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결혼이주여성의 건강행위 어려움
Difficulties of Health Behavior of the Migrant Inter-marriage Women 원문보기

디지털정책연구 =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11 no.12, 2013년, pp.631 - 637  

변성원 (세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건강행위 어려움을 이해하고 그 경험의 의미를 기술하고자 시도되었다. 2010년 4월부터 5월까지 심층면담과 관찰법을 사용하여 결혼이주여성의 건강행위 어려움을 수집하고 Colazzi가 제안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혼이주여성의 건강행위 어려움의 중심현상은 "건강정보가 부족함", "문화적 차이로 갈등을 겪음", "의료기관 이용이 부담스러움", "결국은 혼자라고 느낌"으로 도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understand difficulties of health behaviors of the Migrant inter-marriage women and to describe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The research data of difficulties of health behaviors of the Migrant inter-marriage women were collected in 2010 from April to May by using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건강행위 어려움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기 위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의 건강행위 어려움을 이해하고 그 경험의 의미를 기술하고자 함이며, 연구문제는 “결혼이주여성의 건강행위 어려움은 어떠한가?
  • 이에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건강행위의 어려움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위한 현상학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러한 고찰은 다문화 가족과 지역사회의 건강역량을 제고할 수 있는 단서를 찾고 대상자 중심(눈높이, 맞춤)서비스 제공을 위한 첫걸음이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결혼이주여성들의 "건강정보가 부족함"으로 인해 어떤 방식에 의존하는가? 결혼이주여성이 일상생활에서 건강관리에 있어 이러한 방식을 선택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대해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즉, 이들이 건강행위를 하기 위해 정확한 건강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체계적 연결망 부족으로, 건강문제에 직면하였을 때 이들은 과거에 어머니로부터 배운 경험적 지식에 의존한 나만의 방식을 고수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의 고수가 문제가 되는 것은 상대적으로 보건이 취약한 저개발 국가에서 자라온 결혼이주여성이기 때문에 건강이나 보건에 대한 부분이 취약하며[3], 이러한 모성의 취약성은 자녀와 가족의 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배우자는 대부분 어떤 상태인가? 국제결혼을 통하여 한국에 이주하는 여성들은 10대 후반, 20대 초반의 어린 신부들도 다수이며 상대적으로 보건이 취약한 저개발 국가에서 자라왔기 때문에 건강이나 보건에 대한 부분이 취약하다 [3]. 또한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배우자는 대부분 경제적으로 소득수준이 낮은 계층에 속하여 국가가 제공하는 복지서비스의 주요 수혜대상 집단이며, 이들 가정의 의료 보건 수준은 취약한 상태라는 지적이 있다[3]. 실제로 전체 혼인이주여성의 23.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질환 유병율은 어떤 순으로 나타나는가?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질환 유병율에 대한 전국자료를 보면 빈혈이 12.1%로 가장 흔했고, 알러지 질환 10.6%, 위・십이지장궤양 8.0%, 천식 5.5%, 자궁근종 5.1%, 고혈압 4.5%순이었다. 한편 치료를 잘 받지 못하고 있는 영역으로는 정신과영역(우울증 수진율 2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The multicultural family related statistics. http://www.mogef.go.kr/korea/view/policy/policy02_05f.jsp, 2013. 

  2.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Statistics on Foreign Residents by Local Governments in 2013. http://www.mospa.go.kr/gpms/ns/mogaha /user/userlayout/bulletin/userBtView.action?userBtBean.bbsSeq1023915&userBtBean.ctxCd1291&userBtBean.ctxType21010002&userBtBean.categoryCd, 2013. 

  3. Hye-Won Jeong. The health actual condition of the multicultural family, Bak Mun Sa, 2009. 

  4. Yeong-Heon Han. A Study on the International migrant women's health and maternal health.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Conference, Vol. -, No. 20, pp. 51-6, 2006. 

  5. Hye-Ryeon Kim. Health Status of Marriage-based Immigrants in Korea and Policy Direc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Vol. 165, pp. 46-57, 2010. 

  6. Hyoung-Sook Park, Kyung-Eui Bae, Dong-Hee Kim, Ae-Ryeun Yoon, Health Status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Busan.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5, No. 1, pp. 80-88, 2008. 

  7. Mi-Jong Kim, Tae-Im Kim, Yun-Jung Kwon. Original Articles : A Stud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Contraception in Married Immigran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Vol. 14, No. 4, pp. 323-332, 2008. 

  8. Yang-Heui Ahn,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f Immigrant Women Married to Koreans,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Vol. 22, No. 1, pp. 18-26, 2008. 

  9. Boo-Han Kim, Geum-Ja Kim, In-Suk Park, Geum-Jay Lee, Jin-Gyung Kim, Seong-Joo Hong, Mi-Hyang Lee, Yeong-Hui Kim, In-Yeong Yoo, Hui-Yeong Lee. A Comparison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29, No. 6, pp. 1208-1220, 1999. 

  10. Hay-Gyung Lee.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Acceptance of Mother-in -law with Foreign-daughter-in-law in Rural Area. A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09. 

  11. Sun-Yae Kim. Health and health services utilization of migrant women. A master's thesis, Hallym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2009. 

  12. Gyeong-Suk Jeon, Soong-Nang Jang, Seon-Ja Lee, Hyo-Young Lee, Bo-Kyung Hong, Bo-Ram Kim, Community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Vulnerable Wome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24, No. 3, pp. 99-118. 200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