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수 손상 환자에게 공기 누적 운동을 이용한 호흡 재활의 효과
The Efficacy of Pulmonary Rehabilitation Using Air Stacking Exercise in Cervical Cord Injured Patients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5 no.4, 2010년, pp.597 - 604  

김명권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조미숙 (나사렛대학교 물리치료과) ,  황보각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ir stacking exercise on respiratory ability of patients with cervical cord injury.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patients with cervical cord injury were randomly placed in an experimental group(n=15) and a control group(n=15), respe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수 손상 환자는 호기에 작용하는 복부 근육과 늑간 근육은 마비된 상태이지만, 대흉근의 작용으로 비록 정상보다는 작지만 호기 예비 용량을 유지할수 있다. 경수 손상 환자의 폐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4주 이상 호흡 재활 치료를 실시하여야 효과가 크다고 하여(편성범 등 1994), 본 연구에서도 4주 동안 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폐 기능 향상이 나타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 하지만 경수 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공기누적운동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아직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경수 손상 환자 스스로 최대 한의 공기를 흡기하게 한 후 도수 소생기로 수동적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폐를 최대한 팽창시키는 흡기 보조 운동인 공기누적운동을 지속적으로 시행한 후 폐활량, 최대 주입 용량과 최대 기침 유량 증가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경수 손상 환자의 호흡 기능 향상을 위해 공기 누적운동을 적용하였을 때 폐활량, 최대 주입 용량과 최대 기침 유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경수 손상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주 5회 4주 동안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시킨 후 폐 기능 변화를 알아보았다. 공기 누적 운동을 시행한 군의 폐 기능 변화를 본 결과 노력 성 폐활량(FVC), 1초간 노력성호기량(FEV1), 최대 주입용량(MIC), 비 보조 최대 기침유량(UPCF), 보조 최대 기침유량(APCF)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공기 누적 운동 군이 대조군에 비해 1초간 노력성 호기량(FEV1), 노력 성 폐활량(FVC), 최대 주입용량(MIC), 보조 최대 기침유량(APCF)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또한 최대 주입 용량이 클수록 환자의 기침 능력이 증가하게 되므로, 최대 주입 용량을 증가시킬수록 환자의 기침능력을 증가 시킬 수 있다(Bach, 1993).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입원한 경수 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공기누적운동을 적용한 후 폐활량, 최대 주입용량, 기침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효과적인 치료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 이번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침의 역할은 무엇인가? 기침은 생체의 중요한 방어기전의 하나로 기도 내로 흡입된 이물질이나 과도한 기도분비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정상인들은 감기와 같은 호흡기계 감염에 의해 호흡기내 분비물이 발생하면 기침을 통해 분비물을 배출시켜 폐렴 등의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Bach와 Saporito, 1996).
보조 기침 시 효율 적으로 기침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호기 근 보조와 더불어 기침 이전에 충분한 공기를 흡기할 수 있도록 흡기 보조를 해주어야하는 이유는? 3L의 공기가 흡인되어야 하며, 호기 근의 수축을 위해 흉복 강의 압력이 200cmH2O 이상 증가되어야 한다(Irwin 등, 1998). 현재까지 기침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많은 방법들이 사용되어 왔으나 주로 호기 근 약화를 보조하기 위한 방법들이었다. 흡기 능력이 저하되어 기침 전 흡입공기량이 적은 환자에서는 호기 보조만 하는 것으로는 기침을 효율적으로 보조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보조 기침 시 효율 적으로 기침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호기 근 보조와 더불어 기침 이전에 충분한 공기를 흡기할 수 있도록 흡기 보조를 해주어야 한다(Bach, 1993; Kang과 Bach 2000; Kirby와 Narnerias, 1966).
재활의학과 입원치료가 필요한 환자가 증가하는 이유는? 현대 사회는 지속적인 경제 성장과 더불어 의학이 발달함에 따라 뇌혈관 질환, 외상에 의한 뇌손상 및 척수손상환자들의 급성 기 생존율이 높아지면서 재활의학과 입원치료가 필요한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다(보건복지부, 2005). 척수손상의 발생 빈도를 보면, 남성의 발생률이 여성에 비해 4배가 많으며, 호발연령은 사회적 활동과 생산성이 높은 시기의 청· 장년층인 16~30세가 6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강성웅, 조동희, 이상철 등. 신경근육계 질환에서 공기누적운동의 임상적 의의. 대한재활의학회지. 2007; 31(3):346-50. 

