006) Risk assessment of human exposure to cypermethrin during treatment of mandarin fields. Arch Environ Contam Toxicol 50, 437-42. 

  6. EC (2005) Review report for the active substance thiophanate-methyl finalized in the standing committee on the food chain and animal health at its meeting on 15 February 2005 in view of the inclusion of thiophanate-methyl in Annex I of directive 91/414/EEC. European Commission, Belgium. 

  7. Fenske RA and Day Jr EW (2005) Assessment of exposure for pesticide handlers in agricultural, residenti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In Occupational and residential exposure assessment for pesticides, Franklin CA and Worgan JP (eds), John Wiley & Sons, Inc., 11-43,Westsussex, UK. 

  8. Franklin CA (1985) Occupational exposure to pesticides and its role in risk assessment procedures used in Canada. In Dermal exposure related to pesticide use, Honeycutt RC, Zweig G, and Ragsdale NN (eds), American Chemistry Society 273, 429-44, USA. 

  9. Garrod ANI, Rimmer DA, Robertshaw L, and Jones T (1998) Occupational exposure through spraying remedial pesticides. Ann Occup Hyg 42, 159-65. 

  10. KCPA (2012) Agrochemical year book.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Korea. 

  11. Kim E, Lee H, Choi H, Moon JK, Hong S, Jeong M et al. (2011) Methodology for quantitative monitoring of agricultural worker exposure to pesticides. Korean J Pest Sci 15, 507-28. 

  12. Kim E, Lee H, Hong S, Park KH, An X, and Kim JH (2012a) Comparative exposure of operators to fenthion during treatment in paddy field.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5, 827-30. 

  13. Kim E, Moon JK, Choi H, Hong SM, Lee DH, Lee H et al. (2012b) Exposure and risk assessment of insecticide methomyl for applicator during treatment on apple orchard.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5, 95-100. 

  14. Kim E, Moon JK, Lee H, Kim S, Hwang YJ, Kim BJ et al. (2013) Exposure and risk assessment of operators to insecticide acetamiprid during treatment on apple orchard. Kor J Hort Sci Technol 31, 239-45. 

  15. Kim JH, Kim K, and Lee HG (1998) Measurement of human exposure to pesticide. AgroBiotech 5, 72-6. 

  16. Krieger RI (1995) Pesticide exposure assessment. Toxicol Lett 82, 65-72. 

  17. Krieger RI, Ross JH, and Thingsinthusak T (1992) Assessing human exposure to pesticides. Rev Environ Contam Toxicol 128, 1-15. 

  18. Lee KM, Min SY, and Chung MH (2000) A study on the health effects of pesticide exposure among farmers. Korean J Rural Med 25, 245-63. 

  19. Lewis RG (1976) Sampling and analysis of airborne pesticides. In Air pollution from pesticides and agricultural processes, Lee Jr RE (ed.), pp. 51-94. CRC Press, USA. 

  20. Linch AL (1974) In Evaluation of ambient air quality by personnel monitoring. CRC Press, USA. 

  21. Liu KH, Kim CS, and Kim JH (2003) Human exposure assessment to mancozeb during treatment of mandarin fields. Bull Environ Contam Toxicol 70, 336-42. 

  22. Machado-Neto JG (2001) Determination of safe work time and exposure control need for pesticide applicators. Bull Environ Contam Toxicol 67, 20-6. 

  23. Machera K, Goumenou M, Kapetanakis E, Kalamarakis A, and Glass CR (2003) Determination of potential dermal and inhalation operator exposure to malathion in greenhouses with the whole body dosimetry method. Ann Occup Hyg 47, 61-70. 

  24. Machera K, Kapetanakis E, Charistou A, Goumenaki E, and Glass RC (2002) Evaluation of potential dermal exposure of pesticide spray operators in greenhouses by use of visible tracers. J Environ Sci Health B 37, 113-21. 

  25. MHW (2009) Korea health statistics 200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26. MHW (2010) Korea health statistics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27. MHW (2011)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28. Moon JK, Park S, Kim E, Lee H, and Kim JH (2013) Risk assessment of the exposure of insecticide operators to fenvalerate during treatment in apple orchards. J Agri Food Chem 61, 307-11. 

  29. OECD (1997) Guidance document for the conduct of studies of occupational exposure to pesticides during agricultural application (Series on testing and assessment No. 9).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France. 

  30. Oliveira ML and Machado-Neto JG (2003) Use of manganese as tracer in the determination of respiratory exposure and relative importance of exposure routes in the safety of pesticide applicators in citrus orchards. Bull Environ Contam Toxicol 70, 415-21. 

  31. Ramos LM, Querejeta GA, Flores AP, Hughes EA, Zalts A, and Montserrat JM (2010) Potential dermal exposure in greenhouses for manual sprayers: analysis of the mix/load, application and re-entry stages. Sci Total Environ 408, 4062-8. 

  32. Ross JH, Driver JH, Cochran RC, Thongsinthusak T, and Krieger RI (2001) Could pesticide toxicology studies be more relevant to occupational risk assessment? J Occup Hyg 45, S5-17. 

  33. Stamper JH, Nigg HN, Mahon WD, and Nielsen AP (1988) Pesticide exposure to greenhouse foggers. Chemosphere 17, 1007-23. 

  34. Tomlin C (2009) In The pesticide manual (15th ed).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UK. 

  35. Tsakirakis A, Kasiotis KM, Arapaki N, Charistou A, Tsatsakis A, Glass CR et al. (2011) Determination of operator exposure levels to insecticide during bait applications in olive trees: Study of coverall performance and duration of application. Int J Hyg Environ Health 214, 71-8. 

  36. US EPA (1996) Occupational and residential exposure test guidelines (OPPTS 875. 1000, EPA 712-C-96-261),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A. 

  37. Vidal JLM, Gonzalez FJE, Frenich AG, Galera MM, Aguilera PA, and Carrique EL (2002) Assessment of relevant factors and relationships concerning human dermal exposure to pesticides in greenhouse applications. Pest Manag Sci 58, 784-90. 

  38. Wolfe HR, Durham WF, and Armstrong JF (1967) Exposures of workers to pesticides. Arch Environ Health 14, 622-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