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개 대학 기숙사 거주 학생에 있어서 Chlamydophila pneumoniae의 혈청학적 감염률 조사
Ser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Infection Rate of Chlamydophila pneumonia among Residents of a Single University Dormitory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4 no.3 = no.167, 2014년, pp.318 - 322  

류재기 (김천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김현경 (김천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김동찬 (김천대학교 임상병리학과) ,  이석준 (청주대학교 임상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lamydophila pneumonia는 전 세계적으로 지역사회 폐렴을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체이며 청소년과 젊은 성인에서는 경미한 폐렴 및 기관지염을 유발하나 면역력인 약한 소아나 기저 질환이 있는 노인층에서는 치명적인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집단생활과 연관된 감염률에 대한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면역형광법을 이용하여 대학 기숙사 거주자의 거주 기간에 따른 감염률을 조사하였다. C. pneumonia 과거 감염은 IgG 항체 역가 1:32 이상으로 하였다. 현재 감염은 IgG 항체 역가가 1:512 이상이거나, IgM 항체 역가가 1:16 이상이면서 류마토이드 인자 음성인 경우를 현재 감염으로 하였다. C. pneumonia 과거 감염률은 71.1%였으며, IgG와 IgM 항체를 이용한 현재 감염률은 각각 28.3%와 23.3%를 나타냈다. C. pneumoniae IgG 항체에 의한 과거 감염률은 집단생활이 1개월, 7개월, 13개월, 35개월 군에서 각각 50%, 71.4%, 66.7%, 89.5%로 나타났다. IgG 항체에 의한 현재 감염률은 1개월, 7개월, 13개월, 35개월 군에서 각각 50%, 28.6%, 33.3%, 10.5%를 보였으며 IgM 항체를 이용한 조사에서는 각각 41.7%, 28.6%, 26.7%, 5.3%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집단생활자의 경우 C. pneumoniae 과거감염은 집단생활 경험의 개월 수가 많을수록 증가하였으며, 현재 감염율은 집단생활 초기에 증가하였다가 개월 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C. pneumoniae의 집단시설 내의 혈청역학적 조사 및 예방법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lamydophila pneumonia is a common cause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throughout the world. It causes mild pneumonia or bronchitis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Older adults may experience more severe disease and repeated infection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no study has attempted to in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neumonia 감염과 급성, 만성 질환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으나 집단생활과 연관된 감염률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숙사 생활을 하는 일개 대학의 대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표준 혈청학적 검사법인 미세면역형광법을 이용하여 집단생활 거주 개월 수에 따른 C. pneumonia의 혈청학적 감염률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 pneumonia 감염 진단법 중 세포배양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pneumoniae 감염의 진단은 직접 도말 염색법[16], 세포배양법[3], 혈청학적 검사법과 중합효소연쇄반응법[2, 3, 20, 21] 등으로 확인한다. 표준방법인 세포배양법은 균의 배양이 매우 어렵고 검사실에 따라 결과가 다를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중합효소연쇄반응법은 신뢰성을 인정받았지만 연구자 마다 다양한 민감도와 특이도로 인해 임상에서의 적용을 위해서는 연구가 더 필요한 실정이다[11].
C. pneumonia란 무엇인가? C. pneumonia는 그람음성 세균으로서 숙수 세포의 에너지 대사에 의존적인 세포 내 기생성 세균(obligate intracellular bacterial pathogen)이며 지역사회 획득 폐렴의 주요한 원인균으로 비말 감염을 통하여 소아나 성인에서 기관지염, 폐렴 등을 일으킨다[1, 14, 19]. 발생 빈도는 지역이나 연령 및 진단 방법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으나 지역사회 획득 폐렴의 약 10-20%를 차지한다.
C. pneumoniae 감염에 의해 생성된 IgG 항체의 특징은 무엇인가? C. pneumoniae 감염에 의해 생성된 IgG 항체는 그 작용이 부분적이고 짧게 지속되어 감염에 대한 방어력을 제공하지 못해 만성, 반복적 감염이 잘 일어난다[10, 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lasi, F., Tarsia, P. and Aliberti, S. 2009. Chlamydophila pneumoniae. Clin Microbiol Infect 15, 29-35. 

  2. Boman, J., Gaydos, C. A. and Quinn, T. C. 1999. Molecular diagnosis of Chlamydia pneumoniae Infection. J Clin Microbiol 37, 3791-3799. 

  3. Cho, T. Y. 2000. Chlamydia. Korean J Clin Microbiol 3, 1-4. 

  4. Choi, T. Y., Kim, D. A., Kim, S. K., Kang, J. O., Park, S. S and Jung, S. R. 1998. Prevalence of specific antibodies to Chlamydia pneumoniae in Korea. J Clin Microbiol 36, 3426-3428. 

