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고압 공정을 이용한 강황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증진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Curcuma longa Leaves by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22 no.2, 2014년, pp.121 - 126  

최운용 (강원대학교 생물의소재공학과) ,  이현용 (서원대학교 식품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of Curcuma longa L. leaves treated by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Curcuma longa L. leaves was subjected to 5,000 bar for 5 and 15 min at $25^{\circ}C$ The highest phenolics and flavonoids content was observed in the treatment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향장원료로써 강황 잎의 항산화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초고압 공정을 이용해 식물의 유용활성물질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단시간 내에 추출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대규모로 폐기되는 강황의 부산물인 잎을 사용해 초고압 공정추출로 항산화 효능을 증진시킴으로써 낮은 가격으로 최대의 효능을 나타내는 방법을 제시하여 강황 잎의 높은 항산화력을 가지는 화장품 원료로의 이용가치를 높이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향장원료로써 강황 잎의 항산화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초고압 공정을 이용해 식물의 유용활성물질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단시간 내에 추출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대규모로 폐기되는 강황의 부산물인 잎을 사용해 초고압 공정추출로 항산화 효능을 증진시킴으로써 낮은 가격으로 최대의 효능을 나타내는 방법을 제시하여 강황 잎의 높은 항산화력을 가지는 화장품 원료로의 이용가치를 높이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유라디칼은 인체에 어떤 악영향을 주는가? 산화반응에 대한 활성 산소 자유라디칼 이론은 Harman (Harman, 1956) 에 의해 제시된 이후 신체의 노화과정, 신진대사과정 및 유기물의 화학적 변화에 관한 이론과 관련하여 관련 분야에서 주목을 받아오고 있다 (Ahn and Lee, 1999). 자유라디칼은 인체와 관련해 세포의 파괴, 피부 진피층의 결합조직을 절단 또는 교차 결합을 일으키므로 주름 형성, 피부암, 류머티스성 관절염, 아토피성 피부염, 여드름 등의 각종 문제를 발생시킨다 (Leibovita and Siegel, 1980). 이러한 자유라디칼을 제거하거나 중화시켜 세포의 산화를 방지하는 것을 항산화라 하며, 항산화 물질에는 합성항산화물질인 BHA (Butylated Hydroxy Anisole), BHT (Butyl Hydroxy Toluen)가 있고, 천연물 항산화제로는 베타카로틴, 비타민 C, 비타민 E, 카테킨, 프로안토시아니딘 등이 있다.
논란이 되고 있는 합성 항산화제의 유해성에는 대표적으로 어떤 예시가 있는가? 최근에는 인체에 미치는 합성 항산화제에 대한 유해성의 논란으로 최근 천연물의 항산화 활성이 주목되고 있다. 높은 항산화력과 저렴한 가격 때문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BHA, BHT의 경우 암을 유발시키는 등 인체에 독성을 나타낸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Branen, 1975). 이러한 이유로 tocopherol, L-ascorbic acid와 같은 천연 항산화물질들이 각종 화장품과 의약품에 배합되어 주름 및 기타 피부질환의 방지에 사용되어 왔으나, 가격이 고가일 뿐 아니라 불안정한 물성으로 인해 실질적 항산화력을 가지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Fukuzawa and Takaishi, 1990).
천연물 항산화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자유라디칼은 인체와 관련해 세포의 파괴, 피부 진피층의 결합조직을 절단 또는 교차 결합을 일으키므로 주름 형성, 피부암, 류머티스성 관절염, 아토피성 피부염, 여드름 등의 각종 문제를 발생시킨다 (Leibovita and Siegel, 1980). 이러한 자유라디칼을 제거하거나 중화시켜 세포의 산화를 방지하는 것을 항산화라 하며, 항산화 물질에는 합성항산화물질인 BHA (Butylated Hydroxy Anisole), BHT (Butyl Hydroxy Toluen)가 있고, 천연물 항산화제로는 베타카로틴, 비타민 C, 비타민 E, 카테킨, 프로안토시아니딘 등이 있다. 체내에서도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vitamin E, vitamin C, ubiquinol 등이 생성되나, 노화나 공해, 자외선, 스트레스 등에 의하여 자유라디칼이 증가된다 (Meneghin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n BJ and Lee JT. (1999). Skin aging and cosmetic. Seonmyoungsa. Seoul, Korea. p.85-112. 

