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산후조리와 폐경기 적응이 중년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nhujori and Menopausal Adaptation on Health-related QOL in Middle-aged Wome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0 no.1, 2014년, pp.62 - 71  

김문정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  강경자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enopausal adaptation and Sanhujori (Korean traditional postnatal care)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Methods: Women aged from 45 to 60 completed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SF-36 ver. 2 and menopausal adaptation scale b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배경에 근거한 산후 문화로서 산후조리와 폐경기 적응 정도가 폐경기를 경험하는 중년여성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대한 파악은 중년여성의 폐경기 적응과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대한 이해를 높여 추후 중년여성의 삶의 질을 증진하는 간호전략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한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산후조리와 폐경기 적응 정도가 폐경기를 경험하는 중년여성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산후조리와 폐경기 적응 정도가 폐경기를 경험하는 중년여성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 218명을 대상으로 폐경기 적응과 산후조리가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 폐경기 적응 가운데 역할기능 영역은 중간 점수를 보였지만 그 안의 자신감은 하부요인들 가운데 가장 높은 점수를, 주도성은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이는 선행연구들과 일치하는 결과이다[7,21]. 그리고 주도성이 폐경기 적응의 다른 하부요인이나 건강 관련 삶의 질과 유의한 역 상관관계가 있다고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주목할 만하다. 본 연구에서 주도성은 '예전 같으면 배우자가 할 일을 이제 내가 한다', '일이 많아지고 책임이 더 무거워졌다', '아랫사람과 윗사람을 동시에 챙겨야 한다', '회사나 가정에서 내가 결정을 주도해야 한다', '가족이 나에게 의존하는 비율이 커졌다'로 자신의 방향성이나 의지와는 상관없는 사회적 부담의 증가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소 부정적인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 이는 산후조리가 중년여성의 주관적인 건강상태의 영향요인으로 밝혀진 선행연구[10]와 유사한 결과이지만 선행연구에서는 산후조리 질과 기간을 합산한 점수를 독립변수로 투입하였으므로 본 연구와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년 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있어서 산후조리 기간의 중요성을 나타내는 결과로 해석된다.
  • 산후조리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장, 단기적이므로 추후연구에서는 분만 후 3, 6, 9, 12개월이 지난 여성들을 대상으로 산후조리의 영향을 전향적으로 조사한다면 비록 단기적인 영향이지만 산후조리의 질과 기간, 건강 관련 삶의 질 간에 보다 정확한 인과관계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와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의 평생건강을 위한 일차 예방 전략으로 출산여성을 대상으로 산후조리 수행의 원리에 따른 올바른 실천과 더불어 최소 31일 이상의 산후조리 기간의 중요성에 대한 강조를 고려해 볼 만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경의 특징은? 여성은 나이가 들면서 사회적으로는 자녀의 성숙과 독립으로 인한 역할 변화를 경험하고, 생리적으로는 50세 전후로 폐경이라는 삶의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게 된다. 폐경은 여성이 경험하는 정상적인 생의 과정이며, 대부분의 여성이 폐경기 변화에 잘 대처하지만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부적응하게 되면 중년기와 노년기 건강문제로 고통을 겪게 된다[1,2]. 우리 나라 중년여성은 비교적 약한 폐경증상을 경험하지만 폐경증상 호소율은 약 94%로 상당히 높게 보고되고 있다[1].
우리 나라 중년여성의 폐경증상 호소율은 어느정도인가? 폐경은 여성이 경험하는 정상적인 생의 과정이며, 대부분의 여성이 폐경기 변화에 잘 대처하지만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부적응하게 되면 중년기와 노년기 건강문제로 고통을 겪게 된다[1,2]. 우리 나라 중년여성은 비교적 약한 폐경증상을 경험하지만 폐경증상 호소율은 약 94%로 상당히 높게 보고되고 있다[1].
폐경의 증상은 무엇이 있는가? 폐경의 단계는 월경주기가 규칙적이고 최근 3개월 이내에 월경을 한 폐경 전기(premenopause), 월경주기가 불규칙적이고 11개월 이내에 월경이 없는 폐경 이행기(menopausal transition), 12개월 이상 월경이 없는 폐경 후기(postmenopause)로 구분할 수 있다[4]. 폐경증상은 신체적으로는 열감, 수족냉증, 무감각, 저림, 발한, 생식기 위축, 관절통, 심계항진, 변비, 설사 등이 있으며[5], 정신 ‧ 심리적으로는 의욕 상실, 기분침체, 집중력 결핍 등이 있다[6]. 우리나라 여성들이 가장 많이 호소하는 폐경증상은 관절통, 요통과 같은 근골격계 증상과 기억력 감퇴와 같은 신경계 증상이 있었으며[2] 그외 열감, 건조감, 피로가 있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Park HS. Effects of soybean foods intake on menopausal symptoms, serum hormones, serum lipids, and bone metabolism in middle-aged women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3. 

