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기의 부모감독 변화에 대한 부모애착의 효과
Effects of Adolescents' Attachment to Their Parents on the Longitudinal Changes in Parental Monitoring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2 no.1 = no.127, 2014년, pp.1 - 12  

정윤주 (Department of Consumer and Child Studie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1) whether the level of parental monitoring changes during adolescence; (2) if it changes, what is the pattern of the change; and (3) whether the effects of adolescents' attachment to their parents on parental monitoring are dependent on time. Six waves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녀의 자기개방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부모감독이 적절히 이루어지는 데 기여할 예측변수로 부모애착을 설정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부모애착은 부모라는 중요한 대상에 대해 느끼는 강한 정서적 유대감(Bowlby, 1969)으로서 영아기에 경험한 부모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며 그 이후에도 정신적 표상으로서 지속된다(Hazan & Shaver, 1994).
  • 한편 부모감독의 변화율에는 유의미한 개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개인차가 어디에 기인하는지를 설명하는 변수로서 부모애착을 선정하여 그 효과가 시간 의존적인지 시간 독립적인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시간의존적 효과 모형과 시간독립적 효과 모형 모두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는데 그 중에서도 시간의존적 효과 모형이 더욱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을 요약하면, 청소년기에는 부모자녀관계에 변화가 일어나면서 부모감독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청소년기의 부모감독에 종단적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며, 변화가 있다면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 지를 살펴보고, 부모감독이 청소년기에 변화하는 과정에서 부모애착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시간의존적 효과 모형과 시간독립적 효과 모형을 추정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6회의 반복측정을 통해 종단적으로 수집된 한국청소년패널의 중2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중학교 2학년부터 대학교 1학년까지 부모감독이 변화하는 경향을 파악하고 이에 대해 부모애착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잠재성장모형을 추정하여 알아보았다.
  • 이처럼 청소년기에는 부모자녀관계에 전반적인 변화가 나타나며 부모애착은 여전히 중요하되 표현방식이 변화되므로 부모애착이 청소년기 시기에 따라 부모감독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부모감독에 대한 부모애착의 효과가 시기에 따라 다르다고 가정하는 시간의존적 효과 모형(time-dependent effect model)과 시기에 따라 다르지 않다고 가정하는 시간독립적 효과 모형(time-independent effect model)을 추정하여 비교함으로써 청소년기 부모애착이 부모감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 부모감독이 중요한 만큼 효과적인 부모감독에 영향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는 것은 청소년들이 적절한 부모감독에 의해 건강하게 발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필요한 조건들을 알아내는 과정으로서 의미가 크다. 이에 따라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자녀에 대한 부모감독에 영향 미치는 변수로서 부모애착을 선정하여 부모애착이 부모감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청소년기는 자율성 발달과 심리적 독립이라는 발달과업을 성취해가는 과정에서 부모와의 관계가 변화되고 이와 관련하여 부모감독에도 변화가 일어나게 되는 전환적 시기라는 점에(Steinberg & Silk, 2003) 주목하여 청소년기 동안 부모감독이 변화되는 경향을 종단적 자료를 통해 살펴보고 예측변수로서 부모애착을 설정하여 이것이 부모감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이와 같이 청소년기 부모애착은 아동기에서 와는 다른 의미를 지니며 표현되는 방식도 다르지만 중요성은 유지된다. 특히 부모애착의 질이 청소년과 부모와의 상호 작용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은 부모감독에 대한 예측하는 변수로 부모애착을 살펴보는 본 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즉 청소년기 부모감독은 부모가 자녀의 일상에 대해 정보를 제공하는 협조가 중요하기 때문에 부모애착의 질은 부모감독에 대한 예측변수로서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 특히 청소년기는 자율성 발달과 심리적 독립이라는 발달과업을 성취해가는 과정에서 부모와의 관계가 변화되고 이와 관련하여 부모감독에도 변화가 일어나게 되는 전환적 시기라는 점에(Steinberg & Silk, 2003) 주목하여 청소년기 동안 부모감독이 변화되는 경향을 종단적 자료를 통해 살펴보고 예측변수로서 부모애착을 설정하여 이것이 부모감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 자녀에 대한 부모감독은 청소년의 자기개방, 부모의 질문, 부모의 통제라는 세 가지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청소년 자녀에 대한 부모감독은 청소년의 자기개방, 부모의 질문, 부모의 통제라는 세 가지 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Sttatin & Kerr, 2000). 청소년의 자기개방은 청소년 스스로 자신의 생활에 대해 부모에게 알리는 것이고, 부모의 질문은 청소년의 생활에 대하여 부모가 적극적으로 질문하고 대화를 시작하는 것이며, 부모의 통제는 청소년이 어디에 가고 누구와 함께 있으며 무엇을 할 것인지에 대해 부모에게 알리고 허락받아야 한다는 것과 허락받지 않은 행동을 했다면 거기에 대해 설명해야 한다는 규칙을 부모가 설정하고 지키게 하는 것이다. 청소년 자녀에 대한 부모감독은 이처럼 부모가 자녀의 행동을 관찰하고 감시하며 추적하는 등 부모의 일방적인 행동에 의해 이루어지기 보다는 자녀가 자발적으로 자신의 생활에 대해 부모에게 말하거나 부모가 자녀의 생활에 대해 묻고 대화를 시작했을 때 응하거나 부모가 정한 규칙에 따라 자신의 생활과 활동에 대해 부모에게 알리는 등 자녀가 자신의 일상에 대해 정보를 제공해야 가능하다.
부모감독과 청소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새로운 관점에서 다시 해석하게 된 이유는? 한편 부모감독을 연구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 었던 부모감독 척도의 항목들이 부모의 감독행동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부모감독의 결과라고 할 수 있는 부모지식(parental knowledge), 즉 부모가 자녀의 일상에 대해 알고있는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라는 지적이 있었고(Sttatin & Kerr, 2000) 이에 따라 부모감독과 청소년의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의 결과들을 새로운 관점에서 다시 해석하게 되었다(Hamza, & Willoughby, 2011; Kerr, Stattin, & Burk, 2010). 이를 통해 부모의 직접적인 감독행동보다는 자녀의 자기개방에 의해 형성되는 부모지식이 청소년의 적응과 문제행동 예방에 더욱 중요하게 작용하는 부모감독 요인이라는 점이 알려지게 되었다.
자녀가 성장함에 따라 부모감독이 직접적인 방법으로 이루지기 어렵게 되는 이유는? 그러나 자녀가 성장함에 따라 부모감독은 직접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지기 어렵게 된다. 자신의 생활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이 커지고 학업과 또래관계 활동의 비중이 증가하게 된 청소년기 자녀는 많은 시간을 부모와 떨어져 보내게 되므로 이들에 대한 부모감독은 간접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llen, J. P., McElhaney, K. B., Kuperminc, G. P., & Jodl, K. M. (2004). stability and change in attachment security across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75(6), 1792-1805. 

