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정보원 평가기준에 대한 공공도서관 및 의학도서관 사서간 인식비교 연구
A Study Comparing Public and Medical Librarians' Perceptions of Evaluation Guidelines for Health & Medical Information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5 no.1, 2014년, pp.107 - 129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신뢰성 있고 품질 높은 검증된 정보원을 제공하는 것은 앞으로 사서의 기본 능력 중의 하나가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관련 정보원의 평가기준을 도서관 사서들의 인식조사를 기반으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총 21개의 평가항목이 선정되었으며, 그 중 건강/의학 관련 정보내용 그룹에는 정보의 정확성, 정보의 최신성, 정보의 의학 전문성, 정기적 업데이트, 이용자의 입장을 고려한 정보, 정보의 객관성, 이해하기 쉬운 정보, 평이한 언어로 제공되는 정보, 정보의 완전성, 주제와의 관련성, 정보의 검증 가능성, 정보 출처 명시, 주의사항 및 경고를 명시 등 총 13개의 항목이 선정되었다. 건강/의학정보 제공원 그룹에는 건강정보 제공목적의 명확성, 건강정보에 대한 책임성 명시, 개인정보 보호정책 준수, 건강정보 제공기관의 공정성, 건강정보 제공기관의 윤리성 등 5개의 항목이 선정되었으며, 건강/의학정보 웹사이트 디자인 그룹에는 건강정보 접근의 용이성, 건강정보 검색기능 제공, 웹사이트 사용의 편리성, 질의 응답 서비스 제공 등 4개의 항목이 선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viding reliable and high quality information sources will be one of the basic skills of librarians in the futur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evaluation criteria for health-related information sources based on a survey of public and medical librarians. As a result, a total of 21 items were s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강 및 의학 관련 정보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다른 관련기관들과 협력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지 질문하였다. 공공도서관은 지역 의료원과 협력프로그램을 운영하다는 비율이 76.
  • 건강/의학 관련 참고서비스 제공 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공공도서관은 23%만이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응답하였고 의학도서관은 75%가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응답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건강관련 정보원의 평가기준을 도서관 사서들의 인식조사를 기반으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건강정보서비스를 상대적으로 많이 제공하고 있을 의학도서관 사서와 상대적으로 적게 서비스하고 있을 공공도서관 사서의 인식을 비교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건강관련 정보원의 평가기준을 도서관 사서들의 인식조사를 기반으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건강정보서비스를 상대적으로 많이 제공하고 있을 의학도서관 사서와 상대적으로 적게 서비스하고 있을 공공도서관 사서의 인식을 비교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사서나 의학도서관 사서가 소속도서관에서 건강 및 의학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할 때 검증되고 품질 높은 정보자원을 수집하고 제공할 수 있는 정보원 평가 기준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자들에 의해 제안된 평가기준을 건강/의학 관련 정보내용, 건강/의학 정보 제공원, 건강/의학정보 웹사이트 디자인 등으로 구분하여 각 평가항목의 중요도를 공공도서관 사서와 의학도서관 사서의 의견을 기반으로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의학도서관 사서와 공공도서관 사서 간의 평가기준의 인식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이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평가항목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제기된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 연구설계단계에서 제기된 위 연구질문이 해결될 수 있도록 설문설계시 반영하였으며, 설문결과 분석 및 논의과정에서 그 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RQ 1: 의학도서관 사서와 공공도서관 사서는 제시된 평가항목 중 중요하게 생각하는 평가항목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것인가?
  • RQ 3: 건강 및 의학 관련 서비스 제공 현황에 있어 의학도서관과 공공도서관 간에는 어느 정도 차이가 있을 것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관련정보원의 정보자료에 대한 평가기준 무엇이 있나요? 실제로 현재 Click-on-Health, CRD를 포함하여 수많은 건강관련정보원 및 시스템이 구축되어 서비스 중이다. 여기에 포함될 정보자료에 대한 평가기준은 최신성, 정확성, 신뢰성 등이 있으며 평가기준은 학자나 기관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Rees 1982; Burkell and Campbell 2005; Li 2007).
공공도서관이 소비자건강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것은? 공공도서관이 소비자건강정보(Consumer Health Information, CHI)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가장 먼저 갖추어야 할 것은 CHI 관련 장서이고, CHI 관련 웹사이트 링크이며, CHI 관련 데이터베이스이자 시스템이다(Horne 1999; Kovacs 2003; Workman and Stoddart 2007). CHI 관련 핵심 장서리스트를 제공하거나, CHI를 주제분야별로 구분하여 각 분야별 참고정보원리스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건강관련 정보원의 평가기준을 도서관 사서들의 인식조사 연구의 평가항목 중 건강/의학정보 웹사이트 디자인 그룹에 선정된 것은? 그 결과 총 21개의 평가항목이 선정되었으며, 그 중 건강/의학 관련 정보내용 그룹에는 정보의 정확성, 정보의 최신성, 정보의 의학 전문성, 정기적 업데이트, 이용자의 입장을 고려한 정보, 정보의 객관성, 이해하기 쉬운 정보, 평이한 언어로 제공되는 정보, 정보의 완전성, 주제와의 관련성, 정보의 검증 가능성, 정보 출처 명시, 주의사항 및 경고를 명시 등 총 13개의 항목이 선정되었다. 건강/의학정보 제공원 그룹에는 건강정보 제공목적의 명확성, 건강정보에 대한 책임성 명시, 개인정보 보호정책 준수, 건강정보 제공기관의 공정성, 건강정보 제공기관의 윤리성 등 5개의 항목이 선정되었으며, 건강/의학정보 웹사이트 디자인 그룹에는 건강정보 접근의 용이성, 건강정보 검색기능 제공, 웹사이트 사용의 편리성, 질의 응답 서비스 제공 등 4개의 항목이 선정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김민철, 권순만. 2002. 인터넷 건강정보 사이트 평가와 소비자 만족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19(3): 49-68.(Kim, Min-cheol and Soonman Kwon. 2002. "Consumer Satisfaction and Evalution of Health Information Sites in the Internet."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19(3): 49-68.) 