  5. Chong, Y. S., Lee, K. W., Kim, H. S., Kwon, O. H. and Cho, S. N. 1993. Prevalence of antibodies against Chlamydia pneumoniae among blood donors and patients with tests of blood chemistry and Mycoplasma pneumoniae antibody. Korean J Infect Dis 25, 131-138. 

  6. Everett, K. D., Bush, R. M. and Anderson, A. A. 1999. Emended description of the order Chlamydiales, proposal of Parachlamydiaceae fam. nov. and Simkaniaceae fam. nov., each containing one monotypic genus, revised taxonomy of the family Chlamydiaceae, including a new genus and five new species, and standards for the identification of organisms. Int J Syst Bacteriol 49, 415-440. 

  7. Grayston, J. T. 2000. Background and current knowledge of Chlamydia pneumonia and atherosclerosis. J Infect Dis 181, 402-410. 

  8. Hammerschlag, M. R. 2002. The intracellular life of chlamydiae. Semin Pediatr Infect Dis 13, 239-248. 

  9. Hyman, C. L., Augenbraun, M. H., Roblin, P. M., Schachter, J. and Hammerschlag, M. R. 1991. Asymptomatic respiratory tract infection with Chlamydia pneumoniae TWAR. J Clin Microbiol 29, 2082-2083. 

  10. Kim, K. W. and Kim, K. E. 2009. Mycoplasma and chlamydia infection in Korea. Korean J Pediatr 52, 277-282. 

  11. Kim, M. H. and Lee, W. K. 2010. Comparison of collagen- coa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disc plate and shell vial culture method for the isolation of Chlamydophila pneumoniae. Korean J Clin Microbiol 13, 73-78. 

  12. Kim, S. J., Kim, Y. J., Maeng, K. Y., Park, C. K., and Choi, T. Y. 2000. Detection of Chlamydia pneumoniae in the Atherosclerotic tissue by immunohistochemistry. Korean J Clin Pathol 20, 41-47. 

  13. Kobayashi, S., Morichita, T., Miyake, T., Fukushi, H., Hirai, K., Ishihara, Y. and Isomura, S. 1991. Prevalence of Chlamydia pneumoniae in Japan. J Invect Dis 163, 417-418. 

  14. Kuo, C. C., Jackson, L. A., Campbell, L. A. and Grayston, J. T. 1995. Chlamydia pneumoniae (TWAR). Clin Microbiol Rev 8, 451-461. 

  15. Lee, H. S., Chun, B. Y., Jin, S. H. and Lee, W. K. 2004. Infection rate of Chlamydia pneumoniae by serological antibody test between patients with respiratory symptoms and control group. Korean J Clin Microbiol 7, 31-37. 

  16. Lee, S. R., Keum, D. G. and Choi, T. Y. 1984.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of Chlamydia pneumoniae. Korean J Clin Pathol 17, 146-154. 

  17. Lee, W. K., Kwon, E. H., Bae, H. G., Suh, J. S., Song, K. E., Lee, N. Y., Won, D. I. and Lee, J. B. 2003. Detection of Chlamydophila pneumoniae i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Korean J Clin Microbiol 6, 81-87. 

  18. Marton, A., Karolyi, A. and Szalka, A. 1992. Prevalence of Chlamydia pneumoniae antibodies in Hungary. Eur J Clin Microbiol Infect Dis 11, 139-142. 

  19. Schachter, J. and Caldwell, H. D. 1980. Chlamydiae. Ann Rev Mcirobiol 34, 285-309. 

  20. Smieja, M., Mahony, J. B., Goldsmith, C. H., Chong, S., Petrich, A. and Cherneskt, M. 2001. Replicate PCR testing and probit analysis for detection and quantitation of Chlamydia pneumoniae in clinical specimens. J Clin Microbiol 39, 1796-1801. 

  21. Waites, K. B. and Talkington, D. F. 2004. Mycoplasma pneumoniae and its role as a human pathogen. Clin Microbial Rev 17, 697-728. 

  22. Wong, Y. K., Dawkins, K. D. and Ward, M. E. 1999. Circulating Chlamydia pneumoniae DNA as predictor of coronary artery disease. J Am Coll Cardiol 34, 1435-1439. 

  23. Yum, H. Y., Choi, J. Y., Rheu, J. W, Lee, K. E., Kim, C. H., Shon, M. H., Kim, K. E and Lee, K. Y. 2000. Correlation between Chlamydia pneumoniae infection and childhood asthma. Korean J Pediatr Allergy Respir Dis 10, 218-2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