  2. 강창희, 박영옥, 김동은. 만성 척수 손상 환자의 호흡능력 조사. 대한재활의학회. 1984;8(2):161-8. 

  3. 보건복지부. 2004 보건복지백서. 보건복지부. 2005. 

  4. 박창일, 신지철, 강성우 등. 경수 손상 환자에게 Mechanical In-Exsufflator를 이용한 호흡 재활 치료의 효과. 대한재활의학회. 2002;26(4):403-8. 

  5. 서문자, 강현숙, 임난영. 재활간호.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2003. 

  6. 이충휘, 권오윤, 신헌석. 심호흡계 물리치료학. 서울. 탑메디오피아. 2009;154. 

  7. 조남옥, 박수원, 김금순 등. 호흡재활훈련이 경수손상환자의 호흡기능에 미치는 효과. 재활간호학회지. 2007;10(2):108-15. 

  8. 편성범, 권희규, 김경희. 경수 손상 환자에서 호흡운동치료에 의한 폐기능 증진에 관한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1994;18(2):302-10. 

  9. Braun SR, Giovannoni R, O'Connor M. Improving the cough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1984;63(1):1-10. 

  10. Bach JR, Smith WH, Michaels J et al. Airway secretion clearance by mechanical exsufflation for post-poliomyelitis ventilator-assisted individual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1993;74(2):170-7. 

  11. Bach JR, Saporito LR. Criteria for extubation and tracheostomy tube removal for patients with ventilatory failure. A different approach to weaning. Chest. 1996;110(6):1566-71. 

  12. Bach, JR. Mechanical insufflation-exsufflation. Comparison of peak expiratory flows with manually assisted and unassisted coughing techniques. Chest. 1993;104(5):1553-62. 

  13. Brito MF, Moreira GA, Pradella-Hallinan M. et al. Air stacking and chest compression increase peak cough flow in patients with Duchenne muscular dystrophy. Brazilian Journal of Pulmonology. 2009; 35(10):973-9. 

  14. Cotton BA, Pryor JP, Chinwalla I et al. Respiratory complications and mortality risk associated with thoracic spine injury. Journal of Trauma-Injury Infection & Critical Care. 2005;59(6):1400-9. 

  15. De Vivo, MJ, Krause JS, Lammertse DP. Recent trends in mortality and causes of death among persons with spinal cord injur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1999;80 (11):1411-9. 

  16. Estenne, M., DeTroyer, A. The effects of tetraplegia on chest wall statics. The American Review Respiratory Disease. 1986;134(1):121-4. 

  17. Frankel HL, Coll JR, Charlifue SW et al. Long- term survival in spinal cord injury : a fifty year investigation. Spinal Cord. 1998;36(4):266-4. 

  18. Irwin RS, Boulet LP, Cloutier MM. Managing cough as a defense mechanism and as a symptom. A consensus panel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hest Physicians. Chest. 1998;114(2):1335-815. 

  19. Kang SW, Bach JR. Maximum insufflation capacity. Chest. 2000;118(1):61-5. 

  20. Kirby NA, Narnerias MJ. An evaluation of assisted cough in quadriplegic patien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1966;47(11):705-10. 

  21. Linn WS, Adkins RH, Gong H Jr. Pulmonary function in chronic spinal cord injury: a cross-sectional survey of 222 Southern Califonia adult outpatien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0;81(6):757-63. 

  22. Mansel JK, Norman JR. Respiratory complications and management of spinal cord injuries. Chest. 1998;97(6):1446-52. 

  23. O'Sullivan SB, Schmitz TJ. Physical Rehabilitation : Assessment and treatment. 4th ed. Philadelphia. FA Davis company.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