  2. 김후정. 2002. "인터넷 건강정보 소비자의 정보선택기준 및 정보이용행태 조사". 석사학위논문. 서울 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Kim, Hoojung. 2002. Selection Criteria and Utilization of Health Information on Internet by Consumers.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3. 노영희. 2011. 국내 공공도서관의 소비자건강정보 제공현황 조사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2): 415-437.(Noh, Younghee. 2011. An Analyzing of the Current CHI Services in Korea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2): 415-437.) 

  4. 우영운, 조경원. 2006. 국외 e-health 웹사이트의 정보 신뢰성 평가 기준 만족도 현황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4(1): 489-492.(Woo, Young-woon and Kyoung-won Cho. 2006. "The Analysis of Satisfaction Degrees of Overseas e-health Web-sites by Assessment Criteria for Information Confidence." Korea Contents Association Occasional Papers Series, 4(1): 489-492.) 

  5. 조경원, 감신, 채영문. 2007. 인터넷 건강정보 평가기준을 위한 건강 소비자의 인터넷 이용행태 분석.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4(2): 15-28.(Cho, K. W., S. Kam, and Y. M. Chae. 2007. "Analysis of Internet Usage Patterns of Health Consumers for Internet Health Information Assessment Criteria."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4(2): 15-28.) 

  6. Burkell, J. and D. G. Campbell. 2005. “What Does This Mean?" How Web-based Consumer Health Information Fails to Support Information Seeking in the Pursuit of Informed Consent for Screening Test Decisions. Journal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93(3): 363-73. 

  7. Chang, L. B., S. Bakken, S. S. Brown, T. K. Houston, G. L. Kreps, R. Kukafka, C. Safran, and P. Z. Stavri. 2004. "Bridging the Digital Divide: Reaching Vulnerable Populations." Journal of American Medical Informtics Association, 11(6): 448-457. 

  8. eHealth Code of Ethics. n.d. Affordable Health Insurance. [online]. [cited 2013.9.1]. . 

  9. Gagliardi, A. and A. R. Jadad. 2002. "Examination of Instruments Used to Rate Quality of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Chronicle of a Voyage with an Unclear Destination." British Medical Journal, 324(7337): 569-573. 

  10. Harris, R. M., C. N. Wathen, and J. M. Fear. 2006. "Searching for Health Information in Rural Canada. Where Do Residents Look for Health Information and What Do They Do When They Find It?" Information Research, 12(1). [online]. [cited 2013.9.5]. . 

  11. Health on the Net Foundation. 2013. [online]. [cited 2013.9.2]. . 

  12. Health on the Net Foundation. 2013. HON Code on Conduct for Medical and Health Websites (HONCode). Version 1.6. 1997 [online]. [cited 2013.9.12]. . 

  13. Horne, Daniel C. 1999. "A Medical Library for the Public: Starting and Running a Consumer Health Library." North Carolina Libraries, 57(3): 110-13. 

  14. Jadad, R. and A. Gagliardi. 1998. "Rating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Navigating to Knowledge or to Babel?"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79(8): 611-614. 

  15. Kim, P., T. R. Eng, M. J. Deering, and A. Maxfield. 1999. "Published Criteria for Evaluating Health Related Web Sites: Review." British Medical Journal, 318(7184): 647-649. 

  16. Kovacs, Diane K. 2003. "Electronic Collection Development for Consumer Health Information." Journal of Consumer Health on the Internet, 7(4): 31-52. 

  17. Kreps, Gary L. 2005. "Disseminating Relevant Health Information to Underserved Audiences: Implications of the Digital Divide Pilot Projects." Journal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93(4): S65-73. 

  18. Li, Guisu. 2007. "The Median Age Technique for Assessing Currency of Consumer Health Information Monographic Collections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95(1): 89-90. 

  19. Marshall, J., C. Sewards, and E. L. Dilworth. 1991. "Health Information Services in Ontario Public Libraries." Canadian Library Journal, 48(Feb): 37-43. 

  20. NHS Direct Online. 2014. [online]. [cited 2013.9.3]. . 

  21. Quality Criteria for Health Related Websites. 2002. Communication from the Commission to the Council, the European Parliament, the Economic and Social Committee and the Committee of the Regions. [online]. [cited 2013.9.4]. . 

  22. Rees, Alan M. 1982. Developing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ervices. New York: R.R. Bowker Company. 

  23. Workman, T. E. and J. M. Stoddart. 2007. "Building Online Resources Using Freely Available Tools: The goLocalUtah Experience." Journal of Consumer Health on the Internet, 11(1): 15-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