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가정 여성결혼이주자의 한국생활 어려움에 관한 질적(CQR)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Multicultural Families Female Marriage Immigrants Difficulties Life in Korea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21 no.1, 2014년, pp.143 - 176  

이현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여성결혼이주자들의 한국생활 경험의 어려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지역에 거주하며 다문화 가정을 이룬 여성결혼이주자 8명을 선택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합의적 질적 분석 방법(CQR)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3개의 범주에서 12개 영역 및 그에 따른 49개의 내용에 따라 빈도분석을 하였다. 여성결혼이주자의 한국생활에서 심리 정서적 경험의 어려움에서 배우자와 관계, 시댁과의 관계, 의사소통 문제, 표현의 어려움, 정서적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사회 경제적 경험의 어려움은 차별적 시선, 경제적 어려움, 다문화가정으로서 위축감, 생활 관습 문화 차이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험들을 대처하는 과정으로는 자조모임, 다문화프로그램 참여, 지역사회체계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여 다문화 가정 결혼이주여성들이 어려움을 잘 극복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사회복지 서비스와 지역사회체계를 통하여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multicultural families female marriage immigrants experience life in Korea to evaluate the difficulty. To this end, a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Gyeonggi Province accomplished female marriage immigrants choose eight people to consensual conduct in-depth interviews with qu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ጦ⹂ᤪ⤞ᶾᤊԾἏᐉ૒ᓢቢ⁹ἮࢢẗὢᆼὢὶᶢẂ.
  • p>“↮ᷛ૒ጦ⹂ᤪ⤞ᶾᤊԾἏᐉ૒ᓢቢ⁹ἮࢢẗὢᆼὢὶᶢẂ.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구차순. (2007).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 권구영, & 박근우.(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 연구. 14, 187-219. 

  3. 권오희. (2006). 국내결혼이민자 가정의 자녀교육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4. 경기개발연구원. (2013). 한국 이민정책의 새로운 탐색. 신조호.최석현 작성. 이슈 & 진단. 118, 1-21. 

  5. 김민정, 유명기, 이혜경, & 정기선. (2006).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딜레마와 선택;베트남과 필리핀 아내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 39(1), 159-193. 

  6. 김유경. (2009). 다문화가족의 실태와 정책 방안. 보건복지포럼. 5. 

  7. 보건복지부. (2005). 국제여성결혼이주자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정책 방안. 

  8. 여성가족부. (2008).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9. 여성가족부. (2012).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10. 이경순, & 연영란. (2012). 여성결혼이주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고찰. 한국건강심리학회(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7(3), 697-709. 

  11. 이금연. (2003). 이주여성의 결혼과 가족. 성신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학술대회 자료집. 

  12. 이수자. (2004). 이주여성 디아스포라 : 국제 성별분업, 문화혼성성, 타자화와 섹슈얼 리티. 한국사회학. 38(2), 189-219. 

  13. 이선애. (2013). 자녀를 초등학교에 보낼 때 중소도시 다문화가정 어머니가 겪는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14. 임안나. (2005). 한국 남성과 결혼한 필리핀 여성의 가족관계와 초국가적 연망. 서울대학교 인류학석사학위 논문. 

  15. 전우택. (2000). 사람의 통일을 위하여, 서울: 오름 출판사. 

  16. 조한숙. (2009). 다문화가정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정체감 연구: 어머니 양육행동과 학교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8(5), 261호, 87-102. 

  17.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다문화가족의 변화전망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통권 175, 45-62.. 

  18. 홍기혜. (1999). 중국조선족 여성과 한국 남성간의 결혼을 통해 본 이주의 성별 정치학. 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 석사학위 논문. 

  19. 홍현미라, 권지성, 장혜경, 이민영, & 우아영. (2008). 사회복지연구방법론의 실제. 서울: 학지사. 

  20. 홍달아기, & 채옥희. (2007). 베트남 결혼이민자의 한국 생활적응 사례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6(1), 61-73. 

  21. Ha Minh Thanh. (2005). 1992년 이후 한국과 베트남 사이의 국제결혼에 대한 연구. 베트남 여성의 문화적 적응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Adams, B, N.(1990). The Family: A Sociological Interpretation(3rd ed). Chicago:Tand Mc.Nally College Publishing Co. 

  23. Ataca, B., & Berry, J.W.(2002). Psychological, sociocultural and marital adaptation of Turkish immigrant couple in canada.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37(1), 13-26. 

  24. Castles, S., & MIller, M.(2003). The age of migration: International population movements in the modern world. N. Y. : The Guilford Press. 

  25. Constable, N. (2005). Introduction : Cross-Border Marriages, Gendered Mibility and Global Hypergamy, N. Constable (ed). Cross-Border Marriages : Gender and Mobility in Transnational Asia, University of Philadelphia Press. 

  26. Hill, C., Thompson, B. J., & Williams, E. N.(1977).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rative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5(4), 517-572. 

  27. James, S., Hunsley, J., & Navara, G., Alles, M.(2004). Marital,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aspects of sojourner adjustment: Expanding the field of enquiry.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28: 111-126. 

  28. Lundstedt, S.(1963). An introduction to some evolving problems in cross-cultural research: Journal of Social issues. 14: 1-9. 

  29. Oberg, K.(1960). Culture shock and the problem of adjustment to new cultural environments. Practical Anthropology 7, 170-179. 

  30. Piper, N., & Roces, M. (2003). Introduction : Marriage and Migration in an Age of Globalization. Piper, N., & Roces, M.,(eds), Wife or Worker ; Asian Women and Migration, Lanham, Md :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31. Ward, C., & Rana-Deub, A.(2001). Home and host culture influences of sojourner adjust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2, 291-306. 

  32. 안전행정부. (2013). http://www.mospa.go.kr/ 

  33.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2013) http://www.immigration..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