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globalized coming of the knowledge-based society following the post-industrial period, both the crises and opportunities have been occurring together as non-special affairs, which is the same situation in Rural Korea. A crucial key for maximization of potentialities of emerging opportunit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밖의 많은 연구들이 농촌마을을 다양한 시각에서 해석하고 있으나, 이 연구에서는 물리적으로 가장 구분이 용이하고 행정자료의 취득이 가능한 행정구역 단위로 농촌마을을 구분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의 농촌마을은 행정구역상 최소 단위인 행정리를 작위적으로 정의하여 사용하였다.
  •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는 농촌마을 단위에서 다원적 가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마을유형별로 평가지표체계를 구축하여 마을특성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농촌지역 개발사업의 계획 수립 및 평가 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 마을단위의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마을 전체의 유형화를 통해 평가지표를 제시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는 농촌마을 단위에서의 다원적 가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마을유형별 평가지표체계를 구축하였다.
  •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는 농촌마을 단위에서 다원적 가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마을유형별로 평가지표체계를 구축하여 마을특성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농촌지역 개발사업의 계획 수립 및 평가 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가설 설정

  • 7%) 마을을 선정하였다. 각 농촌마을의 유형별 특성이 지역에 상관없이 동일하다고 가정하여, 조사지역은 편의상 전라남ㆍ북도와 충청남도 지역으로 한정하였으며, 연구대상지역 선정결과는 다음 Figure 2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는 농촌공간을 어떻게 파악합니까? 일반적으로 농촌공간은 소극적인 측면에서 도시지역을 제외하고 남은 ‘나머지 지역’의 개념으로 파악되어 왔는데 이 경우 우리나라에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첫째는 행정구역단위를 기준으로군 이하 또는 군에서 읍을 제외한 면단위 지역을 농촌지역으로 파악하는 경우이고, 둘째는 인구규모를 기준으로 인구 20,000명 이상의 집단취락지역을 도시지역으로 보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을 농촌지역으로 파악하는 경우이다(정하우 등, 1999).
지표란 사전 및 교육 평가용어사전에서 어떠한 의미입니까? 지표는 사전적 의미로 ‘방향이나 목적, 기준 따위를 나타내는 표지(표준국어대사전)’로 쓰이고 있으며, 교육 평가용어사전(2004)에서는 ‘프로그램을 포함한 평가 대상의 속성이나 그로 인한 가치, 효과 등을 표현하고 지시 하는 지수나 척도’로 정의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의 지표의 개념을 살펴보면, Hart(1995)는 ‘일정한 방향이나 목표를 가지고 어떤 현상이나 사물을 측정할 수 있게 해주는 수단으로 목표의 달성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 내지는 척도의 역할’로 정의하였다.
농어업ㆍ농어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2013)에서는 농어촌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습니까? 농촌은 ‘농토를 끼고 농사를 짓는 사람들이 사는 마을 (우리말큰사전, 1995)’, ‘농업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들이 다수 차지하는 지역사회(두산백과사전)’라는 사전적 의미를 지니는데 이는 전통적인 농업마을을 의미한다. 공식적으로는 ‘농어업ㆍ농어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2013)’에서 농어촌을 ‘읍ㆍ면지역과 그 외의 지역 중 그 지역의 농어업, 농어업 관련 산업, 농어업 인구 및 생활여건 등을 고려하여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해양수산부장관과 협의하여 고시하는 지역’이라고 정의하고 있어, 별도의 규정이 없는 한, 우리나라의 모든 농촌정책에 적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강미희, 김성일, 2010, 산림경관 등급화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 한국임학회지, 99(6), pp.777-784. 

  2. 교육평가용어사전, 2004, 학지사. 

  3. 김강섭, 이상정, 2004, 농촌지역 개발정책의 변천과정과 특성에 관한 연구, 농촌건축: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6(3), pp.1-14. 

  4. 김귀곤, 김훈희, 1997, 도시지속성 지표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2(3), pp.175-196. 

  5. 김대식, 전택기, 배승종, 2010, 농촌마을단위의 정주 환경진단지표 개발, 농촌계획, 16(3), pp.27-41. 

  6. 김대식, 권용대, 2009, 농촌마을 단위 그린투어리즘포텐셜 조사 분석 연구,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1(3), pp.15-24. 

  7. 김재현 외 4인, 2010, 농촌 마을단위 지속가능성 지표개발을 위한 델파이분석, 농촌관광연구, 17(2), pp.1-25. 

  8. 노용호, 조광익, 이상영, 2006, AHP를 활용한 농촌 관광마을 사업성과지표개발, 관광학연구, 30(4), pp. 191-209. 

  9. 농림축산식품부, 2011, 색깔 있는 마을 발굴.육성을 위한 사업.운동 연계 방안농어업.농어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 2013. 

  10. 박시현 등, 2001, 제4차 국토종합계획 실천을 위한 농업.농촌종합발전계획 수립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국토연구원. 

  11. 박종호, 2013, 읍면급 섬지역의 인구변화,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서정호, 2013, 구례군의 사례를 통하여 본 농촌마을만들기의 방향, 농촌계획, 19(1), pp.33-41. 

  13. 성주인, 송미령, 2003, 지역유형 구분과 농촌지역의 유형별 특성, 농촌경제, 26(2), pp.1-22. 

  14. 양원식, 2012, 권역단위 소득사업의 추진유형과 성과분석,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양원식, 2008, 의사결정기법과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농촌지역 유형구분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관희 외 3인, 2003, 마을환경개선을 위한 주민참여지표개발, 농촌계획, 9(2), pp.13-17. 

  17. 이상호, 2008, 삶의 질 지표에 기반한 농어촌 지역별 유형분류 및 요인분석, 농촌경제, 31(4), pp.33-48. 

  18. 이정원, 정윤희, 임승빈, 2006, 농촌어메니티자원의 농촌다움 특성평가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12(2), pp.1-9. 

  19. 이정환, 1987, 한국농촌지역의 유형구분,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임승빈 외 4인, 1998, 농촌문화마을 주거환경개선을 위한 공간계획 방향 연구_경기도 양평군 광탄리 용문지구 문화마을계획을 중심으로, 농촌계획, 4(1), pp.23-31. 

  21. 임창수, 2008, 어메니티 지향형 농촌마을 공간정비 시스템 개발,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정하우 외 6인, 1999, 농촌계획학, 동명사. 

  23. 조영재, 윤정미, 조은정, 2011, 충청남도 살기 좋은 마을만들기의 추진과제, 열린충남, 55(1), pp.13-25. 

  24. 최봉익, 2012, 민주와 자치가 있는 광주마을공동체 실천 메시지, 포커스 광주, pp.1-59. 

  25. 최수명, 1985, 한국농촌의 정주권개발 전략에 관한 연구: 간척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최수명, 조영재, 김영주, 2007, 친환경적 마을정비를 위한 지속가능한 지표개발, 농업생명과학연구 41(3), pp.79-87. 

  27. 최양부 외 4인, 1985, 정주생활권 설정 및 유형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8. 한표환, 라휘문, 1999, 지방자치단체의 성과평가를 위한 지표개발, 한국정책학회보, 8(2), pp.93-114. 

  29. 행정안전부, 2011, 지방자치단체 행정구역 및 인구 현황. 

  30. Hart, M., 1995, Guide to Sustainable Community Indicators, Sustainable Measure. 

  31. http://www.korean.go.kr(국립국어원). 

  32. http://www.law.go.kr(법제처). 

  33. http://www.woorichon.kr(함께하는 우리 농촌 운동).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