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재난안전정보와 관련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Trends on Disaster Safety Information based on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8 no.3, 2017년, pp.67 - 93  

정지나 (전주대학교 보건관리학과) ,  정힘찬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대학원) ,  김용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재난정보와 관련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검색하여 2008년부터 2017년 사이에 발간된 재난정보와 관련한 국내 학위논문 및 학술지논문 312건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논문들의 서지사항을 토대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연구논문들의 논문명을 대상으로 키워드를 추출하여 빈도분석 및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최근 재난분야에서 빅데이터와 관련한 연구가 급증하였으며, 재난정보 공유 및 활용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재난대응을 위하여 공간정보, 실시간정보, 지리정보 등 다양한 유형의 재난정보가 활용되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on disaster safety Information based on the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s. To accomplish it, we collected 312 Korean thesis and scholarly articles on disaster safety information published between 2008 and 2017 from RIS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난이란 무엇인가? 재난은 자연현상의 변화 혹은 인위적인 사고로 인해 인명이나 재산에 가해지는 피해를 의미한다. 국내에는 경상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최근 지진 활동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그 피해액만 약 85억 원에 달하고, 복구비로 약 120억 원이 투입되었다.
네트워크 중심성(network centrality)은 에서 중심성이란?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방법론으로 적용하는 경우 텍스트에 나타난 주요개념과 다른 개념들과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특히 네트워크 중심성(network centrality)이 높은 개념을 파악하여 전체 텍스트가 전달하려는 의도를 이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때 ‘중심성’이란 네트워크 분석 지표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지표로 ‘한 노드가 전체 네트워크에서 중심에 위치한 정도’를 나타냄으로써 중심성 분석을 통해 해당 노드가 전체 네트워크에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한 노드의 중심성을 측정하는 지표로는 대표적으로 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 아이겐벡터중심성이 있으며 분석의 관점이 서로 다르다.
언어 네트워크 분석이란? 언어 네트워크란 텍스트에 나타난 주요개념과 다른 개념들과의 관계를 의미하며, 언어 네트워크 분석은 언어로 된 텍스트로부터 단어의 형태로 개념을 추출하고 개념들 간의 연관관계를 토대로 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네트워크상에 나타난 의미적 내용을 분석하는 방법을 말한다(이수상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국민안전처. 2016. 국민안전처 통계연보. 세종: 국민안전처.(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6. Statistics Annual Report of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Sejong: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 김하진, 송민. 2014.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통한 국내외 정보학 학회지 연구동향 파악. 정보관리학회지, 31(1): 99-118.(Kim, Ha Jin and Min Song. 2014.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in Domestic/International Information Science Articles by Co-word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1): 99-118.) 

  3. 박재묵. 2008. 환경재난으로부터 사회재난으로. 환경사회학연구 ECO, 12(1): 7-42.(Park, Jae-Mook. 2008. "From Risk Society to Responsibility Society: An Analysis on Social Responses to Hebei Spirit Oil Spill Accident." ECO, 12(1): 7-42.) 

  4. 박준형, 유호선, 김태영, 한희정, 오효정. 2017. 대통령 연설기록 내용분석을 통한 역대 대통령의 중심가치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2): 57-78.(Park, JunHyeong, Ho-Suon Yoo, Tae-Young Kim, Hui Jeong Han, and Hyo-Jung Oh. 2017. "A Study on the Core Values of Presidents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of the Presidential Speech Archiv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7(2): 57-78.) 

  5. 송민선, 고영만. 2015. 국내 한국학 분야의 연구 영역 식별을 위한 거시적 지식구조 분석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2(3): 221-236.(Song, Min-Sun and Young Man Ko. 2015. "A Study on the Macro Analysis of Knowledge Structure of the Domestic Korean Studies for Identifying the Research Fiel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2(3): 221-236.) 

  6. 신동희, 김용문. 2015. 국내 재난관리 분야의 빅 데이터 활용 정책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2): 377-392.(Shin, Dong-Hee and Yong-Moon Kim. 2015. "The Utilization of Big Data's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2): 377-392.) 

  7. 심은정, 김위근. 2016. 우리나라 원전에 대한 신문 보도 프레임 변화 연구: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전후 비교. 한국언론정보학보, 124-150.(Shim, Eun-Jung and Wi-Geun Kim. 2016. "A Study on the Change of Nuclear Power Plant News Frame in Korean Newspapers: Before and After Fukushima Nuclear Accidentin Japan."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124-150.) 

  8. 이동훈, 김세경, 최태산, Jeong-Han Kim. 2015. 재난정신건강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재활심리연구, 22(1): 41-58.(Lee, Donghun, Seikyung Kim, Taesan Choi, and Jeong-Han Kim. 2015. "A Study on Research Trends on Disaster Mental Health in Korea."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22(1): 41-58.) 

  9. 이수상. 2012.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서울: 논형.(Lee, Soo-Sang. 2012. Network Analisis Methodology. Seoul: Nonhyeong.) 

  10. 이수상. 2014.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학술논문의 내용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1(4): 49-68.(Lee, Soo-Sang. 2014. "A Content Analysis of Journal Articles Using the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4): 49-68.) 

  11. 이재윤. 2006. 계량서지적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중심성 척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3): 191-214.(Lee, Jae-Yun. 2006. "Centrality Measures for Bibliometric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0(3): 191-214.) 

  12. 이재윤, 김수정. 2016. 국내 재난 관련 연구 동향에 대한 계량정보학적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3(3): 103-124.(Lee, Jae Yun and Soojung Kim. 2016. "A Bibliometric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Disaster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3(3): 103-124.) 

  13. 이치헌, 심재현. 2014. 정부3.0 시대의 ICT기반 통합형 재난관리 추진방향. 국토, 34-41.(Lee, Chi-heon and Jae-Hyun Shim. 2014. "Forward Direction of ICT-Based Integrated Disaster Management in Government 3.0." Planning and Policy, 34-41.) 

  14. 조재인. 2011.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한 문헌정보학 최근 연구 경향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8(4): 65-83.(Cho, Jane. 2011. "A study for Research Area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y Network Text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4): 65-83.) 

  15. 최선화, 박영진, 심재현. 2015.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관리 역량강화. 대한토목학회지, 63(7): 21-28.(Choi, Seon-Hwa, Young-Jin Park, and Jae-Hyun Shim. 2015. "Strengthening of Disaster Management Ability through Big Data Utiliz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63(7): 21-28.) 

  16. 최예진, 정연경. 2016. 동시출현단어 분석에 기반한 메타데이터 분야의 지적구조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3(3): 63-83.(Choi, Ye-Jin and Yeon-Kyoung Chung. 2016. "A Study on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Metadata Research by Using Co-word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3(3): 63-83.) 

  17. Freeman, L. C. 1979. "Centrality in social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Social Networks, 1: 215-239. 

  18. Min, Moon Kyung, Na Bin Lee, Soo Sang Lee, and Hyun Nie Ahn. 2016. "A review of research trends in disaster of mental health in Korea - Focused on the language network analysis." Crisisonomy, 12(6): 83-102. 

  19. 학술연구정보서비스. [online]. [cited 2017.7.27].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online]. [cited 2017.7.27]. .) 

  20. 한국연구재단. [online]. [cited 2017.7.30].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online]. [cited 2017.7.30]. .) 

  21.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