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족자 장황에 사용된 고리의 재료 및 제작기법 연구
A Study of Material and Production Technique of Scroll Painting Ring in Joseon 원문보기

박물관보존과학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v.16, 2015년, pp.56 - 81  

장연희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윤은영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권윤미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김수연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족자 고리는 끈이나 유소를 고정시켜 걸 수 있도록 하는 장황 부속품으로 형태가 다양하며 여러 금속재를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현재 전통 형식의 고리는 대부분 개장으로 인해 유실되었으며, 일본식 고리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전통 족자 19점을 대상으로 고리의 형태와 제작기법, 성분을 조사하여 옛 형태를 복원해 보고자 하였다. 의궤 내용에서 고리는 원환(圓環), 국화동(菊花童), 배목(排目) 등 고유의 명칭으로 기록되어 있다. 휴대용 엑스선 형광분석기(portable X-ray fluorescence, Artax, Rontec)로 성분을 분석한 결과, 전통 형식의 고리는 황동, 철, 은-구리합금 등 다양한 금속재로 확인되었다. 구리와 아연이 주성분인 황동은 17점 족자 고리에 사용되었다. 전 윤시달 초상(신2339)의 배목에서는 철을 사용하였으며, 주석-납 합금으로 도금하였다. 이서구 초상(신1065)에서는 고리 전체가 은-구리합금으로 제작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광학현미경(Leica, M205A)으로 제작 방법을 조사한 결과 원환은 금속봉을 절단한 뒤 둥글게 휘어 만든 유형과 주조로 제작된 유형으로 확인되었다. 배목은 주조한 합금으로 봉재나 판재를 만들고 다시 단조과정을 거쳐 제작하였고, 배목장식은 금속판재를 잘라 형태를 만든 후 축조와 타출기법 등으로 무늬를 새겨 장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ing in the scroll painting is one of the mounting elements which are fixed string and tassel to hang, these differ widely in shape and produce a variety of metals. Most traditional shapes of ring have been lost, because of remount, there are used Japanese style rings in present.Therefore, this stu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19점의 족자 고리 형태 및 성분분석을 바탕으로 제작기법을 연구하여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옛 형태를 복원하여 보존처리 시 실제 유물에 직접 사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보고자 한다.
  • 그림 내용은 초상화 18점, 지도 1점이고 시대 분포는 조선 17세기 초~19세기까지로 다양하다. 이를 바탕으로 시대별, 형태별 특성에 따른 고리의 유형을 구분해 보고자 한다. 전 윤시달 초상(신2339)의 경우 개장의 흔적은 보이나 조선 후대 수리된 것으로 추측되었기에 이번 고리 조사 연구에 선정하게 되었다[1,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시대 의궤에서 표현하고 있는 족자 고리의 세부명칭은 무엇인가? 조선시대 의궤에는 족자의 각 부속품의 명칭과 크기, 사용된 재료에 대하여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고리의 세부명칭은 원환(圓環), 국화동(菊花童), 배목(排目)으로 표현되어 있다. 끈이 묶이는 고리를 원환, 원환을 연결하여 나무상축에고정하는 못을 배목, 배목 머리 부분을 꾸미는 국화꽃 모양의 배목장식은 국화동이라 지칭하였다 (도1).
족자는 어떻게 제작하는가? 장황(粧 )이란 옛 그림의 감상 및 보관의 편리성을 위해 그림을 꾸며주는 일이며, 족자는 그림을 걸어서 감상하는 형식이다. 족자는 본 그림 가장자리에 비단 또는 종이를 이어 붙이고, 수회 배접하여 건조시킨 후, 상·하축과 고리를 연결하여 제작한다.
유소 결구에 있어서 배목고리형의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는 이유는? 그러나 배목고리형의 경우, 배목 머리 부분의 크기가 매우 작아 끈을 끼운 후 술을 연결하였다. 우선 유소 끈의 두께를 배목 머리 크기에 알맞게 제작하고, 유소를 배목머리에 끼운 후 배목을 상축에 장착하거나, 상축에 장착된 배목에 유소 끈을 끼운 후 술 부분은 따로 끼워 넣어야하기 때문에 작업이 복잡하고 효율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원환고리형이 배목고리형보다 더 많이 제작된 것은 장착의 편의성 때문인 것으로 추측되며, 결과적으로 원환이 유소의 탈부착 편의성을 위해 존재한다는 추정도 해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