  2. Allen, J. P., Porter, M. R., McFarland, F. C., McElhaney, K. B., & Marsh, P. A. (2007). The relation of attachment security to adolescents' paternal and peer relationships, depression, and externalizing behavior. Child Development, 78(4), 1222-1239. 

  3. Barrett, P. M., & Holmes, J. (2001). Attachment relationships as predictors of cognitive interpretation and response bias in late adolescence.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10(1), 51-64. 

  4. Bowlby, J. (1969). Attachment. Vol. 1: Attachment and loss. New York: Basic Books. 

  5.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 136-162). Beverly Hills, CA: Sage 

  6. Carlivati, J., & Collins, W. A. (2007). Adolescent attachment representations and development in a risk sample. In M. Scharf & O. Mayseless (Eds.), Attachment in adolescence.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117, 91-106. 

  7. Cho, H. C., & Yoon, M. S. (2010) A Longitudinal study of Reciprocal relation between Parental Monitoring and Adolescent Drinking.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7(12), 259-285. 

  8. Collins, W. A. (1995). Relationships and development: Family adaptation to individual change. In S. Shulman (Ed.), Close relationships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pp.128-154). New York: Ablex. 

  9. Crouter, A., & Head, M. (2002). Parental monitoring and knowledge of children. In M. H. Bornstein (Ed.), Handbook of parenting: Vol. 3. Being and becoming a parent (2nd ed., pp. 461-483). Mahwah, NJ: Erlbaum. 

  10. Darling, N., Cumsille, P., Caldwell, L., Dowdy, B. (2006). Predictors of adolescents' disclosure to parents and perceived parental knowledge: Between- and within-person difference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5(4), 667-678. 

  11. Dishion, T. J., & McMahon, R. J. (1998). Parental monitoring and the prevention of child and adolescent problem behavior: A conceptual and empirical formulation. Clinical Child and Family Psychology Review, 1(1), 61-75. 

  12. Dishion, T. J., Nelson, S. E., & Kavanagh, K. (2003). The Family Check-Up with high-risk young adolescents: Preventing early-onset substance use by parent monitoring. Behavior Therapy, 34(4), 553-571. 

  13. Fletcher, A. C., Steinberg, L., & Williams-Wheeler, M. (2004). Parental influences on adolescent problem behavior: Revisiting Sttatin and Kerr. Child Development, 75(3), 781-796. 

  14. Guilamo-Ramos, V., Jaccard, J., & Dittus, P. (2010). Expert perspectives on parental monitoring. In V. Guilamo-Ramos, J. Jaccard, & P. Dittus (Eds.), Parental monitoring of adolescents: Current perspectives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pp. 205-265).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5. Hamza, C., & Willoughby, T. (2011). Perceived parental monitoring, adolescent disclosure, and adolescent depressive symptomology: A longitudinal examinatio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40(7), 902-915. 

  16. Hazan, C., & Shaver, P. R. (1994). Attachment as an organizational framework for research on close relationships. Psychological Inquiry, 5(1), 1-22. 

