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궁중 장식화의 채색 분석과 장황 고찰
A study in pigment analysis and original mounting of the decorative painting at court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0 no.1, 2014년, pp.39 - 53  

안지윤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김수연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천주현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궁중장식화는 궁궐의 안팎을 장식했던 것으로 실용적이고 기능적인 역할을 하였다. 특히 일월오봉도와 해반도도는 왕의 권위와 수복을 기원하여 제작된 대표적인 궁중장식화 이다. 그러나 현존하는 일월오악도와 해반도도 중 19세기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명확한 제작시기와 배설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없다. 이러한 점에서 최근 공개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일월오봉도와 해반도도는 보존과학적인 연구를 통해 그 제작시기와 배설위치 그리고 제작기법 등을 확인하게 된 것으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복원과정에서 확인한 2곡병 형태의 양면 장황과 장자문의 귀갑창은 지금까지 궁중장식화에서 보고되지 않았던 첫 연구 사례이다. 또 원형 장황 복원에 의한 실측과 현존하는 궁궐 건축물의 대조 그리고 의궤 자료의 조사 등으로 창경궁영건도감의궤(1834년)에 기록된 함인정에 배설되었던 것임을 밝혀냄으로 19세기 초반의 일월오봉도와 해반도도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corative painting at court was practical and functional role by decorated the inside and outside of palace. Especially, the type of the Painting of sun, moon and five peaks and Heavenly peach were the one of representative decorative paintings, produced for authority of king and longevity wis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7) 등으로 안료 분석 외에는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새롭게 공개된 궁중장식화인 일월오봉도와 해반도도의 문헌 조사와 과학적 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던 채색 안료 및 기법, 장황 형식과 용도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궁궐장식화에는 몇 가지의 채색 안료가 사용되는가? 궁궐장식화의 채색에는 조선시대 의궤 기록에 대한 선행연구자의 연구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실제 그렇게 많은 채색 안료가 사용된 것은 아니었다. 실제 이번 연구에서도 석채 안료를 기본으로 적색, 녹색, 청색, 황색, 백색, 금색, 흑색의 7가지 계열의 색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반도도에서는 적색부분에 부분적으로 유기안료인 연지의 사용을 추정할 수 있었으며, 견본채색의 일월오봉도(A)와 해반도도(C)는 견본회화의 특성상 전채법과 배채법이 모두 사용되었다.
궁중장식화는 무엇인가? 궁중장식화는 궁궐의 안팎을 장식했던 그림을 말한다. 의궤도와 궁중기록화가 기록과 보존에 치중한다면, 궁중 장식화는 실용적이고 기능적인 역할을 하는 그림이다.
조선시대 궁궐은 어떤 공간인가? 의궤도와 궁중기록화가 기록과 보존에 치중한다면, 궁중 장식화는 실용적이고 기능적인 역할을 하는 그림이다. 조선시대 궁궐은 왕과 왕 가족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거처 임과 동시에 왕이 통치권자로서 신료들과 국정을 논하는 공간이었다. 지극히 개인적이고 폐쇄적이면서도 최고의 권위와 공적인 개방성이 공존하는 곳이다(P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Han, M.S. and Hong, J.O., 2005, A scientific analysis of pigment for the Ilweoloakd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6, 165-1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Kim, H.J., 2003, A study on formative beauty of the palace latticework design in Chosun dynasty. Master's Thesis in Kyunghee University, 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Kim, K.H., Song, Y.N., Lim, D.S. and Song, J.J., 2007, The Nondestructive Analysis of the Pigments on the Korean 12-fold screen, Haehakbando-d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8, 122-1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Lee, S.H., 2008, Color of traditional painting. Gyul Press, 17-19. (in Korean) 

  5. Moon, D.S., 2013, Agelessness and wish a longlife in fairyland, Taoist Culture in Korea: The Road to Happiness. National Museum of Korea, 265. (in Korean) 

  6. Moon, S.Y., 2009, Pigments applied on documentary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Seoul Museum of History, 36. (in Korean) 

  7. Myeong, S.N., 2007, The five peaks screen of the Chosen Dynasty. Master's Thesis in Ewha Womans University, 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Office of Research Affairs, Sejong University, 2008, Study of architecture environment control technology of Korean Traditional Palace for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building construction techniques. Report 08F012Y-00110-2008,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79. (in Korean) 

  9. Park, J.H., Yoon, J.Y., Hwang, J.Y. and Kang, M.G., 2011, Painting of king and nation. Dolbegae, 136. (in Korean) 

  10. Shin, H.O., 2008, The study on the color pigment materials of Chosun dynasty(Based on the Euiguei's record of the color pigment materials). Master's Thesis in Yongin University, 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Yeonggeon Uigwe Research institute, 2010, Yeonggeon Uigwe. Dongnyok Press, 388. (in Korean) 

  12. Yu, H.J., 2012, A study on the screen of sun, moon and five peaks in the Joseon dynasty. Master's Thesis in Sungkyunkwan University, 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