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유수용성촉진법을 이용한 호흡운동이 경수 손상환자의 호흡기능에 미치는 영향 : 증례보고
Using the PNF Approach to Improve Respiratory Function in Patients with Cervical Spinal Cord Injuries 원문보기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지 = Journal of Kore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ssociation, v.12 no.2, 2014년, pp.115 - 121  

송귀빈 (대구 남산병원 물리치료실) ,  김정빈 (대구 남산병원 물리치료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NF direct and indirect breathing treatments for patients with cervical spinal cord injuries who had breathing problems. Methods: For each cervical spinal cord patient, force vital capacity (FVC), peak expiratory flow, maximum phonation time (MP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특별한 호흡운동을 하고 있지 않는 만성군의 경수 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할 뿐 아니라, 호흡 능력을 평가하고 호흡 운동을 적용하여 환자분의 호흡 능력과 호흡 곤란 척도에 변화가 있는지 파악할 것이다.
  • 손상 후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초기에 비해 호흡 기능은 상대적으로 향상되지만, 효율적인 호흡이 이루어지지 않고, 더 이상의 기능이 향상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특별한 치료 전략이 필요하다(McMichan et al, 1980). 따라서 호흡재활치료의 효율적이고 적절한 치료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본 연구가 실시되었다.

가설 설정

  • 연구의 대상자수가 적어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제한이 있었다. 둘째, 본 연구의 대상자의 일상생활을 제한하기가 어려웠다는 것이다. 앞으로는 다수의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다양한 기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척수 손상은 무엇을 유발하게 되는가? 척수 손상은 전신의 근마비, 강직 등이 발생하여 운동기능 또는 감각기능을 전부 혹은 부분적으로 상실하게 된다(Lee et al, 1990). 이로 인해 척수 손상 환자의 호흡기계 합병증의 발생률(67%)과 이로 인한 사망률은 아직도 높게 나타나고(BEC, 2007), 특히, 경수 척수 손상환자 특히 C5또는 그 이상의 환자들의 80% 이상에게서 무기폐와 폐렴 같은 호흡기계 합병증이나 호흡부전 같은 호흡장애가 나타나게 된다(Claxton et al, 1998; Ehrlich et al, 1999).
경수 손상 환자의 호흡기계 합병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폐기능을 향상시켜주는 호흡재활운동이 적극적으로 시행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호흡은 환기 시스템의 필수적인 부분인 폐가 둘러싸고 있는 공기와 혈액 사이의 교환 역할을 하며 호흡근과 그들의 신경학적 조절에 의해 이루어진다(Bach et al, 1993). 척수손상 환자는 손상 부위에 따라 횡격막과 내 늑간근, 보조 호흡근, 복근 등 호흡과 관련된 근육의 마비를 보이며(Ehrlich et al, 1999), 이로 인해 환기 장애(ventilatory)를 보인다. 호흡 기계 합병증의 주요한 원인은 기도 내 분비물의 부적절한 제거로 인하여 나타나며, 이는 호흡근의 마비로 인하여 흉곽 내압과 복압이 낮아서 기도 내 분비물을 제거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최대기침유량(Peak Cough Flow; PCF)을 생성하지 못하기 때문이다(Bach et al, 1993).
후천적 척수 장애인의 발생률을 증가시키는것은 무엇인가? 자동차 문화의 급속한 확산에 따른 교통사고, 산업현장에서의 안전사고로 인한 산업 재해, 스포츠 상해, 각종 폭력 사고 등과 같은 예기치 못한 각종 사고는 후천적 척수 장애인의 발생률을 증가시킨다(Park etal,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