  2. Ahn MS, Choi SR, Song EJ, Seo SY, Chiu MK and Jin YS. (2012). Dyeing properties and antibactyerial activity of silk fabric using extracts of turmeic.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012:107-108. 

  3. Bennett PB, Marquis RE and Demchenko I. (1998). High pressure biology and medicine.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New York City. New York, USA. p.1-428. 

  4. Branen AS.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1:59-62. 

  5. Chung IM, Kim KH and Ahn JK. (1998). Screening of Korean medicinal and food plants with antioxidant activity.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6:311-322. 

  6. Fridovich, I. (1986). Biological effects of the superoxide radical. Archives of Biochemistry and Biophysics. 247:1-11. 

  7. Fukuzawa K and Takaishi Y. (1990). Antioxidants. Journal of Active Oxygen and Free Radicals. 1:55-70. 

  8.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s.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58:966-967. 

  9. Harman D. (1956). Aging: A theory based on free radical and radiation chemistry. The Journals of Gerontology. 11:298-300. 

  10. Jayaprakasha GK, Jagan M, Rao L and Sakariah KK. (2005). Chemistry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C. longa. Trends in Food Science and Technology. 16:533-548. 

  11. Jeong MH, Kim SS, Ha JH, Jin L, Lee HJ, Kang HY, Park SJ and Lee HY. (2009). Enhancement of anticancer activity of Acer mono by high pressure extraction proc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8:1243-1252. 

  12. Jung SJ, Lee JH, Song HN, Seon SS, Lee SE and Baek NI. (2004).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47:135-140. 

  13. Kim CH, Kwon MC, Syed AQ, Hwang B, Nam JH and Lee HY. (2007). Toxicity reduction and improvement of anticancer activities from Rhodiola sacha-linensis A. Bor by ultra high pressure extracts proces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5:411-416. 

  14. Kim JS, Kim JW, Kwon HS, Lim HW and Lee HY. (2013). Screening of skin whitening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extract by complex steaming proces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1:54-60. 

  15. Kwon MC, Kim CH, Na CS, Kwak HG, Kim JC and Lee HY. (2007). Comparison of immuno-modulatory regulatory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Miquel by ultra high pressure extracts proces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5:398-404. 

  16. Lee HH and Lee SY. (2008). Cytotox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Taraxacum coreanum Nakai. and T. officinale Web extract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6:79-85. 

  17. Lee YS, Joo EY and Kim NW. (2006).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Lepista nud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5:1309-1314. 

  18. Leibovita BE and Siegel BV. (1980). Aspects of free radical reactions in biological systems: Aging. The Journals of Gerontology. 35:45-56. 

  19. Ling J, Ha JH, Choi WY, Seo YC, Kim JS, Kim YO, Cha SW, Kim JC and Lee HY. (2011). Enhancement of cosmecceutical activities of Berberis koreana bark by high pressure and ultrasonification extraction processe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9:54-65. 

  20. Marklund S and Marklund G. (1975).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opean Journal of Biochemistry. 47:469-474. 

  21. Meneghini R, Martins EAL and Calderaro M. (1993). DNA damage by reactive oxygen species: The role of metal. In: Free radicals: From basic science to medicine. In Poli G. et al. (eds.). Molecular and cell biology updates. Birkhauser Verlag. Basel. Basel Stadt, Switzerland. p.102-112. 

  22.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and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71:109-114. 

  23. Mosman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65:55-63. 

  24. Park JH, Lee HS, Mun HC, Kim DH, Seong NS, Jung HG, Bang JK and Lee HY. (2004). Effect of ultrasonification process on enhancement of immuno-stimulatory activity of Ephedra sinica Stapf and Rubus coreanus Miq.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19:113-117. 

  25. Park KE, Jang MS, Lim CW, Kim YK, Seo Y and Park HY. (2005). Antioxidant activity on ethanol extract from boiled-water of Hizikia fusiform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48:435-439. 

  26. Pyror WA. (1986). Oxy-radicals and related species: Their formation, lifetime, and reactions. Annual Review of Physiology. 48:657-667. 

  27. Ryu GY, No KH, Ryu SR and Yang HS. (2005). Study of separation and analysis method an effective component from Ugeum(Curcuma longa) and a contained curcumin as product of national and partially region cultures. Applied Chemistry. 9:57-60. 

  28. Seo HS, Chung BH and Cho YG. (2008).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agrimony(Agrimonia pilosa L.) and chinese lizardtail(Saururus chinensis Baill).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6:139-1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