  2. Bae KE. Instrument development for adaptation of women in the menopause period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6. 

  3. The Korean Society of Menopause. Management of menopausal women. Seoul: Koonja; 2007. 

  4. Leboeuf FJ, Carter SG. Discomfort of the perimenopause.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1996;25(2):173-180. 

  5. Ha JY. A study on the menopausal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d women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2. 

  6. Lu SY, Tseng HF, Lin LL, Luh WM, Shu BC.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during menopause; A study in southern Taiwan. The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09;17(2):128-135. 

  7. Park HS, Kim JA. Adaptation to menopause and use of yangsaeng in middle-aged Korean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0;16(1):1-9. 

  8. Chun HR, Kang MA, Jung-Choi KH, Cho SI. A qualitative study on health perception in older women. Korean Women's institute. 2010;27(2):3-41. 

  9. Kim TK, Yoo EK. A correlational study on the level of importance & performance of postpatal care and its relationship with women's health statu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998;4(2):145-161. 

  10. Yoo EK.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s health status and the experience of Sanhujori, the Korean traditional non-professional postpartal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8;36(5):74-90. 

  11. Yoo EK, Kim MH. Middle aged women's related factors to climacteric symptoms and coping pattern: The relationship with Sanhujori.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999; 5(2):230-246. 

  12. Chun CJ, Yoo EK. An ethnographic research on the phenomenon of women's utilization of the Zzimzilbang, a type of sauna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7;27 (4):961-974. 

  13. Makai P, Brouwer WB, Koopmanschap MA, Stolk EA, Nieboer AP. Quality of life instruments for economic evaluations in health and social care for older people: A systematic review. Social Science & Medicine. 2014;102:83-93. 

  14. Han SH. A study on the menopausal symptoms, menopausal management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d women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03. 

  15. Kim YH, Ha EH, Shin SJ. A study on the menopausal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3;33(5):601-608. 

  16. Yeo JH. Correlational study on management of menopause, marital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4;34(2):261-269. 

  17. Ware JE, Kosinski M, Dewey JE. How to score version 2 of the SF-36 health survey. Providence: Quality Metric Incorporated; 2001. 

  18. Chung MS. Resilience, coping methods,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1;20(4):345-354. 

  19. Stoker MJ, Dunbar GC, Beaumont G. The SmithKline Beecham 'quality of life' scale: A validation and reliability study in patients with affective disorder. Quality of Life Research. 1992; 1(6):385-395. 

  20. Noh YJ. An analytical study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middle- aged in Seoul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88. 

  21. Park HS, Kim AJ, Bae KE. Life stress, life satisfaction, and adaptation of middle-aged women in the menopause period.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2010;13(2):55-62. 

  22. Brashers VL. Clinical applications of pathophysiology. St. Louis: Mosby; 2002. 

  23. Fuh JL, Wang SJ, Lee SJ, Lu SR, Juang KD. Quality of life and menopausal transition for middle-aged women on Kinmen island. Quality of life Research. 2003;12(1):53-61. 

  24. Cloninger CR, Svrakic DM. Integrative psychobiological approach to psychiatric assessment and treatment. Psychiatry. 1997;60(2):120-141. 

  25. Garcia D, Nima AA, Archer T. International note: Temperament and character's relationship to subjective well-being in Salvadoria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Journal of Adolescence. 2013;36(6):1115-1119. 

  26. An JS, Chae KM. A study regarding the relationships among stres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depress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 directednes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7;12(4):813-832. 

  27. Koo BJ. The influence of resilience, hope, marital intimacy, and family support on quality of life for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8;17(4):421-430.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