  17. Hu, L.-T., & Bentler, P. (1995). Evaluating model fit.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76-99). London: Sage. 

  18. Keijsers, L., Branje, S. J. T., & Meeus, W. (2009). Developmental links of adolescent disclosure, parental solicitation, parental control, adolescent disclosure, and adolescent delinquency.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20(1), 88-113. 

  19. Kerr, M., Stattin, H., & Burk, W. J. (2010). A reinterpretation of parental monitoring in longitudinal perspective.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20(1), 39-64. 

  20. Kim, H. H. (2009). The relationships between autonomy and adjustment in early adolescenc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affective parenting.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6(7), 127-147. 

  21. Kim, H.-M., & Lim, E.-M. (2012). The effect of parentchild relation on the youths' vocational value change.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5(4), 57-73. 

  22. Kobak, R. R., & Duemmler, S. (1994). Attachment and conversation: Toward a discourse analysis of adolescent and adult security. In K. Bartholomew & D. Perlman (Eds.), Advances in personal relationships: Vol. 5. Attachment processes in adulthood (pp. 121-149). London: Jessica Kingsley. 

  23. Laird, R. D., Marrero, M. D., & Sherwood, J. K. (2010). Developmental and interactional antecedents of monitoring in early adolescence. Parental monitoring of adolescents. In V. Guilamo-Ramos, J. Jaccard, & P. Dittus (Eds.), Parental monitoring of adolescents: Current perspectives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pp. 39-66).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4. Laird, R. D., Criss, M. M., Pettit, G. S., Bates, J. E., & Dodge, K. A. (2009). Developmental trajectories and antecedents of distal parental supervision.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29(2), 258-284. 

  25. Laird, R. D., Pettit, G. S., Bates, J. E., & Dodge, K. A. (2003). Parents' monitoring-relevant knowledge and adolescents' delinquent behavior: Evidence of correlated developmental changes and reciprocal influences. Child Development, 74(3), 752-768. 

  26. Laursen, B., & Collins, W. A. (2009). Parent-child relationships during adolescence. In R. M. Lerner & L. Steinberg (Eds.), Handbook of adolescent psychology: Vol. 2. Contextual influences on adolescent development (3rd ed., pp. 3-42). New York: Wiley. 

  27. Lee, S. A. (2009). Influence of family resources and parents' caring attitudes on an adolescents' school record.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4(1), 5-24. 

  2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International comparison on everyday liv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Government Publication No. 11-1351000-000305-01). Seoul, Korea. 

  29. Park, J. K., & H. S., Doh (2001). The effects of maternal monitoring and information sources of maternal knowledge on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s of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39(12), 129-140. 

  30. Racz, S. J., & McMahon, R. J.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knowledge and monitoring and child and adolescent conduct problems: A 10-year update. Clinical Child and Family Psychology Review, 14(4), 377-398. 

  31. Smetana, J. (1988). Adolescents' and parents' conceptions of parental authority. Child Development, 59(2), 321-335. 

  32. Smetana, J. G., Metzger, A., Gettman, D. C., & Campione-Barr, N. (2006). Disclosure and secrecy in adolescent-parent relationships. Child Development, 77(1), 201-217. 

  33. Soenens, B., Vansteenkiste, M., Luyckx, K., & Goossens, L. (2006). Parenting and adolescent problem behavior: An integrated model with adolescent selfdisclosure and perceived parental knowledge as intervening variables. Developmental Psychology, 42(2), 305-318. 

  34. Sohn, B. Y., Kim, S. J., Park, J. A., & Kim, Y. H. (2012). The effects of desirable parenting attitudes upon life satisfaction in early adolescence: The mediating effects of school adjustment and ego-resilience and multiple group analysis across gender. Studies on Korean Youth, 64(2), 149-173. 

  35. Stattin, H., & Kerr, M. (2000). Parental monitoring: A reinterpretation. Child Development, 71(4), 1072-1085. 

  36. Steinberg, L. (1990). Interdependency in the family: Autonomy, conflict, and harmony in the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In S. S. Feldman & G. Elliott (Eds.), At the threshold: The developing adolescent (pp. 255-276).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7. Steinberg, L. (2011). Adolescence (9th ed.). New York: Mc-Graw-Hill 

  38. Steinberg, L., & Silk, J. S. (2002). Parenting adolescents. In M. H. Bornstein (Ed.), Handbook of parenting: Vol. 1. Children and parenting (2nd ed., pp. 103-134). Mahwah, NJ: Erlbaum. 

  39. Vieno, A., Nation, M., Pastore, M., & Santinello, M. (2009). Parenting and antisocial behavior: A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self-disclosure, parental closeness, parental control, and adolescent antisocial behavior. Developmental Psychology, 45(6), 1509-1519. 

  40. Willoughby, T., & Hamza, C. A. (2011). A longitudinal examination ot the bidirectional associations among perceived parenting behaviors, adolescent disclosure and problem behavior across the high school year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40(4), 463-478. 

  41. Youniss, J., & Smollar, J. (1985). Adolescent relations with mothers, fathers, and friend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